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내된 재발명을 포함한 탐구-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impact of inquiry-oriented instruction with guided reinvention on students' mathematical activ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49 no.2 = no.129, 2010년, pp.223 - 246  

김익표 (대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oos(2004) introduced educational researchers' demand for change on the way that mathematics is taught in schools and the series of curriculum documents produced by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The documents have placed emphasis on the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oos(2004)는 수학교육 개혁주의자들의 목표가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Goos(2004)는 학교수학에서 지도 방법의 중대한 변화를 요구하는 수학교육학자들의 주장과 함께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역설한 NCTM(1989, 2000)의 교육과정 규준관련 문헌들을 소개했다. 또 그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능력의 신장 및 수학적인 사실들이 발견 또는 창조되는 과정을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수학교육 개혁주의자들의 목표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한국의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문제해결과 추론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강조하고 있다(교육인적자원부, 1997, 2007).
NCTM(1989, 2000)의 교육과정 규준관련 문헌들이란? Goos(2004)는 학교수학에서 지도 방법의 중대한 변화를 요구하는 수학교육학자들의 주장과 함께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역설한 NCTM(1989, 2000)의 교육과정 규준관련 문헌들을 소개했다. 또 그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능력의 신장 및 수학적인 사실들이 발견 또는 창조되는 과정을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수학교육 개혁주의자들의 목표임을 강조했다.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추론 능력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교수 · 학습에서 유의해야할 사항들은? 첫째, 귀납, 유추 등을 통해 학생 스스로 수학적 사실을 추측하게 하고, 이를 정당화하거나 증명해 보게 할 수 있다. 둘째, 수학적 사실이나 명제를 분석하고, 수학적 관계를 조직하고 종합하며, 학생 자신의 사고 과정을 반성하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교육인적자원부 (1997).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http:/www.moe.go.kr).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3. 김익표 (2008). 탐구-중심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에 관한 사례연구: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2), pp.177-199. 

  4. 김익표?황석근 (2004). 파스칼의 삼각형, 계차수열 및 행렬의 연계와 표현,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43(4), pp.391-398. 

  5. 송상헌 (1998).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이종희?김선희 (2002). 학교 현장에서 수학적 추론에 대한 실태 조사-수학적 추론 유형 중심으로-, 한국수학 교육학회 시리즈 A 41(3), pp.273-289. 

  7. 황석근?이재돈?김익표 (2001). ENV 이산수학. 서울: 블랙박스. 

  8. Anton, H. (2005). Elementary Linear Algebra 9th ed. New Jersey: John Wiley & Sons. 

  9. Brualdi, R. A. (2004). Introductory Combinatorics 4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10. Cheon, G.-S., & El-Mikkawy, M. (2004). Extended symmetric Pascal matrices via hypergeometric functions, Appl. Math. Comput. 158, pp.159-168. 

  11. Edelman, A., & Strang, G. (2004). Pascal Matrices,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11(3), pp.189-197. 

  12. Elbers, E. (2003). Classroom interaction as reflection: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in a Community of Inquir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4, pp.77-99. 

  13. Freudenthal, H.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Kluwer: Dordrecht. 

  14. Forman, E. A. (2003). A sociocultural approach to mathematics reform: Speaking, inscribing, and doing mathematics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In J . Kilpatrick, W. G. Martin & D. Schifter (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pp.332-35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5. Forman, E. A., & McPhail, J. (1993). Vygotskian perspective on children'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ctivities. In E. A. Forman, N. Minick, & C. A. Stone(Eds.), Context for learning: Sociocultural dynamics in children's development (pp.213-22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6. Goos, M. (2004). Learning Mathematics in a Classroom Community of Inquir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4), pp.258-291. 

  17. Healy, C. C. (1993). Creating miracles: A story of student discovery. Berkeley, CA: Key Curriculum Press. 

  18.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Leder, G. (1990). Talking about mathematics, Australian Educational Researcher 17(2), pp.17-27. 

  20. Lerman, S. (2001). Cultural, discursive psychology: A sociocultural approach to stud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6, pp.87-113. 

  21. Lesh, R. (1981). Appli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2), pp.235-264.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3.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4.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5. Polya, G. (1954). Mathematics and plausible reasoning: Induction and analogy in Mathematic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Rowe, M. B. (1973). Teaching Science as Continuous Inquiry. New York: McGraw-Hill. 

  28.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rlando, FL: Academic Press. 

  29. Silver, E. A. (1993).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In I. Hirabayashi; N. Nohda; K. Shigematsu; F.-L. Lin (Eds.), Proceedings of the 17th PME Conference Vol. I (pp.66-85). University of Tsukuba, Tsukuba. 

  30. Silver, E. A. (1994).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4(1), pp 19-28. 

  31. Silver, E. A., & Adams, V. M. (1990). Using open-ended problems, Arithmetic Teachers 34(9), pp.34-35. 

  32. Skinner, P. (1991). What's your problem? Posing and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K-2. Portsmouth, NH: Heinemann. 

  33. Streefland, L. (1987). Free production of fraction monographs-In: J. C. Bergeron; N. Herscovics; C. Kieran (Eds.), Proceedings of the Eleventh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I (pp.405-410). Montreal: Canada. 

  34. Streefland, L. (1991). Fractions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35. Van den Brink, J. F. (1987). Children as arithmetic book author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7(2), pp.44-48. 

  36. Van Oers, B. (2001). Educational forms of initiation in mathematical cultur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6, pp.59-85. 

  37.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8. Wubbels, T., Korthagen, F., & Broekman, H. (1997). Preparing teachers for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2(1), pp.1-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