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nding-Balance in Stroke with Sensory Deficit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1, 2010년, pp.63 - 70  

이성란 (경남정보대학 작업치료과) ,  배성수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VR) program on standing balance in stroke with sensory deficit. Methods :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either VR group (n=28) or the control group (n=31) when study began. Both groups were conducted electr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균형감각활동의 향상에 관한 여러 가지 치료적 중재들을 통하여 효과성이 입증되었지만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능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 그룹 중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시한 그룹의 경우 정적안정성이 대조군에 비해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안정성한계에 있어서도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시한 그룹의 경우 왼쪽을 제외한 나머지 앞, 뒤, 오른쪽 방향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지기저면의 상태를 조절하여 고유수용성을 자극하고 강화시키는 치료 방법으로 Biorescue 장비(RM INGENIERIE, France)에 구성되어 있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환자의 선자세에서 자발적 체중이동의 분석 단계에서 얻어진 안정성 한계 측정값을 통해 안정적인 훈련을 실시하고 환자의 활동수행 능력에 따라 단계별로 조절이 가능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니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가상현실에서 자발적으로 체중을 이동할 수 있도록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는 어떠한 복합된 장애를 가지는가?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는 운동, 감각, 인지 및 정서 손상이 복합된 장애를 가진다. 감각-운동(sensorimotor) 손상의 결과로 발생되는 자세 조절(postural control)의 장애는 뇌졸중 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활동의 성취와 퇴원 후 지속되는 장애를 예측하는 중요한 인자이다(de Haart 등, 2004).
뇌졸중 발병 후 살아남은 환자가 가지는 장애 중 환자의 자세조절에 가장 큰 어려움을 가져오는 것은? 뇌졸중 발병 후 살아남은 환자의 절반 이상은 오랜 기간 운동과 감각 및 인지와 정서적 장애를 가진다(Wolfe, 2000). 이 중 운동과 감각의 이상은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에 가장 큰 어려움을 가져오게 된다(Geurts 등, 2005). 감각 이상을 갖는 뇌졸중 환자들은 촉각이나 고유수용성 감각의 손상과 같은 체성감각(somatosensory)의 손상을 의미하며 이러한 감각이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들은 순수하게 운동기능 손상을 가진 뇌졸중 환자들보다 기능적 예후 또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Lin 등, 2004).
뇌졸중 발병 후 살아남은 환자의 절반 이상은 어떠한 장애를 가지는가? 뇌졸중 발병 후 살아남은 환자의 절반 이상은 오랜 기간 운동과 감각 및 인지와 정서적 장애를 가진다(Wolfe, 2000). 이 중 운동과 감각의 이상은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에 가장 큰 어려움을 가져오게 된다(Geurts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구봉오, 배성수, 김한수 등. 안구운동이 성인 편마비환자의 마비측에 따른 균형증진에 미치는 영향.대한물리치료학회. 2002;14(4):1-14. 

  2. 박래준, 김상수, 김용건 등. 수중운동이 노인여성의 한발 서기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 2002;14(1):89-98. 

  3. 박유형. 발목 관절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4. 이건철, 윤정규. 시지각적 되먹임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 2002;9(2):17-26. 

  5. 이동진, 조유미, 이완희. 과제 관련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정적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7;18(6):61-70. 

  6.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 통계청. 2008. 

  7. Belgen B, Beninato M, Sullivan PE et al. The association of balance capacity and falls self-efficacy with history of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4):554-61. 

  8. Broeren J, Rydmark M, Sunnerhagen KS. Virtual reality and haptics as a training device for movement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 single-cas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8):1247-50. 

  9. Carrie M Hall. Therapeutic Exercise: Moving Toward Function. 2n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4. 

  10. Cheng PT, Wu SH, Liaw MY et al.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training in stroke patients and its effect on fall preven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2):1650-4. 

  11. de Haart M, Geurts AC, Huidekoper SC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886-95. 

  12. Dickstein R, Abulaffio N. Postural sway of the affected and nonaffected pelvis and leg in stance of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3):364-7. 

  13.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44. 

  14. Geurts ACH, de Haart M, van Nes IJW et al. A review of standing balance recovery from stroke. Gait Posture. 2005;22(3):267-81. 

  15. Gillette JC, Stevermer CA, Quick NE et al. Alternative foot placements for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ies standing with the assistance of functional neuromuscular stimulation. Gait Posture. 2008;27(2): 280-5. 

  16. Jack D, Boian R, Merians AS et al. Virtual realityenhanced stroke rehabilitation. IEEE Trans Rehabil Eng. 2001;9(3):308-18. 

  17. Liaw MY, Chen CL, Pei YC et al. Comparison of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performance in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healthy people. Chang Gung Med J. 2009;32(3):297-304. 

  18. Lin JH, Hsueh IP, Sheu CH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ensory scale of the Fugl-Meyer Assessment in stroke patients. Clin Rehabil. 2004;18(4):391-7. 

  19. Masani K, Vette AH, Kawashima N et al. Neuromusculoskeletal torque-generation process has a large destabilizing effect on the control mechanism of quiet standing. J Neurophysiol. 2008;100(3): 1465-75. 

  20. Matjacic Z, Hesse S, Sinkjaer, T. Balance retrainer: a new standing-bal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applied to a chronic hemiparetic subject with a neglect syndrome. Neuro Rehabilitation. 2003;18(3):251-9. 

  21. Peterka RJ. Sensorimotor integration in human postural control. J Neurophysiol. 2002;88:1097- 118. 

  22. Shumway-Cook A, Wollacott M. Attentional demands and postural control: the effect of sensory context.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0;55(1):10-6. 

  23. Smania N, Montagnana B, Faccioli S et al. Rehabilitation of somatic sensation and related deficit of motor control in patients with pure sensory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 (11):1692-702. 

  24. Teasdale N, Simoneau M. Attentional demands for postural control: the effects of aging and sensory reintegration. Gait Posture. 2001;14(3):203-10. 

  25. Tyson SF, Hanley M, Chillala J et al.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2006;86(1):30-8. 

  26. Winward CE, Halligan PW, Wade DT. The Rivermead Assessment of Somatosensory Performance(RASP): standardization and reliability data. Clin Rehabil. 2002;16(5):523-33. 

  27. Wolfe CD. The impact of stroke. Br Med Bull. 2000;56(2):275-86. 

  28. Woollacott M, Shumway-Cook A.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Gait Posture. 2002;16(1):1-14. 

  29. Zhang L, Abreu BC, Masel B et al. Virtual reality in the assessment of selected cognitive function after brain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2001; 80(8):597-6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