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소아균형검사와 보행변수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Pediatric Balance Scale and Gait Parameter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0 no.4, 2016년, pp.251 - 257  

고명숙 (두원공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소연 (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남기 (우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아균형검사(Pediatric Balance Scale)는 경증이나 중증의 운동손상을 지닌 학령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균형검사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균형검사는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선 자세에서 앉기, 의자에서 의자로 이동하기, 잡지 않고 서 있기, 한 다리로 서 있기, 제자리에서 $360^{\circ}$ 회전하기, 뒤돌아보기 등 총 14개 항목으로 구성하고, 시공간적 보행변수는 보행속도 및 보폭, 보거리, 보격, 분속수, 양하지 지지 시간을 포함한다. 모든 대상자들은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이며, 숙련된 소아물리치료사에 의해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를 측정하였다.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소아균형검사의 총점(r=.49~.58)과 세부항목 중 선 자세에서 앉기(r=.48~.60)와 선 자세에서 왼쪽/오른쪽 어깨 뒤로 돌아보기(r=.47~.53), 선 자세에서 바닥에 물건 집어 들기(r=.52~.69)는 보행속도와 보폭, 보거리, 분속수의 각 변수 사이에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아균형검사의 대부분 항목이 양하지 지지 시간 간의 매우 높은 음의 상관관계(r=-.48~-.92)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소아균형검사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수준을 예견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BS) was balance measurement equipment for school-age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BS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 and to identify the walking function with cerebral palsy through 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몇몇 연구는 GMFM과 관절각도 및 시공간적 보행변수 혹은 동적 균형와 보행속도, 버그균형척도와 보행속도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기능적 균형능력을 반영하는 소아 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 간에는 상관성을 알아본 연구가 전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서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인 보행변수 간에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향후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검사로 보행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향후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검사로 보행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공간적 보행변수 중 보행속도 (walking speed)와 보폭(stride length), 보거리(step length), 분속수(cadence)는 소아균형검사 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에, 보격(step width)과 양하지 지지(double-limb support) 시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본 연구는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소아균형검사는 보행속도 (walking speed)와 보폭(stride length), 보거리(step length), 분속수(cadence) 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에, 보격(step width)과 양하지 지지(double-limb support) 시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인 균형검사로는 뇌성마비 아동을 평가하기 어렵다는 한계로 인하여 새로 개발된 검사는 무엇인가? 그러나 기존의 균형평가는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서 수행하는 기능적 균형능력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에 Franjoine 등(2003)은 Berg 균형척도를 수정한 소아균형검사(Pediatric Balance Scale, PBS)를 개발하여 경증이나 중증의 운동손상을 지닌 학령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소아균형검사도구로 발전시켰다. 소아균형검사는 일상생활동작과 관련된 총 14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 시간단한 도구가 필요하고, 10분 정도 검사시간이 소요된다[11].
뇌성마비란?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는 자세와 움직임의 비정상적인 운동조절을 보이는 장애이다. 이러한 장애는 근긴장 이상이나 변형, 근약화 등과 관련이 깊으며, 보행과 같은 기능적 활동 제한을 초래한다 [1-3].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보행패턴은 어떤것인가? 이러한 장애는 근긴장 이상이나 변형, 근약화 등과 관련이 깊으며, 보행과 같은 기능적 활동 제한을 초래한다 [1-3].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spastic diplegic CP)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보행패턴은 입각기 동안 엉덩관절, 무릎과 발목관절의 과도한 구부림이 특징인 쭈그림 보행(crouch gait)이다[4]. 이 보행은 정상 아동의 보행패턴과 비교 시 운동역학적 및 운동형상학적 측정에서 차이가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E. Beckung, M. White-Koning, M. Marcelli, V. McManus, S. Michelsen, J. Parkes, U. Thyen, C. Arnaud, J. Fauconnier, and A. Colver, "Health statu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living in Europe: a multi-centre study", Child Care Health Dev., vol. 34, no. 6, pp. 806-814, 2008. 

  2. J. R. Gage, M. H. Schwartz, S. E. Koop, and T. F. Novacheck, "The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Gait Problems in Cerebral Palsy", John Wiley & Sons, pp. 665, 2009. 

  3. D. Scrutton, D. Damiano, and M. Mayston, "Management of the Motor Disord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ac Keith Press, pp. 216, 2004. 

