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과학통합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Integrated Instru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49 no.2 = no.129, 2010년, pp.175 - 198  

이혜숙 (이화여자대학교) ,  임해미 (이화여자대학교 수리과학연구소) ,  문종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natural or social phenomena, we need various information, knowledge, and thought skills. In this context, mathematics and sciences provide us with excellent tools for that purpose. This explains the reasons why there is always significant emphasis on mathematics and sciences in school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교육에서 수학과 과학을 중요하게 다루는 이유는? 실생활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자연 현상, 사회 현상을 이해하려면 다양한 정보와 지식, 그리고 사고 기술이 요구된다. 학교 교육에서 수학과 과학을 중요하게 다루는 이유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이해의 기반에 과학, 그리고 그 바탕에 수학이 있기 때문이다. 17세기 Galieo는‘자연은 수학적인 언어로 쓰여 있다(Nature is writen in mathematical language)’고 했으며, Ziman(1991)은 과학적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언어는 수학이라고 했다.
Galieo는 자연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학교 교육에서 수학과 과학을 중요하게 다루는 이유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이해의 기반에 과학, 그리고 그 바탕에 수학이 있기 때문이다. 17세기 Galieo는‘자연은 수학적인 언어로 쓰여 있다(Nature is writen in mathematical language)’고 했으며, Ziman(1991)은 과학적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언어는 수학이라고 했다. 이는 물체의 운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미적분을 발견하거나, 공학과 경제학에서 다루어지는 많은 문제들이 수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모델링되어 미분방정식 등으로 표현되고 해결되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수학과학통합교육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203). Berlin(1991)과 Berlin & Le(2003)가 정리한 수학과학통합교육 연구물 목록을 보면 1905년부터 1991년까지 관련 문헌이 총 555편이었던 반면, 1991년부터 2001년까지는 총 402편이 발표되었다. 이는 수학과학통합교육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이정모 (2005). 미래 융합과학기술의 틀과 인지과학. 과학사상, 1, pp.22-42. 

  2. 조완영 (2006). 고등학교 미적분에서의 수학화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8(4), pp.417-439. 

  3. Anderson, A. (1994). Mathematics in Context: Measurement, Packaging and Caring for Our Environ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4(3), pp.146-150. 

  4. Bakker, A. (2004). Design research in statistics education on symbolizing and computer tools. Freudenthal Institute, Utrecht. 

  5. Bassok, M., & Holyoak, K. (1989). Interdomain Trasnfer between Isomorphic Topics in Algebra and Physic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5. pp.153-166. 

  6. Bastia, B., Tomlin, J., Pennington, K., & Pugh, D. (2001). Inquiry-Based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Education, 121(3), pp.615-624. 

  7. Berlin, D. F (1991). Integrating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bibliography. Columbus, OH: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8. Berlin, D. F., & White, A. L. (1991). A Network for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NCSTL Monograph Series 2). Columbus, OH: The National Center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9. Berlin, D. F., & Hyonyong, Lee. (2003). A Bibliography of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literature(School science and mathemtics association topics for teachers series number 7). Columbus, OH: ERIC Clearing 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0. Brown, W. R., & Wall, C. R. (1976). A look at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mathematics in the elementary school-1976.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76, pp.551-562. 

  11. Carson (1999). Shaping the Future: Physics in Mathematical Mood.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Bristol and Philadelphia. 

  12. Educational Development Center (1970). Final report of Cambridge Conference on School Mathematics, January 1962-August 1970. Cambridge, MA:Author.(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88904) 

  13. Freudenthal, H. (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4. Freudenthal, H.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5. Frykholm, J., & Glasson, G. (2005). Connecting Science and Mathematics Instruction: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for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5(3). 

  16. Gravemeijer, K. (1999). How emergent models may foster the constitution of formal mathematic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2). pp.155-177. 

  17. Hale, P. L.(1996). Building Conceptions and Reparing Misconceptions in Student Understanding of Kinematic Graphs: Using Student Discourse in Calculator-Based Laboratories. Oregon State University, Dissertation. 

  18. Helen M. D., & Roxana Z. (2000). Creating Meaning for and with the Graphing Calculator.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1. pp.143-163 

  19. Huntley, M. A. (1998).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s of Integrated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Middle Grades.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0. Lapp, D. A., & Cyrus, V. F. (2000). Using Data-Collection Devices to Enhance Students' Unerstanding. Mathemaitics Teacher, 93(6). pp.504-510. 

  21. Lonning, R. A., & DeFranco, T. C.(1997). Integration of science and mathematics: A theoretical model.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7, pp.212-215 

  22. Michelsen, C. (2006). Functions: a modeling tool in mathematics and science. ZDM, 38(3), pp.269-280. 

  23.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4. NCTM (1995). 199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Yearbook.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5.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 Author. 

  26. Nikitina, S. , & Mansilla, V. B. (2003). Three Strategies for Interdisciplinary Math and Science Teaching: A Case of Illinois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y. Goodwork Project Report Series 21. 

  27. Oty, K. J., Elliott, B. M., McArthur, J. M. & Clark, B. K. (2000). An Interdisciplinary Algebra/Science Course. PRIMUS 

  28. Pang, J., & Ron, G. (2000). A review of the integration or science and mathematic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29. Resnick, L. B. (1987). Learning In School and Out. Educational Researcher, 16, pp.13-20. 

  30. Roebuck, K. I., & Warden, M. A. (1998). Searching for the center on the mathematics-science continu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6), pp.328-333. 

  31. Sparks, J. C. (2004). Calculus without limits. Authorhouse, Bloomington, Indiana. 

  3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1997). Getting Started with CBR (Manual). 

  33. Treffers, A. (1987). Three dimensions: A model of goal and theory description in mathematics education-The Wiscobas project.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4. Ziman, J. (1991). Reliable Knowledge: An exploration of the grounds for belief in sc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