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활용한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의 용출 특성 분석
Dissolution Profile Analysis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based Vitamin C Table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3, 2012년, pp.274 - 279  

차자현 (삼성정밀화학) ,  홍준기 (삼성정밀화학) ,  이성완 (삼성정밀화학) ,  차재욱 (삼성정밀화학) ,  고원화 (삼성정밀화학) ,  백현호 (삼성정밀화학) ,  박현진 (고려대학교 생명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의 지속성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HPMC를 사용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먼저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의 효과적인 용출실험을 진행하기 위해서 용출 용매에 비타민 C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비타민 C의 분해를 방지하였다.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의 용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대한약전 9개정"과 "경구용의약품의 용출규격 설정 가이드라인"의 용출시험법과 "건강기능식품이 기준 및 규격 고시전문(제2009-153호)"에 근거하여 함량시험과 시간별 용출률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용출 거동은 zero-order release model과 Korsmeyer-Peppas model에 의해 겔 내에서의 활성 성분의 확산과 겔층의 소실로 인한 이의 유리 메카니즘이 분석되었다(37,38).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에 사용된 지속성 HPMC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위장관 운동의 영향에 관계없는 zero-order release의 용출 거동에 가까워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제에 사용된 HPMC의 사용량이 높을수록 물을 흡수하여 초기에 겔을 형성하는 속도가 빨라져 용출 속도가 감소함을 보여준다. 점도에 따른 차이는 비타민 C의 높은 수용성 성질 때문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난용성 유효 성분을 적용한 처방에서는 수화능과 겔 형성능에 따라 점도별로 차이가 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Korsmeyer-Peppas model에 의한 메커니즘 분석에서 비타민 C의 겔 내 활성 성분의 확산이 겔 층의 소실로 인한 유리보다 다소 우세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타민 C는 수분에 대한 안정성이 부족함에도 지속성 정제로의 개발 및 용출분석이 가능하며, 지속성 고분자로 사용된 HPMC의 사용량에 따라 용출 거동을 조절할 수 있어 1일 2회 내지 1일 1회 요법의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의 제제화와 안정적인 용출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에 고시된 비타민 C의 정량법인 HPLC법 및 본 연구를 통해 차이가 없음이 확인된 UV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한 평가방법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ral matrix tablets for the sustained release of vitamin C. In this study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has been utilized as an excipient, as it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olymers, for use during long periods of time in formations. The vitami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시장에서 일반 속방정으로 유통되고 있는 고함량 비타민 C의 이상적인 체내 흡수율, 복용 편의성 그리고 효율적인 생리 활성을 나타내고자 1일 2회 용법의 지속형 정제로 제제화하는 것이다. 또한 비타민 C는 빛, 수분 등의 안정성이 취약하여 활성형인 환원형에서 빠른 시간내에 산화형으로 변환되어 지속형 정제의 in vitro 실험의 대표적인 release 실험에서 그 측정방법이 확립되지 않았음에 효율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의 지속성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HPMC를 사용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먼저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의 효과적인 용출실험을 진행하기 위해서 용출 용매에 비타민 C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비타민 C의 분해를 방지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시장에서 일반 속방정으로 유통되고 있는 고함량 비타민 C의 이상적인 체내 흡수율, 복용 편의성 그리고 효율적인 생리 활성을 나타내고자 1일 2회 용법의 지속형 정제로 제제화하는 것이다. 또한 비타민 C는 빛, 수분 등의 안정성이 취약하여 활성형인 환원형에서 빠른 시간내에 산화형으로 변환되어 지속형 정제의 in vitro 실험의 대표적인 release 실험에서 그 측정방법이 확립되지 않았음에 효율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PMC를 사용하여 정제 및 제조를 한 이유는? 본 연구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의 지속성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HPMC를 사용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먼저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의 효과적인 용출실험을 진행하기 위해서 용출 용매에 비타민 C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비타민 C의 분해를 방지하였다.
비타민 C의 일반적인 추천용량은 얼마인가? 비타민 C의 RDA(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에 따르면 성인 1일 섭취량이 남자는 90 mg, 여자는 75 mg이며 수유여성은 120 mg 그리고 흡연자의 경우 추가적으로 35 mg을 섭취하라고 권고하고 있다(23). 그러나 이는 섭취 최소량이며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사람마다 흡수율 및 소실량이 다르나 일반적인 추천용량은 1일 약 500-1000 mg이다. 그러나 1회 투여량이 많을수록 흡수율은 떨어지게 되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흡수시키는 것이 혈중 농도의 유지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1).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의 효과적인 용출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무엇을 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의 지속성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HPMC를 사용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먼저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의 효과적인 용출실험을 진행하기 위해서 용출 용매에 비타민 C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비타민 C의 분해를 방지하였다. 비타민 C 지속성 정제의 용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대한약전 9개정"과 "경구용의약품의 용출규격 설정 가이드라인"의 용출시험법과 "건강기능식품이 기준 및 규격 고시전문(제2009-153호)"에 근거하여 함량시험과 시간별 용출률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cGregor GP, Biesalski HK. Rationale and impact of vitamin C in clinical nutrition. Curr. Opin. Clin. Nutr. 9: 697-703 (2006) 

