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기반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활용 방안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bile-Based Math Learning Application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3, 2017년, pp.593 - 615  

김부미 (원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학교 수학의 내용을 담아낸 모바일 기반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수학 교수 학습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중학교 수학의 '이차함수와 그래프', '대푯값과 산포도' 단원에서 조작을 통한 개념 탐구와 토론 학습이 가능하도록 어플리케이션 <중3수학교실>을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수학교육 전문가, 수학 교사, 컴퓨터공학 전문가, 디지털 애니메이션 감독과 협업하여 개발하였다. 이때, 예비교사의 도움을 받아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 4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그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학 수업에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는 교수 학습 지도안과 어플리케이션 활용 매뉴얼을 개발하고 중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여 그 현장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bile-based math learning application and explore its application. In order to develop a learning application, the present study included literature review on math education involving mobile learning, investigation of literature related to mathematics educ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nowRe의 단계별 대화형 학습을 제공하는 옵션 ‘Walk Me Through’을 통해 교사가 얻는 이점은? KnowRe는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단계별 대화형 학습을 제공하는 옵션 ‘Walk Me Through’ 지침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교사는 각 학생과 상호작용을 하고 학생의 개념과 지식에 대한 이해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교사가 대시보드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맞춰진 수업 계획과 개개인에 대한 진도와 성적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기록하는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KnowRe의 모든 단원의 시작은 수학적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실제 상황을 만화로 시작하고 연습문제와 응용문제를 달성할 때마다 별과 코인을 획득하거나 탐험 지도에서 자신의 영역을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게임화된 요소를 제공하여 학생의 흥미와 지속력을 유지시키고 있다.
웹기반 수학 학습의 방향은? 최근 웹기반 수학 학습은 맞춤형 수학교육 플랫폼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진보하고 있다(Sinclair et al., 2010; 박수민, 2015).
모바일 기반 교육 환경의 장점은? 이처럼 국내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공학적 도구나 웹기반 연구가 대부분이며, 모바일 기반 수학 학습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모바일 기반 교육 환경은 웹기반 환경에 비해 학습 콘텐츠에 대한 접근이 즉각적이고 용이하고, SNS 시스템을 활용한 양방향 의사소통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서 수학 학습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학습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고광진(2014). 수학 수업에서 소통을 위한 스마트 기기의 활용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상숙, 고호경, 구나영, 김남희, 김리나(2015). 수학교육에서 공학적 도구 :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연보. 경문사 

  3. 교육부(2016).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2015-2019). 교육부. 

  4. 김남희 (2006).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Cabri 3D의 교육적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16(4), 345-366. 

  5. 김부미(2012). 우리나라의 ICT 환경 기반 수학 학습 현황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3), 657-687. 

  6. 김부미, 이종희(2012). 미래 수학 교실 기준과 수업 모형의 개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673-698. 

  7. 박수민(2015). 수학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반은섭.류희찬(2017). 동적 기하 환경을 활용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변수 이해 및 일반화 수준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7(1), 89-112. 

  9. 손홍찬 (2006).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의 수학적 발견과 정당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신윤정(201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윤정은(2015). 수학 반전 학습(flipped learning)에서 학생들의 참여 양상 및 참여요인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양성현, 강옥기(2011). GeoGebra를 활용한 역동적인 시각적 표상에 기반한 이차곡선 지도 방안. 학교수학, 13(3), 447-468. 

  13. 이미영 (2011). 수학학습을 위한 모바일 게임형콘텐츠 개발: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은숙, 조정수(2015). 공학 사용의 경험에 근거한 수학교사의 신념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수학교육, 54(2), 99-117. 

  15. 이종희, 김선희, 김부미, 김기연, 김인숙, 박미순, 이소민, 최성이, 안 훈 (2012). 미래형 수학교실 및 수업 모델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연구 2012-5. 

  16. 한세호 (2009). 고등학교 수학 학습에서 컴퓨터 대수체계(CAS)의 도구 발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채재선(2013). 스마트폰을 활용한 수학 토론학습이 중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선사학위논문. 

  18. Ally, M., Grimus, M., & Ebner, M.(2014). Preparing teachers for a mobile world to improve access to education. Prospectus. Springer Netherlands, 1-17. 

  19. Balacheff, N. (2013).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Presentation Feburary 27, 2013. http://www.slideshare.net/TheoRifortel/theory-of-didactical-situations. 