  4. J. Rodda, and H. K. Graham, "Classification of gait patterns in spastic hemiplegia and spastic diplegia: a basis for a management algorithm", Eur. J. Neurol., vol. 8, pp. 98-108, 2001. 

  5. J. F. Kraus, A. Rock, and P. Hemyari, "Brain injuries among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rch Dis Child, vol. 144, pp. 684-691, 1990. 

  6. C. J. Kim, and S. M. Son, "Comparison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between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and Children with Diplegic Cerebral Palsy", J. Phys. Ther. Sci., vol. 26, no. 9, pp. 1317-1319, 2014. 

  7. E. E. Butler, K. M. Steele, L. Torburn, J. G. Gamble, and J. Rose, "Clinical motion analyses over eight consecutive years in a child with crouch gait: a case report", J. Med. Case Rep., vol. 15, no. 10, 2016. 

  8. M. H. Woollacott, and A. Shumway-Cook, "Postural dysfunction during standing and walk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at are the underlying problems and what new therapies might improve balance?", Neural Plast, vol. 12, no. 2-3, pp. 211-219, 2005. 

  9. S. W. Atwater, T. K. Crowe, J. C. Deitz, and P. K. Richardson,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wo pediatric balance tests", Phys. Ther., vol. 70, pp. 79-87, 1990. 

  10. D. J. Russell, P. L. Rosenbaum, and C. Gowl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anual", 2nd eds. Owen Sound, Gross Motor Measures Group. 1993. 

  11. M. R. Franjoine, J. S. Gunter, and M. J. Taylor, "Pediatric balance scale: a modified version of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the school-age child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 Pediatr. Phys. Ther., vol. 15, pp. 114-128, 2003. 

  12. M. S. Ko, N. H. Lee, J. A. Lee, and H. S. Jeon, "Inter-examiner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hys. Ther. Korea, vol. 15, no. 1, pp. 86-95, 2008. 

  13. E. J. Lee, and J. S. Kim, "The changes of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by trun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 single group repeated measure study", Korean Soc. Phys. Med., vol. 6, no. 2, pp. 189-197, 2011. 

  14. H. F. Liao, S. F. Jeng, J. S. Lai, C. K. Cheng, and M. H. Hu, "The relation between standing balance and walking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vol. 39, no. 2, pp. 106-112, 1997. 

  15. S. M. Gan, L. C. Tung, Y. H, Tang, and C. H. Wang, "Psychometric properties of functional balance assess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 22, no. 6, pp. 745-753, 2008. 

  16. D. L. Damiano, and M. F. Abel, "Relation of gait analysis to gross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vol. 38, no. 5, pp. 389-396, 1996. 

  17. H. Sugiura, and S. Demura, "The Effects of Knee Joint Pain and Disorders on Knee Extension Strength and Walking Ability in the Female Elderly", Advances in Physical Education, vol. 20, no. 4, pp. 139-143, 2012. 

  18. N. J. Drowatzky, and F. C. Zuccato, "Interrelationships between selected measures of static and dynamic balance", Research Quarterly, vol. 38, no. 3, pp. 590-510, 1967. 

  19. J. Rose, D. R. Wolff, V. K. Jones, D. A. Bloch, J. W. Oehlert, and J. G. Gamble, "Postural bal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vol. 44, no. 1, pp. 58-63, 2002. 

  20. A. Kyvelidou, R. T. Harbourne, V. K. Shostrom, and N. Stergiou, "Reliability of center of pressure measures for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setting postural in infants with or at risk of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vol. 91, no. 10, pp. 1593-1601, 2010. 

  21. M. H. Woollacott, and A. Shumway-Cook. "Postural dysfunction during standing and walk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at are the underlying problems and what new therapies might improve balance?", Neural Plast, vol. 12, no. 2-3, pp. 211-219, 2005. 

  22. J. L. Stout, J. R. Gage, M. H. Schwartz, and T. F. Novacheck, "Distal femoral extension osteotomy and patellar tendon advancement to treat persistent crouch gait in cerebral palsy" J Bone Joint Surg. Am., vol. 90, pp. 2470-2484, 2008. 

  23. L. M. Schutte, S. W. Hayden, and J. R. Gage JR, "Lengths of hamstrings and psoas muscles during crouch gait: effects of femoral anteversion", J. Orthop. Res., vol. 15, pp. 615-621, 1997. 

  24. M. J. Kurz, D. J. Arpin, and B. Corr, "Differences in the dynamic gait st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Gait Posture, vol. 36, pp. 600-60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