  2. Fotherby MD, Williams JC, Forster LA, Craner P, Ferns GA. Effect of vitamin C on ambulatory blood pressure and plasma lipids in older persons. J. Hypertens. 18: 411-415 (2000) 

  3. Hamilton IMJ, Gilmore WS, Benzie IFF, Mulholland CW, Strain JJ. Interactions between vitamins C and E in human subjects. Brit. J. Nutr. 84: 261-267 (2000) 

  4. Afkhami-Ardekani M, Shojaoddiny-Ardekani A. Effect of vitamin C on blood glucose serum lipids & serum insulin in type 2 diabetes patients. Indian J. Med. Res. 126: 471-474 (2007) 

  5. Audera C, Patulny RV, Sander BH, Douglas RM. Mega-dose vitamin C in treatment of the common cold a randomised sustained trial. Med. J. Aust. 175: 359-362 (2001) 

  6. Braun BL, Fowles JB, Solberg L, Kind E, Healey M, Anderson R. Patient beliefs about the characteristics, causes, and care of the common cold. J. Fam. Practice 49: 153-156 (2000) 

  7. Cook NR, Albert CM, Gaziano JM, Zaharris E, MacFadyen J, Danielson E, Buring JE, Manson JE. A randomized factorial trial of vitamins C and E and beta carotene in the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in women: Results from the Women's Antioxidant Cardiovascular Study. Arch. Intern. Med. 167: 1610-1618 (2007) 

  8. Douglas RM, Hemila H, Chalker EB, Treacy B. Vitamin C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he common cold. Cochrane DB Syst. Rev. 18: CD000980 (2007) 

  9. Dwyer JH, Merz NB, Shirocre AM, Nordstrom CK, Dwyer KM. Progression of early atherosclerosis and intake of vitamin C and vitamin E from supplements and food. The Los Angeles Atherosclerosis Study. Circulation 103: 1365 (2001) 

  10. Institute of Medic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C, Vitamin E, Selenium, and Carotenoids. National Academy of Science, Washington, DC, USA. pp. 95-185 (2000) 

  11. Kaur B, Rowe BH, Ram FS. Vitamin C supplementation for asthma. Cochrane DB Syst. Rev. 21: CD000993 (2009) 

  12. Khaw KT, Bingham S, Welch A, Luben R, Wareham N, Oakes S, Day N. Relation between plasma ascorbic acid and mortality in men and women in EPIC-Norfolk prospective study: a prospective population study. EPIC 357: 657-663 (2001) 

  13. Kompauer I, Heinrich J, Wolfram G, Linseisen J. Association of carotenoids, tocopherols, and vitamin C in plasma with allergic rhinitis and allergic sensitization in adults. Public Health Nutr. 9: 472-479 (2006) 

  14. Laight DW, Carrier MJ, Anggard EE. Antioxidants, diabetes, and endothelial dysfunction. Cardiovasc. Res. 47: 457-464 (2000) 

  15. Langlois M, Duprez D, Delanghe J, De Buyzere M, Clement DL. Serum vitamin C concentration is low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and i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nd severity of atherosclerosis. Circulation 103: 1863-1868 (2001) 

  16. Lykkesfeldt J, Christen S, Wallock LM, Chang HH, Jacob RA, Ames BN. Ascorbate is depleted by smoking and repleted by moderate supplementation: A study in male smokers and nonsmokers with matched dietary antioxidant intakes. Am. J. Clin. Nutr. 71: 530-536 (2000) 