  20. Bowker, A. Hennessy, S., Dawes, M. & Deaney, R. (2009). Suppor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CT use in mathematics using the T-MEDIA multimedia resource. Joubert, M. (Ed.) Proceedings of the British Society for research into Learning Mathematics 29(1), 19-24. 

  21. Confrey, J., Hoyles, C., Jones, D., Kahn, K., Maloney, A. P., Nguyen, K. H., Noss, R., & Pratt, D. (2010). Designing software for mathematical engagement through modeling (pp.19-45), InC. Hoyles & Lagrange, J.(Eds.), Mathematics education and technologyrethinking the terrain: the 17th ICMI Study. Springer. 

  22. Daher, W. (2010). Building mathematical knowledge in an authentic mobile phone environment.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1), 85-104. 

  23. Daher, W. & Baya'a, N. (2012).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action in outdoor mathematical activities with the cellular phone. Teaching Mathematics Applications, 31(3), 133-152. 

  24. disSessa, A. & Cobb, P. (2004). Ontological innovation and the role of theory in design experiment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11(1), 105-121. 

  25. Decker, E., Meier, B., Christ, A. Hillenbrand, G., Claus, S., & Kosching, R. (2015). Smartphones welcome!:Preparatory Course in Mathematics using the Nobile App MassMatics.(pp.47-60). In H. Crompton & J. Traxler (Eds.). Mobile learning and mathematics: Foundations, Design, and Case studies. Routledge. 

  26. Ebner, M. (2015). Mobile applications for math education-How should they be done?(pp.20-32). In H. Crompton & J. Traxler (Eds.). Mobile learning and mathematics: Foundations, Design, and Case studies. Routledge. 

  27. Handal, B., El-Khoury, J., Campbell, C., & Cavavagh, M. (2013). A framework for categorizing mobile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Proceeding of Australian Conference o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2-147. 

  28. Moreno-Armella, L. & Santos-Trigo, M. (2016).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in mathematical practices: Reconciling traditional and emerging approaches (pp.595-616).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the 3rd edition). Routledge. 

  29. Olley, C. (2011). Modelling, function, and estimation: A pizza problem (pp.163-173). In A. Oldknow, & A., Knights (Eds.) Mathematics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UK: Continuum Publishing Corporation. 

  30. Pepin, B., Gueudet, G., Yerushalmy, M., Trouche, L., & Chazan, D. I. (2016). E-Textbooks in/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pp.637-661),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the 3rd edition). Routledge. 

  31. Pursak, N., Hershkowitz, R., & Schwarz, B.(2011). From visual reasoning to logical necessity through argumentative desig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Published online: 23 June 2011. 

  32. Ozuun-Koca, S. A. & Edwards, T. G. (2015). Students' mathematical conjectures within interacting with a mobile device(pp.150-163). In H. Crompton & J. Traxler (Eds.). Mobile learning and mathematics: Foundations, Design, and Case studies. Routledge. 

  33. Sande, C. (2011) A descrip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udent activity in an open, online, mathematics help forum.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7(1), 53-78. 

  34. Sinclair, N., Arzarello, F., Gaisman, M. T., & Lozano, M. D. (2010). Implementing digital technologies at a national scale. In Celia Hoyles & Jean-Baptiste Lagrange(Eds.), Mathematics education and technology-rethinking the terrain. NY: Springer. 

  35. Song, D. & Kim, P. (2015). Inquiry-based mobilized math classroom with Stanford mobile inquiry-based learning environment(pp.33-46), In H. Crompton & J. Traxler (Eds.). Mobile learning and mathematics: Foundations, Design, and Case studies. Routledge. 

  36. Stone, B. (2012). Flip Your Classroom to Increase Active Learning and Engagement. 28th Annual Conference on Distance Teaching and Learning, Madison, WI. 

  37. Tangney, B., Bray, A., & Oldham, E. (2015).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mobile learning and the Bridge21 model for 21st century learning (pp.96-105). In H. Crompton & J. Traxler (Eds.). Mobile learning and mathematics: Foundations, Design, and Case studies. Routledge. 

  38. Watson, J. & Fitzallen, N. (2016). Statistical software and mathematics education: Affordance for learning(pp.563-594), In L. D. English & D. Kirshner (Eds.).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the 3rd edition). Routledge. 

  39. Yerushalmy, M. & Botzer, G. (2011). Guiding mathematical inquiry in mobile settings (pp.191-207). In O. Zaslavsky & P. sullivan (Eds.), Constructing knowledge for teaching secondary mathematics. New York: Springe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