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염산 알푸조신의 서방화를 위한 과립제의 최적 구성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고분자의 점도에 따른 염산 알푸조신 과립정제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고분자는 경구를 통한 약물전달 시스템 설계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이며, HPMC의 팽윤성은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약물의 방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염산 알푸조신 과립정제의 구조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분광법(FTIR)을 분석하였으며, 결정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X선 회절분석법(XR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과립정제를 제조하여 인공장액에서의 방출거동을 알아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첨가제로 사용된 HPMC의 점도에 따라 모델약물인 염산 알푸조신의 방출거동을 조절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granule tablet formulation of alfuzosin-HCl that aims to achieve a sustained drug release.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PMC)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olymer as a drug formulation and therefore has been utiliz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고분자인 HPMC의 점도에 따른 염산 알 푸조 신의 과립제를 제조하였는데, 이는 과립제가 산제에 비해 비산성이 작고 유동성이 크므로 타정시 충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 표면적이 작아 보존성이 좋기 때문이다.31 정제는 직접분말 압축법을 통해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과립정제의 형태학적 및 화학적 특성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전자현미경 (SEM).
  • 본 연구의 목적은 속방형 약물인29 염산 알푸조신의 초기 빠른 방출로 인한 급격한 혈중농도의 증가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기위해 초기방출을 지연시키고 장에서 꾸준히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생체이용률을 가진 경구용 제제를 설계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고분자인 HPMC의 점도에 따른 염산 알 푸조 신의 과립제를 제조하였는데, 이는 과립제가 산제에 비해 비산성이 작고 유동성이 크므로 타정시 충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 표면적이 작아 보존성이 좋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D. B. Patel and N. J. Patel, Int. J. Chem. Tech. Res., 1, 985 (2009). 

  2. K. T. McVary, J. Urol., 175, 35 (2006). 

  3. S. J. Berry, D. S. Coffey, P. C. Walsh, and L. L. Ewing, J. Urol., 132, 474 (1984). 

  4. W. M. Garraway, G. N. Collins, and R. J. Lee, Lancet, 338, 469 (1991). 

  5. G. P. Hoke, Am. J. Med., 121, S3 (2003). 

  6. S. H. Lee, J. Korean Acad. Fam. Med., 28, 193 (2007). 

  7. H. S. Chang and C. H. Park, J. Korean Continence Society, 7, 25 (2003). 

  8. C. Franklin and M. D. Lowe, Clin. Ther., 26, 1701 (2004). 

  9. M. Miner, T. Matt, and Rosenberg, Clin. Ther., 28, 13 (2006). 

  10. J. Y. Lee, N. K. Choi, S. Y. Jung, Y. J. Kim, J. M. Seong, S. J. Oh, and B. J. Park, J. Prev. Med. Public Health, 42, 165 (2009). 

  11. C. R. Chapple, Rev. Urol., 7, 22 (2005). 

  12. W. J. G. Hellstrom and S. C. Sikka, J. Urol., 176, 1529 (2006). 

  13. M. C. Blouin, J. Cataract Refract. Surg., 33,1227 (2007). 

  14. N. A. Gomes, A. Pudage, S. S. Joshi, V. V. Vaidya, S. A. Parekh, and A. V. Tamhankar, Chromatographia, 69, 9 (2009). 

  15. H. N. Mistri, A. G. Jangid, A. Pudage, D. M. Rathod, and P. S. Shrivastav, J. Chromatogr. B, 876, 236 (2008). 

  16. A. E. Lacerda, Y. A. Kuryshev, Y. Chen, M. Renganathan, H. Eng, S. J. Danthi, J. W. Kramer, T. Yang, and A. M. Brown, J. Pharmacol. Exp. Ther., 324, 427 (2008). 

  17. S. Pattnaik, K. Swain, and S. Mallick, Lat. Am. J. Pharm., 28, 62 (2009). 

  18. Q. Liu and R. Fassihi, Int. J. Pharm., 348, 27 (2008), 

  19. B. H. Chung, Korean J. Urol., 48, 233 (2007). 

  20. A. Jardin, H. Bensadoun, M. C. Delauche-Cavallier, A. Stalla-Bourdillon, and P. Attali, Br. J. Urol., 74, 579 (1994). 

  21. N. Mottet, F. Bressolle, V. Delmas, M. Robert, and P. Costa, Eur. Urol., 44, 101 (2003). 

  22. S. C. Jeong, S. K. Chon, Y. H. Jo,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29, 288 (2005). 

  23. J. Siepmann and N. A. Peppas, Adv. Drug Deliv. Rev., 48, 139 (2001). 

  24. P. Colombo, Adv. Drug Deliv. Rev., 11, 37 (1993). 

  25. J. Y. Youn, S. W. Park, S. Y. Lee,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32, 322 (2008). 

  26. J. L. Ford, M. H. Rubinstein, and J. E. Hoagen, Int. J. Pharm., 24, 327 (1985). 

  27. K. Mitchell, J. L. Ford, M. H. Rubinstein, D. J. Armstrong, P. N. C. Elliot, J. E. Hoagen, and C. Rostron, Int. J. Pharm., 156, 49 (1997). 

  28. H. Kurahashi, H. Kami, and H. Sanada, Chem. Pharm. Bull., 44, 829 (1996). 

  29. L. S. Marks, C. G. Roehrhorn, and M. Gittelman, Adult Urol., 62, 888 (2003). 

  30. J. H. Park, S. H. Kim, J. M. Oh, S. I. Ahn, Y. T. Kim, S. H. Jung, J. H. Choi, D. Lee, I. Yoo,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995 (2009). 

  31. B. J. Lee, et aI., Galenical Pharmacy, Hanrimwon, Seoul, 2004. 

  32. J. H. Im, Y. Lee, and K. M. Huh, Polymer(Korea), 32, 143 (2008). 

  33. J. S. Park, J. S. Oh, J. M. Oh, Y. T. Kim, J. H. Lee, J. H. Mo, H. B. Lee, and G. Khang, Polymer(Korea), 32, 193 (2008). 

  34. J. Y. Youn, J. Ku, S. Y. Lee, B. S. Kim, M. S. Kim, B. Lee, G. Khang, and H. B. Lee, Polymer(Korea), 31, 329 (2007). 

  35. D. S. Kim, K. Y. Seong, W. Kim, H. K. Hong, S. I. Ahn, J. H. Park, J. M. Oh, Y. T. Kim, E. Y. Lee, D. Lee,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6, 903 (2009). 

  36. S. Virtanen, H. Salokangsa, and J. Yliruusi, Eur. J. Pharm. Sci., 34, S27 (2008). 

  37. P. Mura, M. T. Fauucci, A. Manderioli, G. Bramanti, and L. Ceccarelli, J. Pharmaceut. Biomed., 18, 151 (1998). 

  38. A. C. Williams, P. Timmins, M. Lu, and R. T. Forbes, Eur. J. Pharm. Sci., 26, 288 (2005). 

  39. J. H. Park, J. Ku, S. I. Ahn, J. H. Lee, Y. T. Kim, D. S. Kim, W. Kim, J. M. Rhee, and G. Khang, Tissue Eng. Regen. Med., 5, 72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