  17. Masaki H. Role of antioxidants in the skin: anti-aging effects. J. Dermatol. Sci. 58: 85-90 (2010) 

  18. Masaki KH, Losonczy KG, Izmirlian G. Association of vitamin E and C supplement use with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in elderly men. Neurology 54: 1265-1272 (2000) 

  19. Padayatty SJ, Levine M. Reevaluation of ascorbate in cancer treatment: Emerging evidence, open minds and serendipity. J. Am. Coll. Nutr. 19: 423-425 (2000) 

  20. Ram FS, Rowe BH, Kaur B. Vitamin C supplementation for asthma. Cochrane DB Syst. Rev. 3: CD000993 (2004) 

  21. Takkouche B, Regueira-Mendez C, Garcia-Closas R, Figueiras A, Gestal-Otero JJ. Intake of vitamin C and zinc and risk of common cold: A cohort study. Epidemiology 13: 38-44 (2002) 

  22. Tofler GH, Stec JJ, Stubbe I, Beadle J, Feng D, Lipinska I, Taylor A. The effect of vitamin C supplementation on coagulability and lipid levels in healthy male subjects. Thromb. Res. 100: 35-41 (2000) 

  23. National Academy of Science.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Recommended Intakes for Individuals, Food and Nutrition Board, Institute of Medicine, National Academi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 Washington, DC, USA (2004) 

  24. KFDA, KNS. Risk assessment instruction of vitamin and mineral used on health functional food. 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7) 

  25. Jeong SC, Chon SK, Jo YH, Kim MS, Lee B, Khang G and Lee HB. The effect of bead size and drug solubility on drug release from osmotic granule delivery system for nifedipine. Polymer Korea 29: 288-293 (2005) 

  26. James LF, Rubinstein MH, McCau l F, Hogan JE, Edgar PJ. Importance of drug type, tablet shape, and added diluents on drug release kinetics from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atrix tablets. Int. J. Pharm. 40: 223-234 (1987) 

  27. Siepmann J, Kranz H, Bodmeier R, Peppas NA. HPMC-Matrices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A new model combining diffusion, swelling, and dissolution mechanisms and predicting the release kinetics. Pharm. Res. 16: 1748-1756 (1999) 

  28. Chiwele I, Johes BE, Podczeck F, Chiwele I, Jones BE, Podczeck F. The shell dissolution of various empty hard capsules. Chem. Pharm. Bull. 48: 951-956 (2000) 

  29. Kim W, Song BJ, Kim DS, Kim SJ, Lee SK, Kim HL, Lee D, Khang G. Effect of the viscosity of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on dissolution rate of alfuzosin-HCl granule tablet. Polymer Korea 34: 269-273 (2010) 

  30. Rao YM, Veni JK, Jayasagar G.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diclofenac sodium using hydrophilic matrices. Drug Dev. Ind. Pharm. 27: 759-766 (2001) 

  31. Sarfaraz KN. Handbook of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Formulations, Compressed Solid Products. 2nd ed. Informa Healthcare, London, UK (2009) 

  32. Khan GM, Zhu JB. Studies on drug release kinetics from ibuprofen- carbomer hydrophilic matrix tablets: Influence of co-excipients on release rate of the drug. J. Control. Release 57: 197-203 (1999) 

  33. Mitchell K, Ford JL, Armstrong DJ, Elliot PNC, Hogan JE, Roston C. The influence of substitution type on the performance of methylcellulose and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in gels and matrices. Int. J. Pharm. 100: 143-154 (1993) 

  34. Tahara, K, Yamamoto K, Nishihata T. Overall mechanism behind matrix sustained-release (SR) tablets prepared with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2910. J. Control. Release 35: 59-66 (1995) 

  35. Ueberreiter K, Asmussen F. Velocity of dissolution of polymers I. J. Polymer Sci. 57: 187-198 (1962) 

  36. Costa P, Lobo JMS. Modeling and comparison of dissolution profiles. Eur. J. Pharm. Sci. 13: 123-133 (2001) 

  37. Korsmeyer RW, Gunny R, Peppas NA. Mechanism of solute release from porous hydrophilic polymers. Int. J. Pharm. 15: 25-35 (1983) 

  38. Langer RS, Peppas NA. Present and future applications of biomaterials in controlled drug delivery systems. Biomaterials 2: 201-214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