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 항목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uggesting Online Reference Resources' Metadata Elements Based on the Users' Perception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1 no.2, 2010년, pp.81 - 96  

노영희 (건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온라인 참고정보원용 메타데이터 항목을 제안하고 있다. 설문을 통해 4 관종의 사서들에게 17개 메타데이터 각각의 항목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서 물었다. 또한 지난 2년 동안 운영되어온 시스템에의 메타데이터 입력현황과 이용자 인식조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용자 인식조사와 시스템 입력비율을 기반으로, 17개의 메타데이터 항목 중 정보원 제목, 설명, 주제분야, 출판사, 유형, 식별자, 언어, 범위, 소장위치, 태그 항목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항목으로 최종적으로 제안할 수 있었다. 또한 제작자와 저작권의 데이터가 실제 시스템에 입력된 비율은 각각 20.20%, 18.30%였으나, 설문응답자들은 각각 82.15%, 82.77%로 이 항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이 두 개의 항목도 포함시키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 다만, 시스템에의 입력비율이 3% 이하였던 형태, 원정보원, 날짜, 관련정보원, 기여자 항목에 대해 설문응답자의 거의 70% 이상이 이 모든 항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suggest metadata elements for online reference resource systems based on users' perceptions. We surveyed librarians in four types of libraries, asking them indicate the need for each of 17 metadata elements. The survey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current data input rates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이 웹기반 참고정보원을 검색할 때 매우 소수의 항목, 즉 제목, 키워드(전체문헌 중 검색), 태그 항목만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다양한 항목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선호할 것인지에 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이 참고정보 원을 검색할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검색항목은 제목으로 나타났고, 주제분야, 설명, 제작자 순으로 나타났다.
  • 특히 그 편차가 큰 항목은 형태, 원정보원, 날짜, 관련정보원, 기여자, 저작권, 제작자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에서 형태, 원정보원, 날짜, 관련정보원, 기여자는 실제 시스템에 3% 이하의 입력율을 보였던 항목이지만 설문응답결과에서는 응답자의 70% 이상이 이 모든 항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만을 가지고 온라인 참고정보원용 메타데이터 항목을 최종 제안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보며, 단지 이러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후 참고정보원에 메타데이터를 최종적으로 제안함에 있어 본 연구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설문에 응답한 그룹으로 하여금 실제로 데이터를 입력하게 해 보고, 다시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 항목에 대한 필요성을 묻고, 그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가 2단계 연구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 관련 연구를 살펴 볼 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 생성시 이용자 사용성 테스트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를 개발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앞서 지금까지 메타데이터 개발이 주로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는지를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집단을 소속도서관 유형별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마도 대학도서관 사서와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데이터 입력 선호 항목에 차이가 있을 것이고, 그 입력되는 메타데이터 항목의 수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이를 위해 지난 2년 동안 운영되어온 CRRS 시스템의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이론 및 시스템분석을 통해서 도출된 17개 메타항목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통해 실제 시스템 이용현황과 이용자 인식 조사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집단간 차이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한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 관련 연구를 살펴 볼 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 생성시 이용자 사용성 테스트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를 개발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또한 지난 2년 동안 운영되어온 시스템에 불특정 다수가 입력한 메타데이터 항목에 대한 데이터 입력현황과 설문을 통해 응답자집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메타데이터 항목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해 두 집단의 결과들을 모두 백분율로 환산하였으며,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기법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참고정보원용 메타데이터를 개발함에 있어 지금까지 운영되어 온 온라인 참고정보원 시스템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각 메타데이터 항목의 필요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를 제안 함에 있어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자들이 제안한 메타데이터 항목(elements)을 조사하고 실제로 참고 정보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의 메타데이터 항목을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인식을 묻기 위한 설문을 수행하였다.
  • 본 절에서는 지난 2년 동안 관리자의 통제 없이 불특정 다수에 의해 운영되어 온 CRRS 시스템의 사용통계를 간단하게 소개하고 이와 비교하여 설문결과를 분석 하였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누구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는 것과, 누구나 주제분야나 정보원 유형을 생성할수 있다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입력하는 이용자 집단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 항목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실제로 지난 2년 동안 운영되어온 시스템의 데이터 입력현황과도 비교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를 개발함에 있어 지금까지의 선행연구 및 관련 메타데이터를 검토할 뿐만 아니라 실제 참고정보원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인터넷 참고 정보원 메타데이터 항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 관련 연구를 살펴 볼 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 생성시 이용자 사용성 테스트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를 개발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앞서 지금까지 메타데이터 개발이 주로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는지를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 항목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 대상으로 제시될 메타데이터 항목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와 참고정보원 서비스 시스템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내용을 제시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 특히 본 연구는 인터넷 참고정보원 메타데이터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2008년에 개발된 협력형참고정보원시스템(CRRS: Collaborative Reference Resources Service System)1)의 메타데이터 항목에 대한 이용자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 항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실제 시스템에 입력된 메타데이터 항목과 설문응답자가 선호하는 메타데이터 항목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참고정보원용 필요 항목에 대해 성별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참고정보원용 필요 항목에 대해 연령별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참고정보원용 필요 항목에 대해 최종학력 별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5: 참고정보원용 필요 항목에 대해 응답자 소속도서관 설립주체별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6: 참고정보원용 필요 항목에 대해 응답자의 소속도서관 유형별로 유의한 인식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7: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선호하는 검색항목은 제목 항목과 키워드 항목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데이터의 개발 한계성은? 그러나 메타데이터의 개발은 일반적으로 메타데이터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개발된 메타데이터에 실제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은 메타데이터 전문가가 아닌 그 분야 주제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서(Crystal & Greenberg 2005), 두 집단 간의 인식차이 및 실제 유용성에 대한 인식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Onyancha, Keizer, & Katz(2001)는 실험연구를 통해 많은 기관들에서 이러한 주제전문가에 의해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구축될 지식베이스에 적합한 메타데이터를 개발할 때 어떻게 개발해야 바람직한가? 즉, 개발된 메타데이터 구조에 실제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주체는 메타데이터의 전문가가 아니며, 메타데이터의 구조나 원리에 대해서 전문가가 아닌 주제전문가나 일반이용자이다. 따라서 구축될 지식베이스에 적합한 메타데이터를 개발할 때 해당 분야와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총체적으로 분석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인식 조사 및 사용성 테스트를 거쳐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각 메타데이터 항목의 필요성에 대해 이용자집단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각 메타데이터 항목의 필요성에 대해 이용자집단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성별, 연령별, 최종학력별, 소속도서관의 설립주체별, 소속도서관 유형별 차이 등을 Kruskal-Wallis 검정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대별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하나도 없었고, 최종학력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형태와 식별자로 나타났다. 문헌정보학 전공여부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있는 항목은 제목, 제작자, 주제분야, 유형, 날짜, 형태, 소장위치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항목에서 집단간 인식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립주체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는 항목은 식별자, 원정보원이었고, 소속도서관 유형에 따라서는 주제분야와 관련정보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와 3은 기각되었고, 가설 4, 5, 6은 부분적으로만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곽정. 2007. 현용, 준현용 단계의 기록물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기록학연구, 16: 3-37. 

