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전도-생체되먹임 훈련이 무릎넙다리통증의 기능적 능력과 Q-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G-Biofeedback Training on Functional Ability and Q-angle in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2, 2014년, pp.68 - 73  

박승규 (세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강재영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using EMG-biofeedback for selective training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on functional ability and Q-angle in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Methods: Thirty participants who met the cr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6 하지만 근래의 연구 경향은 근력강화에만 집중하지 않고 무릎뼈에 대한 안쪽 빗넓은근의 조절 향상과 기능적인 수행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환자의 관리에 있어 비약물적(non-pharmacological), 비수술적(non-surgical) 물리치료 중재 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27,28 이에 본 연구는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을 가진 대상자에게 아무것도 하지 않은 대조군(Ⅰ)과 폐쇄사슬운동군(Ⅱ), 근전도-생체되먹임을 이용한 폐쇄사슬운동군(Ⅲ)으로 나누어 무릎넙다리관절의 기능적 능력과 Q-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을 가진 대상자를 위해 폐쇄사슬운동 시 근전도-생체되먹임을 이용하여 안쪽빗넓은근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무릎 넙다리관절의 기능적 능력과 Q-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이란 무엇인가?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은 무릎 꿇기, 장시간 앉기, 스쿼트, 계단 오르고 내리기 동안에 무릎 앞쪽 또는 뒤쪽에 나타나는 통증으로 정의된다.1 일반적으로 활동적인 사람이나 젊은 성인에게 자주 나타나며 남성에 비해 여성의 발생률이 더 높다.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의 병인은 무엇인가?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의 병인은 아직 명확하지는 않지만, 잠재적인 위험요소로는 하지 근육의 유연성 부족과 과도한 Q-각, 무릎뼈의 압박이나 기울어짐,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불균형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무릎의 가쪽끌림을 야기하는 안쪽빗넓은근의 약화가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고려되어지고 있다.3-5 Emami등6은 무릎넙다리 통증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정상인 보다 Q-각의 증가를 확인하였고, Messier 등7은 달리기를 많이 하는 운동선수 중에서 무릎넙다리통 증증후군 환자의 Q-각이 정상인 보다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은 어떠한 조건에서 발생률이 더 높나?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은 무릎 꿇기, 장시간 앉기, 스쿼트, 계단 오르고 내리기 동안에 무릎 앞쪽 또는 뒤쪽에 나타나는 통증으로 정의된다.1 일반적으로 활동적인 사람이나 젊은 성인에게 자주 나타나며 남성에 비해 여성의 발생률이 더 높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Nijs J, Van Geel C, Van der auwera C et al. Diagnostic value of five clinical tests in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Man Ther. 2006;11(1):69-77. 

  2. Boling M, Padua D, Marshall S et al. Gender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Scand J Med Sci sports 2010;20(5):725-30. 

  3. Collins NJ. Bisset LM, Crossley KM et al. Efficacy of nonsurgical interventions for anterior knee pai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Sports Med. 2012;42(1):31-49. 

  4. Waryasz GR, McDermott AY.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 a systematic review of anatomy and potential risk factors. Dyn Med. 2008;26(7):9. 

  5. Yip SL, Ng GY. Biofeedback supplementation to physiotherapy exercise programme for rehabilitation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 Rehabil. 2006;20(12):1050-7. 

  6. Emami MJ, Ghahramani MH, Abdinejad F et al. Q-angle: an invaluable parameter for evaluation of anterior knee pain. Arch Iran Med. 2007;10(1):24-6. 

  7. Messier SP, Davis SE, Curl WW et al. Etiologic factor sassociated with patellofemora pain in runners. Med Sci Sports Exerc. 1991;23(9):1008-15. 

  8. Park S, Lee WJ, Park JW. Differences of onset timing between vastus medialis and lateralis during knee isometric contraction on individuals with genu varum or valgum. J Kor Soc Phys Ther. 2014;26(1):9-14. 

  9. Han SW. A SEMG analysis of knee joint angle during close kinetic chain exercise and open kinetic chain exercises in quadriceps muscle. J Korean Soc Phys Ther. 2004;16(3):401-11. 

