$\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잡곡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Cereals and Legum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9, 2010년, pp.1399 - 1404  

이하규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우관식 (농촌진흥청 기능성작물부) ,  이성희 (괴산군 농업연구소) ,  우선희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잡곡의 이용 증진을 위하여 국산 잡곡 12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단백질 함량은 두류(20.60~34.47%)가 곡류(8.96~15.45%)에 비하여 높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대두와 흑태에서 각각 17.73 및 18.79%로 높았으며 그 밖의 잡곡류에서는 0.68~5.39% 범위였다. 잡곡의 주요 무기성분은 칼륨, 칼슘 및 나트륨 등 이었으며, 특히 두류에서 칼슘 및 칼륨 함량이 높았다.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이 66.79~84.84%로 많았으며, $\Omega$-3 지방산(linolenic acid) 함량은 두류에서 7.47~48.25% 범위로 곡류의 0.36~3.71%보다 높았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두류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곡류보다 많았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이 2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2.60% 및 264.20 mg AA eq/g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강낭콩 및 팥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잡곡별 성분함량 및 항산화 활성 결과는 기능성식품 개발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welve varieties of legumes and cereals in Korea were analyzed and compared. Crude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legumes (20.60~34.47%) than in cereals (8.96~15.45%). Crude fat contents of soybean (17.73%) and black soybean (18.79%)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수종의 잡곡에 대한 일반성분 함량과 항산화성분인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여 잡곡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곡은 무엇을 말하는가? 잡곡은 식량작물 중 백미와 찹쌀을 제외한 보리, 율무, 콩, 조, 기장, 수수, 옥수수 등을 말하며, 쌀과 비교하여 열등 작물로서 여겨져 왔으나, 잡곡에는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가 쌀의 2~3배 정도 많고 기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건강을 유지시키는 보조식량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1)
잡곡의 이용 증진을 위하여 국산 잡곡 12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잡곡의 이용 증진을 위하여 국산 잡곡 12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단백질 함량은 두류(20.60~34.47%)가 곡류(8.96~15.45%)에 비하여 높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대두와 흑태에서 각각 17.73 및 18.79%로 높았으며 그 밖의 잡곡류에서는 0.68~5.39% 범위였다. 잡곡의 주요 무기성분은 칼륨, 칼슘 및 나트륨 등 이었으며, 특히 두류에서 칼슘 및 칼륨 함량이 높았다.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이 66.79~84.84%로 많았으며, $\Omega$-3 지방산(linolenic acid) 함량은 두류에서 7.47~48.25% 범위로 곡류의 0.36~3.71%보다 높았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두류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곡류보다 많았으며,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이 2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2.60% 및 264.20 mg AA eq/g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강낭콩 및 팥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잡곡별 성분함량 및 항산화 활성 결과는 기능성식품 개발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기장의 특징은 무엇인가? 잡곡에 대한 연구는 옥수수의 생리활성 연구(2), 조의 정장작용 및 불면증 치료작용 연구(3), 보리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와 간의 콜레스테롤 축적억제 및 수용성 βglucan 연구(4,5), 율무의 항암성분인 coixenolide 연구(6)와 혈당강하 성분인 coixans A, B 및 C 연구(7)가 진행되었으며, 수수의 탄닌과 페놀성분에 대한 항산화작용 및 색소의 항암작용(8)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기장은 지방질과 비타민 A 등이 많고 지사, 빈혈과 객풍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9), 대두는 필수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리놀레산과 비타민 E도 충분히 들어있어 동물성 지방의 과잉섭취로 인한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동맥경화증의 예방및 치료 효과가 보고되었다(10,11). 또한 녹두의 피부질환및 미백효과(12), 팥의 각기와 피로회복 효과 및 아미노산보족효과(13), 흑태 안토시아닌의 항산화 효과(14,15), 강낭콩의 항암 효과(16,17) 등이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YS, Lee GC. 2006.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 grain in Seoul. 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661-669. 

  2. Park CH, Park CG, Jang GJ, Choi YS. 2008. Science and culture of micellaneous gra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Chuncheon, Korea. p 53-147. 

  3. Hyun YH. 2000. Food material. Hyungseul publish, Seoul, Korea. p 47-56. 

  4. Jeong HS, Lee SY, Park NK, Hur HS, Min YK. 1998. Isolation and concentration technique of $\beta$ -glucan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RDA J Agi Sci 40: 81-87. 

  5. Quershi A, Burger WC, Prentice N, Bird HR, Sunde ML. 1980. Regulation of lipid metabolism in chick liver by dietary cereals. J Nutr 110: 388-393. 

  6. Tanimura A. 1961. Studies on the anti-tumor component in the seeds of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Roman) Stapf. II. The structure of coixenolide. Chem Phar Bull 9: 45- 53. 

  7. Takahashi M, Konno C, Hikino H. 1986. Isolation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coixans, A, B and C glycans of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eeds. Planta Med 52: 64-65. 

  8. Dykes L, Rooney LW. 2006. Sorghum and millet phenols and antioxidants. J Cereal Sci 44: 236-251. 

  9. Ahn DK. 1998.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 887. 

  10. Kim YH. 2003. Biological activities of soyasaponins and their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48: 49-57. 

  11. Hawrylewicz EJ, Zapata JJ, Blair WH. 1995. Soy and experimental cancer: Animal studies. J Nutr 125: 698-708. 

  12. Noh MJ, Kwon JH, Byun MW. 2001. Water-soluble components of small red bean and mung bean exposed to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84-189. 

  13. Chang HG. 1999. Information on Food for the Health of Modem People .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45-50. 

  14. Francis FJ. 1984. Future trends. In Developments in Food Colors-2. Walford J, ed. Applied Science Publishers, New York, USA. p 233-247. 

  15. Tsuda T, Shiga K, Ohshima K, Kawakishi S, Osawa T. 1996.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active oxygen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anthocyanin pigments isolated from Phaseolus vulgaris L. Biochem Pharmacol 52: 1033-1039. 

  16. Peumans WJ, Van Damme EJM. 1998. Recent advances in th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 lectins. In COST 98: Effects of Antinutrients on the Nutritional value of Legume Diets. Bardocz S, Gelencser E, Pusztai A, eds. European Commission, Brussels, Belgium. Vol 1, p 1-7. 

  17. Pusztai A. 1991. Lectins and their specificity. In Plant lectins. Pusztai A,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 3-31. 

  18.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17, 32:21,22,32. 

  19. Lee JI, Kye BM. 1970. Effect of oil quality by extracting hour on rape. Res Rept RDA (CP) 13: 89-94. 

  20.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1.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and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23.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 6th revision. p 14-74. 

  24. Soh HS, Lee SP, Ha YD. 2002. Tot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taria italica, Panicum miliaceum and Sorghum bicolor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123-128. 

  25. Lee IB, Choi KJ, Yu KK, Chang KW. 1992. Tocopherols and fatty acids in plant seeds from Korea. J Korean Agric Chem Soc 35: 1-5. 

  26. Seo YH, Kim IJ, Yie AS, Rhee HI, Min HK. 1999. Genetic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waxy corn. Korea J Breed 31: 63-69. 

  27.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28. Kwak CH, L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21-927. 

  29. Chang SM, Nam SH, Kang MY. 2002. Biological activity/ nutrition: Screening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timutagenicity and mutagenic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from Legu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15-1122. 

  30. Kim SH, Kwon TW, Lee YS, Choung MG, Moon GS. 2005. A major antioxidantive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