  2. 김연정. 2004. 전자문서 보존용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 대학원. 

  3. 김정현. 2008. TV 광고자료의 메타데이터 요소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125-146. 

  4. 김현희. 2001. 기록물정보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8(4). 

  5. 남궁황. 2004. ISAD에 기반한 공문서 메타데이터 요소 설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1). 

  6. 노영희. 2008. UCC 원리를 이용한 웹기반 참고정보원의 공동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187-212. 

  7. 문정순. 1999. 웹기반 참고정보원 사이트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229-253. 

  8. 설문원. 2004. 행정기관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분석: ISO 15489를 기준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1): 217-242. 

  9. 송재윤, 이응봉. 2001.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기계공학분야 웹 정보자원의 주제 게이트웨이 설계에 관한 연구. 제9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31-138. 

  10. 안영희, 박옥화. 2009. 이러닝 콘텐츠 아카이빙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147-162. 

  11. 이미화, 이나니. 2003. 협력참고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3): 219-236. 

  12. 이지영. 2008. 학업결과물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지식처리연구, 9(1/2): 44-57. 

  13. 이진경, 김희정. 2009. 방송 기록물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269-295. 

  14. 이현실, 한성국. 2006. 기록관리 메타데이터의 개념모델링. 정보관리학회지, 23(3): 23-48. 

  15. 최윤경. 2008. 디지털 강의자원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확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6. 한종협. 2001. 해양수산분야 전자정보자원 메타데이터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제8회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외 논문집, 117-124. 

  17. 황윤영, 임혁수, 이규철. 2005. 국가 전자기록물 영구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학술대회지, 한국정보과학회. 

  18. Agresti, A. 1990. Categorical Data Analysis. New York: John Wiley. 

  19. Beer, C. A., et al. 2009. Developing a Flexible Content Model for Media Repositories: A Case Stud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 Proceedings of the 9thACM/IEE-CSjointconfe-renceon Digital Libraries, 97-100. 

  20. Crystal, Abe and Jane Greenberg, 2005. Usability of a Metadata Creation Application for Resource Author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7(2): 177-189. 

  21. Onyancha, I., J. Keizer, and S. Katz. 2001. A Dublin Core Application Profile in the Agricultural Domain. In K. Oyama & H. Gotoda(E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blin Core and Metadata Applications 2001(185-92). Tokyo, Japan,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22. Rubin, N. 2009. Preserving Digital Public Television: Not Just an Archive, but a New Attitude to Preserve Public Broadcasting. Library Trends, 57(3): 393-412. 

  23. Tous, R., et al. 2008. A TV Digital Assets Interchange Framework Based on Emerging Standard. Consumer Electronics, ISCE, 1-4. 

  24. Trigg, J. et. al. 1999. Moving Document Collections Online: The Evolution of a Shared Repository. In: S. Bodker, M. Kyng and K. Schmidt, Editors, Proceedings of the Sixth European Conference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Kluwer Academic Publishers, Copenhagen, Denmark: 331-3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