  10. Kramer PG. Patella malalignment syndrome: rationale to reduce excessive lateral pressur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86;8(6):301-9. 

  11. Doucette SA, Child DD. The effect of open and closed chain exercise and knee joint position on patellar tracking in lateral patellar compression syndrom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6;23(2):104-10. 

  12. Wilk KE, Escamilla RF, Fleisig GS, Barrentine SW et al. A comparison of tibiofemoral joint forces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during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Am J Sports Med. 1996;24(4):518-27. 

  13. Steinkamp LA, Dillingham MF, Markel MD et al.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in patellofemoral joint rehabilitation. Am J Sports Med. 1993;21(3):438-44. 

  14. Dursun N, Dursun E, Kilic Z.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controlled exercise versus conservative care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2):1692-5. 

  15. Kim YK, Song JC, Choi JW et al.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assisted biofeedback therapy system for chronic hemiplegic upper extremity function.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6):409-13. 

  16. McConnell J. Management of patellofemoral problems. Man Ther. 1996;1(2):60-6. 

  17. Park SK, Kim JH. Effects of EMG-biofeedback training on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balance. J Korean Soc Phys Ther. 2013;25(2):81-7. 

  18.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during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in male athletes with and without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Kyunghe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8. 

  19. Bevilaqua-Grossi D, Felicio LR, Simoes R et al. Electromyographic activity evaluation of the patella muscles during squat isometric exercise in individual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Revis Bras Med Esp. 2005;11(3):159-63. 

  20. Kim DY, Kim SH, Lim YE et al. Effect of EMG biofeedback training and taping on vastus medialis oblique for function improvement of patient with patella malalignment. J Korean Soc Phys Ther. 2008;20(3):35-44. 

  21. Kujala UM, Jaakkola LH, Koskinen SK et al. Scoring of patellofemoral disorders. Arthroscopy. 1993;9(2):159-63. 

  22. Yoon NY, Park JS, Jeong HS et al. The comparative study on age-associated gait analysis in normal Korean. J Korean Soc Phys Ther. 2010;22(2):15-24. 

  23. Park SK, Yang DJ, Park JM et al. Analysis of patellar tracking and Q-angle during semi-squat exercis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011;21(1):107-14. 

  24. Wilk KE, Davies GJ, Mangine RE et al. Patellofemoral disorders: a classification system and clinical guidelines for nonoperative rehabilitation. J Orthpo Sports Phys Ther. 1998; 28(5):307-22. 

  25. Serrao FV, Cabral CMN, Berzin F et al. Effect of tibia rotation on the electromyographical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longus muscles during isometric leg press. Phys Ther Sport. 2005;6(1):15-23. 

  26. Heintjes E, Berger MY, Bierma-Zeinstra SM et al. Exercise therapy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3;(4):CD003472. 

  27. Han SW, Yoon JR. Effect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backward walking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quadriceps muscle function in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Exercise Science. 2008;17(4):463-72. 

  28. Crossley K, Bennell K, Green S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physical interventions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Clin J Sport Med. 2001;11(2):103-10. 

  29. Crossley KM, Bennell KL, Cowan SM et al. Analysis of outcome measures for persons with patellofemoral pain: which are reliable and valid? Arch Phys Med Rehabil. 2004;85(5):815-22. 

  30. Fehr GL, Junior AC, Cacho EWA et al. Effectiveness of the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in the treatment of the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Revista Brasileira de Medicina do Esporte. 2006;12(2):56-60. 

  31. Sheehan FT, Derasari A, Fine KM et al. Q-angle and J-sign: indicative of maltracking subgroups in patellofemoral pain. Clin Orthop Relat Res. 2010;486(1):266-75. 

  32. Herrington L. Does the change in Q angle magnitude in unilateral stance differ when comparing asymptomatic individuals to those with patellofemoral pain? Phys Ther Sport. 2013;14(2):94-7. 

  33. Tunay VB, Baltaci G, Tunay S et al. A comparison of different treatment approaches to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ain Clin. 2003;15(2):179-84. 

  34. Cabral CMN, Melim AMO, Sacco ICN et al. Physical therapy in patellofemoral syndrome patients: comparison of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Acta Ortop Bras. 2008;16(3):180-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