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장 하에서의 블록 공중합체와 고분자 블렌드의 미세 구조 변화 거동 비교
Comparing Microscale Behaviors of Block Copolymer with Polymer Blend Thin Films under Electric Field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9 no.4, 2018년, pp.395 - 398  

배준원 (동덕여자대학교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장 하에서 유기물은 전기장에 의해 부여된 여러 가지 힘의 영향을 받아서 특이한 거동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별적으로 고찰되어 왔던 전기장 하에서의 블록 공중합체와 고분자 블렌드의 미세 거동을 비교 분석하여 특징적인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두 가지 고분자가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와 약한 상호작용으로 혼합된 고분자 블렌드 시스템을 비교대상으로 하였다. 이때, 구성 고분자로는 비슷한 유전상수를 갖는 폴리아크릴로 나이트릴과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도입하였다. 유사한 분자량, 같은 농도, 같은 전기장 세기하에서 고분자 블렌드가 전기장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유결합이 분자의 운동성을 제약하여 전기장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거동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고분자 물질의 전기장 하에서의 거동을 이해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profound microscale behaviors of block copolymer and polymer blend under electric field were investigated using microscopic methods and compared systematically. To this end, both the block copolymer and blend containing polyacrylonitrile (PAN) and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AN 고분자의 경우 수분에 의해구조적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 일단 결정화가 이루어지면 그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N이 녹아 있는 용액을 스핀 코팅하기 전에 용액과 실리콘 웨이퍼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최대한 제거하고 온도에 의한 결정화를 억제하여 박막 형성을 촉진하고자 하였다[5]. 다른 실험적인 변수들, 고분자의 분자량, 농도, 고분자들의 상대적인 농도 비율 등은 동등하게 유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고분자 재료의 흥미로운 케이스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전기장에 노출되었을 때 어떠한 미세 거동을 보이는지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자 한다. 즉, 유사한 유전상수를 지니는 두 가지 고분자,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PAN)과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와 고분자 블렌드를 도입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PAN 계통 고분자 박막에 전기장을 가하는 것이 실험의 요체이다. 따라서, 균일한 고분자 박막을 얻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정한 크기 이상의 전기장이 고분자 박막에 가해질 때,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전기장(electric field)과 물질의 상호작용은 1960년대 이후로 연구자들의 관심이 대상이 되어 왔다[1]. 일정한 크기 이상의 전기장이 물질(고분자) 박막(thin film)에 가해질 때, 고분자 박막의 표면(interface)은 전기장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의 영향을 받아 불안정해진다. 이러한 불안정성이 증폭되면서 특이한 형태의 표면 구조를 갖게 되는 현상이 보고되었다[2].
블록 공중합체란 무엇인가? 블록 공중합체는 서로 다른 두 가지 고분자 사슬(chain)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한 분자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를 구성하는 두 가지 고분자의 분자량, 고분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정도, 구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갖게 된다[3].
블록 공중합체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블록 공중합체는 서로 다른 두 가지 고분자 사슬(chain)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한 분자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를 구성하는 두 가지 고분자의 분자량, 고분자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정도, 구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갖게 된다[3]. 특히, 위에서 언급한 변수들에 따라 블록 공중합체는 다양한 특징을 나타내게 되고, 그들의 미세 구조는 나노미터 수준에서 매우 독특한 패턴을 보여주게 되는데, 이는 다른 분자나 재료로는 접근할 수 없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 Vrij, Possible mechanism for the spontaneous rupture of thin, free liquid films, Discuss. Faraday Soc., 42, 23-33 (1966). 

  2. A. Sharma and E. Ruckenstein, Finite-amplitude instability of thin free and wetting films: Prediction of lifetimes, Langmuir, 2, 480-494 (1986). 

  3. I. Hamley, Nanostructure fabrication using block copolymers, Nanotechnology, 14, R39 (2003). 

  4. H. Xiang, Y. Lin, and T. P. Russell, Electrically induced patterning in block copolymer films, Macromolecules, 37, 5358-5363 (2004). 

  5. J. Bae, S. J. Park, O. S. Kwon, and J. Jang, A unique embossed carbon layer from induced domain alignment in a block copolymer thin film under an electric field, Chem. Commun., 49, 5456-5458 (2013). 

  6. J. Bae, E. Glogowski, S. Gupta, W. Chen, T. Emrick, and T. P. Russell, Effect of nanoparticles on the electrohydrodynamic instabilities of polymer/nanoparticle thin films, Macromolecules, 41, 2722-2726 (2008). 

  7. J. Bae, Electrohydrodynamic instabilities of polymer thin films: Filler effect, J. Ind. Eng. Chem., 18, 378-383 (2012). 

  8. J. Bae and S. H. Cha, Effect of nanoparticle surface functionality on microdomain orientation in block copolymer thin films under electric field, Polymer, 55, 2014-2020 (2014). 

  9. J. Bae, S. J. Park, O, S, Kwon, and J. Jang, The effect of nanoparticle on microdomain alignment in block copolymer thin films under an electric field, J. Mater. Sci., 49, 4323-4331 (2014). 

  10. Q. Tong and S. J. Sibener, Electric-field-induced control and switching of block copolymer domain orientations in nanoconfined channel architectures, J. Phys. Chem. C, 118, 13752-13756 (2014). 

  11. M. W. Matsen, Electric field alignment in thin films of cylinder- forming diblock copolymer, Macromolecules, 39, 5512-5520 (2006). 

  12. K. A. Leach, S. Gupta, M. D. Dickey, C. G. Willson, and T. P. Russell, Electric field and dewetting induced hierarchical structure formation in polymer/polymer/air trilayers, Chaos, 15, 047506 (2005). 

  13. J. E. Mark,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s Handbook, Springer, Cincinnati, OH, USA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