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Q각 변화에 따른 보행의 변화
The Change of Gait as Q-angle in Chronic Knee Osteoarthritis Diseas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1, 2010년, pp.71 - 79  

채정병 (마산대학 물리치료과) ,  조현래 (마산대학 물리치료과) ,  하남진 (예담 재활의학과 의원) ,  김용훈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investigate of gait change as Q-angle in chronic knee osteoarthritis patients. Methods : Participated osteoarthritis disease patients(n=16) and normal adults(n=16). gait measure was used by GaitRite and Q-angle measure was used by tape mea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은 움직임의 제한에 따라 주위 근육의 약화나 관절구축으로 무릎관절의 기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일상생활동작의 어려움과 통증이 증가되고 무릎관절의 신전과 굴곡을 위한 근력과 지구력의 감소, 또한 움직임 수행력의 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한다고 보고하였으며(Fisher와 Pendergast, 1997), 만성 무릎퇴행성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무릎주위 근육들의 근활성도(Tuomas 등, 2009), 활보장(Michael 등, 2006), 보각에 따른 무릎관절의 모멘트(Janie 등, 2008), 삶의 질, 일반적 보행요소(Mary 등 2009) 등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어오고 있으나, 실제 무릎관절의 퇴행성관절염 환자들 전두면의 부정렬에 따른 보행요소별 변화에 대한 보고가 없어 본 연구는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Q각 변화에 따른 보행의 변화를 같은 연령대의 비관절염군과 비교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이 고령인 점을 고려하여 안정성과 선 자세에서의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신체 흔들림(pertubation)에 대한 Q각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 편안하게 치료테이블에 누운 자세에서 Q각을 측정하였으며, 환경에 의한 오차를 줄이고자 소음이 없는 조용한 장소에서 실내 온도는 20°를 유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릎관절이란 무엇인가? 무릎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긴 대퇴골과 경골사이에 위치하며 정상 성인에 있어서는 신전 0도에서굴곡 145도까지의 큰 가동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시상면(sagital plane)에서의 개폐운동 뿐만 아니라 회선운동이 발생한다. 또한 무릎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길고 강한 지렛대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 끝에 가해지는 외력이 항상 가중되어 전달되는 관절이다(이현옥 등, 2005).
생리적 외반각이 170도 보다 적으면 무엇이라고 하는가? Moreland 등(1987)은 대퇴의 해부학적 축과 역학적 축이 이루는 각을 생리적 외반각이라 하였다. 이 각이 170도 보다 적으면 외반슬(genu valgum 또는 knock knee), 반대로 180도에 근접하거나 내측으로 각이 형성되면 이 변형을 내반슬(genu varum 또는 bow leg)이라 한다(이현옥 등, 2005). 또한 무릎관절의 올바른 배열은 대퇴내측 및 외측광근의 근육균형에 의해 좌우되며, 이러한 근육간에 발생하는 힘은 대퇴사두근각(이하 Q각)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권혁철, 1999).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은 신체에 어떠한 문제를 야기하는가?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은 움직임의 제한에 따라 주위 근육의 약화나 관절구축으로 무릎관절의 기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일상생활동작의 어려움과 통증이 증가되고 무릎관절의 신전과 굴곡을 위한 근력과 지구력의 감소, 또한 움직임 수행력의 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한다고 보고하였으며(Fisher와 Pendergast, 1997), 만성 무릎퇴행성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무릎주위 근육들의 근활성도(Tuomas 등, 2009), 활보장(Michael 등, 2006), 보각에 따른 무릎관절의 모멘트(Janie 등, 2008), 삶의 질, 일반적 보행요소(Mary 등 2009) 등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어오고 있으나, 실제 무릎관절의 퇴행성관절염 환자들 전두면의 부정렬에 따른 보행요소별 변화에 대한 보고가 없어 본 연구는 무릎 퇴행성관절염의 진단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Q각 변화에 따른 보행의 변화를 같은 연령대의 비관절염군과 비교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선엽.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슬관절 주위근의 근력비와 Q-각과의 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12(1):45-53. 

  2. 권혁철. 20대 정상성인의 대퇴사두근각(Q angl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999;6(1):1-14. 

  3. 박래준, 장정훈, 박돈목 외(역). 물리치료대백과사전 물리치료의 기초와 평가. 서울: 나눔의 집. 2001;1:345-6 

  4. 이정호. 노인여성 관절염 환자의 보행시간에 따른보행형태 분석. 미간행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 이현옥, 장정훈, 정낙수 외. Brunnstrom's 임상운동학. 영문출판사. 2005. 

  6. 정진엽. 슬관절 전치환술후의 보행분석.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97;32(5):82-93. 

  7. 홍완성, 김기원. 65세 이상 건강한 노인의 보행분석.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2:14(4):59-65. 

  8. 황보각, 김병조, 배성수. GAITRite 시스템 분석을통한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보행특성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1):113-4. 

