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산물 중 비소 위해평가
Risk Assessment of Arsenic in Agricultural Product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29 no.3, 2010년, pp.266 - 272  

최훈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박성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김동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  김미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오염물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에 대한 비소 함량을 확인하여 국민의 식품별 섭취량을 고려한 비소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총 비소 함량은 microwave장치를 이용해 전처리한 후 ICP/MS로 측정하였으며, 농산물 중 유기 (AsC, AsB, MMA, DMA) 및 무기비소 (As(III), As(V))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50% 메탄올을 이용한 액액추출법과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를 활용한 HPLC-ICP/MS법을 사용하였다. 비소 함량 실태조사를 위해 국내 유통 중인 농산물 20개 품목, 329건을 수거하였으며, 농산물 중 총 비소 함량은 0.001~0.718 mg/kg인 반면 무기 및 유기비소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이었다. 노출 및 위해평가를 위해 농산물별 섭취를 통한 비소 노출량을 산출한 후, JECFA에서 설정한 PTWI값 대비 위해도를 평가하였으며 비소의 PTWI 는 무기비소로써 15 ${\mu}g$/kg b.w./week이다. 쌀을 제외한 농산물 섭취를 통한 총 비소 및 무기비소의 중간노출량은 0.0002~0.012, 0.0001~0.001 ${\mu}g$/kg b.w./day 이었으며, 이는 PTWI 대비 0.01~0.5%, 0.002~0.1%에 해당 하였다. 쌀을 통한 총 비소 및 무기비소 중간노출량은 0.603, 0.041 ${\mu}g$/kg b.w./day이었으며, 각각 PTWI 대비 28.1%, 1.9%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국내 유통되는 농산물 섭취를 통한 비소의 노출량은 JECFA의 안전권고치보다 낮았으며, 우리나라 국민은 농산물에 존재하는 비소의 위해성으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exposure & risk for Korean by total and inorganic As intake through agricultural products. Total arsen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icrowave device and ICP-MS. 50% MeOH extraction and anion-exchange HPLC-ICP-MS method has been used to determine arsen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류, 서류, 채소류, 과실류 등과 같은 농산물에 축적되어 있는 비소함량은 재배지역 환경의 비소오염 정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이므로 우리나라 국민이 많이 섭취하는 농산물 중 쌀, 옥수수 등 20개 품목 중 비소 함량을 확인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별 섭취량을 고려한 비소 위해수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 week이었으나 2010년 삭제되었다. 현재 JECFA에서 PTWI 를 재설정하지 않은 상황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PTWI 값을 사용하여 농산물 섭취로 인한 위해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농산물 20개 품목 329건에 대한 무기비소 함량을 조사결과, 모두 검출한계 미만이었기 때문에 무기비소 함량을 upper value인 LOD로 가정하여 무기비소 위해평가를 수행하였다. 농산물 그룹별 1일 무기비소 중간 노출량은 곡류를 제외하고 0.
  • 농산물의 총 비소 함량에 따른 위해도 평가는 농산물에 존재하는 비소가 모두 무기비소라는 가정하에 진행하였다. 농산물을 곡류, 두류, 서류, 종실류, 채소류, 과실류로 구분하였을 때, 식품군별 1일 총 비소 중간 노출량은 각각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금속에 의한 환경오염을 막아야 하는 이유는? 중금속이 환경에 배출되면 생물권을 순환하면서 먹이연쇄를 따라 사람에 까지 이동해 오기 때문에 중금속에 의한 환경오염을 막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식품 중의 중금속 함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우나, 식품 중에 중금속이 얼마나 잔존하는가를 항상 파악함으로써 문제 발생소지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노력할 필요성이 있다.
농작물에 의한 비소노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인체 비소노출의 주요경로는 식품과 음용수이다. 농작물의 비소함량은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토양, 관개용수, 대기, 비료 등에 존재하는 비소함량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온실내의 경작지 비소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농산물의 비소함량이 함께 증가되고 (Munoz et al., 2002), 비소 오염지역내 버섯류에서 유기비소인 AsC가 검출되었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Koch et al., 2000).
비소는 무엇인가? 비소는 주기율표 15족의 질소족 원소의 하나인 준금속으로 원소번호 33, 원자량 74.9이며 지구 상 어디에든지 존재할 수 있는 원소로써 지각에는 2 mg/kg 정도 존재하고 있고, 일반적으로 담수 중의 비소는 0.01 mg/L 이하, 해수에는 1~8 µg/L 정도 존재한다 (JECFA, 198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evesa, V., Martinez, A., Suner, M.A., Benito, V., Velez, D., Montoro, R., 2001. Kinetic Study of Transformations of Arsenic Species during Heat Treatment, J. Agric. Food Chem. 49, 2267-2271. 

  2. IARC, 1987.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 to human: overall evaluations of carcinogenicity: an updating of IARC monographs,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pp. 100-206. 

  3. Jeong, G.J., Kim, D.C., 2008. Speciation analysis of arsenic species in surface 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0(6), 621-627. 

  4. JECFA, 1983. JECFA Monographs, 570. Arsenic (WHO Food Additives Series 18). 

  5. JECFA, 1988. JECFA Monographs, 658. Arsenic (WHO Food Additives Series 24). 

  6. JECFA, 2010. Evaluations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rsenic. Retrieved from: http://apps.who.int/ipsc/database/evaluations/chemical.aspx?chemID1863 

  7. Koch, I., Wang, L.X., Reimer, K.J., Cullen, W.R., 2000. Arsenic sepcies in terrestrial fungi and lichens from Yellowknife. NWT, Canada. Appl. Organomet. Chem. 14, 245-252. 

  8. Masscheleyn, P.H., Delaune, R.D., Patrick, Jr, W.H., 1991. Effect of redox potential and pH on arsenic speciation and solubility in a contaminated soil. Environ. Sci. Technol. 25, 1414-1419. 

  9. Milstein, L.S., Essader, A., Murrell, C., Pellizzari, E., Fernando, R.A., Raymer, J.H., Akinbo, O., 2003. Sample Preparation, Extaction Efficiency, and Determination of Six Arsenic Species Present in Food Composites, J. Agric. Food Chem. 51, 4180-4184. 

  10. Munoz, O., Diaz, O.P., Leyton, I., Nunez, L., Devesa, V., Suner, M.A., Velez, D., Montoro, R., 2002. Vegetables Collected in the Cultivated Andean Area of Northern Chile: Total and Inorganic Arsenic Contents in Raw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50, 642-647. 

  11. Sloth, J.J., Larsen, E.H., Julshamn, K., 2005. Survey of Inorganic Arsenic in Marine Animals and Marine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by Anion Exchang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J. Agric. Food. Chem. 53, 6011-60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