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장을 이용한 물체의 거리 측정 연구
Estimating Distance of a Target Object from the Background Objects with Electric Image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論文誌.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시스템 및 제어, v.47 no.3=no.333, 2010년, pp.56 - 62  

심미영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김대은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장은 수중에서의 주변 환경 인지, 물체 확인 과정에 사용 될 수 있다. 약한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물고기는 전기장을 발생시켜 그 왜곡을 감지함으로써 주위 상황을 인지하고 먹이를 찾는 "능동 센싱"에 특화되어 있다. 이러한 "능동 센싱"과정은 전기물고기가 어두운 바다 속에서 시각적인 정보 없이도 먹이를 찾고 주변 환경을 탐지할 수 있게 해준다. 전기물고기는 몸 전체에 전기수용기를 가지고 있다. 수많은 전기수용기를 통해 읽어지는 센서 값은 '전기장 이미지', 즉 시각적인 이미지가 아닌 전기장의 변화를 반영하는 물리적 이미지로 표현된다. 많은 사람들이 전기물고기가 시각 정보 없이도 전기장 이미지를 통해 어떻게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지 연구해 왔다. 많은 연구를 통해 전기장 이미지의 최대값, 기울기, 넓이, 피크의 위치 등이 목표 물체를 찾기 위한 단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기물고기의 전기장 이미지를 바탕으로 목표 물체 이외에 배경으로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물체가 있는 좀 더 복잡한 환경에서, 전기장 센서를 통해 목표 물체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고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에서의 물체 인지 과정은 수중로봇의 물체인식에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akly electric fish uses active sensing to detect the distortion of self-generated electric field in the underwater environments. The active electrolocation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arget objects from the surroundings without vision in the dark sea. Weakly electric fish have many electrorec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전기물고기에 속하는 Apteronotus 이bifrons의 위치 추정을 조사한다. A albifrons는 몸체의 중심축을 따라 꼬리 쪽에 발전기관을 가지고 있다.
  • 전기물고기가 전기수용기를 통해 얻어지는 센서 이미지를 통해 물체를 어떻게 인지하고 그 위치를 파악하는가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논문에서는 하나의 목표 물체만이 존재하는 상황이 아니라 배경 물체(object plant)网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목표물체를 인식하고 구별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 있지는 않다. 본 논문은 약한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 물고기 (weakly etetric 臼아!)의 물체 확인 과정을 모티브로 하여 수중에서 전기장 센서를 이용한 물체 확인 기술을 제안한다.
  • 전기물고기의 물체 확인 과정을 다루어 왔다. 논문에서는 전기장 이미지를 통해 하나의 물체가 아닌 여러 개의 물체가 존재하는 복잡한 상황에서 전기 물고기가 어떻게 물체를 감지하고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가설 설정

  • Electric image for intervals of object plant 2 cm, 3 cm, 4 cm, and 5cm. (a) The object plant (b) both target object and object plant exist curve.
  • 목표 물체가 배경 물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전기물고기에 가까운 거리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목표 물체로 인한 전기장의 변화는 배경 물체로 인한 변화보다 더 고주파 성분을 가지게 된다. 그림 2 (b)에서 목표 물체는 전기물고기의 입으로부터 8 cm 떨어진 지점에 존재하는데, 목표 물체가 있는 지점에서 가장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수용기는 모델링의 단순화를 위해 일정한 밀도를 가지고 전기물고기 표면을 따라 직선으로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전기물고기의 머리로부터 꼬리 방향으로 조금 내려온 지점부터 시작해 꼬리가 시작하는 지점까지 균등하게 분포하고 꼬리 쪽으로 갈수록 몸체의 중심축과 가까워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A. MacIver, "The computational neuroethology of weakly electric fish: body modeling, motion analysis, and sensory signal estimation", PhD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2001. 

  2. N. Machiavelli, "Columbia Electronic Encyclope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3. M.E. Nelson and M.A. MacIver, "Prey capture in the weakly electric fish Apteronotus albifrons: snesory acqusition strategies and electrosensory consequence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202, no 10, pp.1195, 1999. 

  4. M.E. Nelson, M.A. MacIver, and S. Coombs, "Modeling electrosensory and mechanosensory images during the predatory behavior of weakly electric fish", Brain, Behavior and Evolution, vol. 59, no. 4, pp.199-210. 

  5. G. Von der Emde and S. Fetz, "Distance, shape and more: recognition of object features during active electrolocation in a weakly electric fish",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210, no. 17, pp.3082, 2007. 

  6. M.E. Nelson and M.A. MacIver, "Sensory acquisition in active sensing systems", Journal of Comparative Physiology A., vol. 192, no. 6, pp.573-586, 2006. 

  7. B. Kramer, "Electroreception and communication in fishes", Gustav Fischer, 1996. 

  8. M.E. Nelson, "Target detection, image analysis, and modeling", Springer Handbook of Auditory Research, vol. 21, pp.290, 2005. 

  9. W. Heiligenberg,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o spatial aspects of electrolocation", Journal of Comparative Physiology A., vol. 103, no. 3, pp.247-272, 1975. 

  10. B. Rasnow, "The effects of simple objects on the electric field of Apteronotus", Journal of Comparative Physiology A., vol. 178, no. 3, pp.397-411, 1996. 

  11. G. Von der Emde, S. Schwarz, L. Gomez, R. Budelli, and K. Grant, "Electric fish measure distance in the dar", Nature, vol. 395, pp.890-894, 1998. 

  12. G. Von der Emde, "Active electrolocation of objects in weakly electric fish",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202, no. 10, pp.1205, 1999. 

  13. S. Schwarz and G. Von der Emde, "Distance discrimination during active electrolocation in the weakly electric fish Gnathonemus petersii", Journal of Comparative Physiology A., vol. 186, no. 12, pp.1185-1197, 2001. 

  14. E.A. Sicardi, A.A. Caputi, and R. Budelli, "Physical basis of distance discrimination in weakly electric fish", Physica A., vol. 283, no. 1-2, pp.86-93, 2000. 

  15. L. Chen, J.L. House, R. Krahe, and N.E. Nelson, "Modeling signal and background components of electrosensory scenes", Journal of Comparative Physiology A., vol. 191, no. 4, pp.331-345, 2005. 

  16. J. Engelmann, J. Bacelo, M. Metzen, R. Pusch, B. Bouton, A. Migliaro, A. Caputi, R. Budelli, K. Grant, and G. Von der Emde, "Electric imaging through active electrolocation: implication for the analysis of complex scenes", Biological Cybernetics, vol. 98, no. 6, pp.519-539, 2008. 

  17. M. Sim and D. Kim, "Distance discrimination of weakly electric fish with a sweep of tail bending movements", ECAL, 2009. 

  18. 심미영, 김대은, "전기물고기의 거리 측정 : 꼬리지느러미의 움직임과의 관계", 한국지능로봇 종합학술대회, 2009 

  19. D. Babineau, A. Longtin, and J.E. Lewis, "Modeling the electric field of weakly electric fish",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vol. 209, no. 18, pp.3636, 2006. 

  20. D. Babineau, J.E. Lewis, and A. Longtin, "Spatial acuity and prey detection in weakly electric fish", PLoS Comput Biol, vol. 3, no. 3, pp.e38,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