  9. Ando T, Hirose H, Inoue M. A new method using computed tomographic scan to measure the rectus femoris-patellar tendon Q-angle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ethod. Clin Orthop Rel Res. 1993; 289:213-9. 

  10. Burnfield JM, Josephson KR, Powers CM. The influence of lower extremity joint torque on gait characteristics in elderly men. Arch Phys Med Rehabil. 2000;81:1153-77. 

  11. Cicuttini F, Wluka A, Hankin J, et al.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nee angle and tibiofemoral cartilage volume in subjects with knee osteoarthritis. Rheumatology. 2004;43:321. 

  12. Dearborn JT, Eakin CL, Skinner HB. Medial compartment arthrosis of the knee. Am J Orthop.1996;25(1):18-26. 

  13. Dehaven KE, Dolan WA, Mayer PJ. Chondromalacia patellae and the painful knee. Am Fam Physician. 1980;1:117-24. 

  14. Ettinger WH, & Afble RF. Physical disability from knee osteoarthritis: The role of exercise as on intervention. Med Sci Sports Exerc, 1994;26(12): 1435-40. 

  15. Fisher NM, Pendergast DR. Reduced muscle function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Scand J Rehabil Med. 1997;29(4):213-21. 

  16. Hughston JC, Hergenroeder PT, Courtenay BG. Osteoarthritis dissecans of the femoral condyles. J Bone Joint Surg Am. 1984;66(9):1340-8. 

  17. Hurwitze DE, Ryals AB, Case JP, et al. The knee adduction moment during gait in subjects with knee osteoarthrithritis is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static alignment than radiographic disease severity, toe out angle and pain. Journal of orthopaedic research. 2002;20(1):101-7. 

  18. Horton MG, Hall TI. Quadriceps femoris muscle angle: Normal values and relationships with gender and selected skeletal measures. Phys Ther. 1989;69(11):897-901. 

  19. Hvid I, Andersen LI, Schmidt H. Chondromalacia patellae. The relation to abnormal patellofemoral joint mechanics. Acta Orthop scand. 1981;52(6): 661-6. 

  20. Janie LA, Kevin JD, Graham EC, et al. Gait and neuromuscular pattern changes are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knee osteoarthritis severity levels. J Biomechanics. 2008;41:868-76. 

  21. Judge JO, Davis RB III, Ounpuu S. Step length reduction in advanced age: The role of ankle and hip kinetics. J Gerontol Med Sci. 1996;51:303-12. 

  22. Kernozek TW, Greer NL. Quadriceps angle and rearfoot motion: Relationships in walking. Arch Phys Med Rehabili. 1993;74:407-10. 

  2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6. 

  24. Livingston LA, Mandigo JL. Bilateral within-subject Q angle asymmetry in young adult females and males. Biomed Sci Instrum, 1997;33:112-7. 

  25. Lynn SK, Reid SM, Costigan PA. The influence of gait pattern on signs of knee osteoarthritis in older adults over a 5-1 year follow-up period: a case study analysis. Knee. 2007;14:8-22. 

  26. Mary BN, Ershela LS, Francis JK, et al. the relationship of Self-reported pain and Functional impairment to Gait Mechanics in overweight and obese persons with knee osteoarthritis. Arch Phys Med Reh. 2009;90:1874-9. 

  27. McCarberg BH, Herr KA. American Academy of pain Medicine. Osteparthritis. how to manage pain and improve patient function. Geriatri. 2001;56: 14-24. 

  28. Messier SP, Davis SE, Curl WW, et al. Etiologic Factor associated with patellofemoral pain in runners. Clinical investigations. Med Sci Exerc. 1991;23(9):1008-15. 

  29. Michael DL, John S, Katherine S, et al. Stride-tostride variablity of knee motion in patients with knee ostearthritis. Gait & Posture. 2006;23:505-11. 

  30. Moreland JR, Bassett LW, Hanker GJ. Radiographic analysis of the axial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y. J Bone Joint Surg. 1987;69A(8):745-9. 

  31. Nelson AJ. Functional ambulatory profile. Phys Ther, 1974;54:1059-65. 

  32. Pandya NK, Draganich L, Mauer A, et al. Osteoarthritis of the knees increases the propensity to trip on an obstacle. Clin Orthop Relat Res. 2005; 431:150-6. 

  33. Sharma L, Dunlop DD, Cahue S, et al. Quadriceps Strength and Osteoarthritis Progression in Malaligned and Lax Knees. Ann Intern Med, 2003;38:613-9. 

  34. Thomas RJ, Michael AH, Ian J. Toe-out gait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partially transforms external knee adduction moment in to flexion moment during early stance phase of gait. J Biomechanics. 2008;41:276-83 

  35. Woodland LH, Francis RS. Parameters and comparisons of the quadriceps angle of college-aged men and women in the supine and standing position. Am J Sports med. 1992;2:20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