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도시공원의 장소적 재현 - 기념성, 상징성, 장소기억을 중심으로 -
Urban Parks in Seoul as Place Representation - Focusing on Monumentality, Symbolism & Place Memor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2, 2010년, pp.37 - 52  

한소영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대에 조성되기 시작한 서울의 도시공원의 조성과 관련한 제 전반의 사항들이 어떤 흐름으로 변화해왔는지를 고찰하기 위함을 주요 목적에 두고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개방 이후 조성된 서울의 대부분 공원들이 다양한 형태의 기념성,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거나 혹은 장소 자체 기억을 재현할 것이라는 가설을 전제하고 연구를 착수하였다. 공원 내 상징성, 기념성, 장소기억의 물리적 혹은 비 물리적 요소들의 재현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 내 기념성 및 상징성이 물리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기념비, 동상 등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이는 공원의 조성 목적이 기념공원에 부합하는 경우 좀 더 적극적인 형태로 기념비적 요소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 이외의 경우는 공원 전체의 개념과는 관계없이 국가에서 임의로 지정한 상징성을 띠는 조각물이나 동상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장소기억의 경우, 과거에는 기념성이나 상징성 구현 방법과 같이 동상이나 일부 건조물 등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일정 시기 장소기억을 공원 전체에 조화시키는 양상을 띠기 시작한다. 둘째, 비 물리적 재현요소들의 경우 공원 명칭에서 기념성 및 상징성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 들어서는 명칭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경우는 많이 약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공원의 부분 장소 명칭에서 장소기억과 관련하여 지어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공원 내에서 벌어지는 이벤트의 경우, 탑골공원 등 개방 초기 조성된 공원들에서 일부 당시의 시대 상황을 기념하기 위해 설정된 경우 등이 있었다. 장소기억이 강조되어 최근 조성된 공원들의 경우 이와 관련하기 보다는 다양한 형태로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것을 가장 큰 목적에 두고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lace representation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urban parks in Seoul, which bega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order to grasp place representation,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most urban parks are undertaken with the idea of monumen...

주제어

참고문헌 (55)

  1. 강내희(2000) 재현체계와 근대성: 재현의 탈 근대적 배치를 위하여, 문화과학 24: 15-38. 

  2. 강신용, 장윤환(2004) 한국근대 도시 공원사. 서울: 대왕사. 

  3. 경향신문(1985년 3월 6일자) 사직공원 성역화. 

  4. 권형진(2008) 박정희 정권의 아동정책 읽어내기: 어린이대공원의 조형물을 통하여. 한국입법정책학회지 2(2): 121-153. 

  5. 김덕삼(1991) 한국도시공원의 변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영범(1998) 집합기억의 사회사적 지평과 동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 김영상(1958) 서울명소고적.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8. 김은남(1994) 성역인가 공원인가: 독립문, 서대문 독립공원. 한국논단 54: 160-168. 

  9. 김한배(2006) 기념 경관의 탄생, 성장, 상흔(월간 환경과 조경편. "Park Scape: 한국의 공원"). 서울: 도서출판 조경. pp. 294-295. 

  10. 김향자(1987) 도시공원 계획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노윤경(2008) 서소문공원 리노베이션 설계. 서용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동아일보(1977년 8월 10일자) 서울시내 선열동상 위치선정 잘못 많다. 

  13. 동아일보(1982년 1월 8일자) 전근대적인 동상들 

  14. 문화관광부(2007) 서대문형무소 활용방안 연구. 

  15. 민주현(1994) 서울시 공원녹지 형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인재(2002) 서울시 도시공원의 변천에 관한 고찰.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주식(2001) 제국의 지도 그리기: 장소, 재현 그리고 타자의 담론. 비평과 이론 6(1): 135-156. 

  18. 박준서(2006) 기념성과 실용성의 조화(월간 환경과 조경편. "Park Scape: 한국의 공원"). 파주: 도서출판 조경. pp. 314-315. 

  19. 배정한(1998) Locus 1: 조경과 문화. 서울: 도서출판 조경문화. 

  20. 배정한(2007)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파주: 도서출판 조경. 

  21. 서울특별시(1981) 서울육백년사 제4권. 서울특별시. 

  22. 서울특별시 건설관리안전본부(2002) 생명의 나무 천만그루 심기: 1998-2002 서울시 공원녹지 정책성과 자료집. 서울특별시. 

  23. 손정목(2003a) 서울도시계획이야기 3. 서울: 한울. 

  24. 손정목(2003b) 서울도시계획이야기 4. 서울: 한울. 

  25. 손정목(2003c) 서울도시계획이야기 5. 서울: 한울. 

  26. 신상섭(2003)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조경사 분야의 연구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6(1): 103-115. 

  27. 양병이(1986) 한국조경의 반세기에 관한 역사적 고찰. 도시문제 21(12): 46-67. 

  28. 오창송(2002) 폴드(Fold)개념을 이용한 조경설계 방법 연구. 도산공원 재설계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명주(2003) 산업시설 이전적지 장소성 구현을 위한 조경설계의 전략: 선유도공원을 중심으로.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상민(2006) 설계 매체로 본 한국 현대 조경설계의 특성: 현상설계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상민, 조정송(2004) 서울숲 조성 설계공모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 조경학회지 31(6): 15-27. 

  32. 이유직(2008) 독립공원의 조경사적 의의. 한국조경학회지 31(5): 146-154. 

  33. 이태교(1997) '조순 작품' 여의도공원 기대 반 우려 반. 동아일보 매거진: 신동아 pp. 202-205. 

  34. 장윤환(2000) 혼란기 서울도시공원의 수난과 정착과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근식(1995) 집단적 역사 경험과 그 재생의 지평(한국사회사학회편, "설화와 의식의 사회사") 서울: 문학과 지성사. 

  36. 정영선(2002) 되돌아 본 한국 조경의 30년. 한국의 조경 1972-2002: 한국조경학회 창립 30주년 기념집. pp. 111-117. 

  37. 정호기(2002) 가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 한국에서의 민주화 운동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조경뉴스(1990년 3월 10일자) 서대문 구치소 공원화 계획 중단. 

  39. 진양교(1999) 여의도 만가, 문화도시.문화복지 2: 14-17. 

  40. 진양교(2000) 하늘에 걸린 초원: 난지하늘초지공원의 공간과 의미 환경과 조경 10: 92-101. 

  41. 최기수(1994) 서울의 景과 曲.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42. 최정민(2008) 현대 조경에서의 한국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환경과 조경 편집부(1992) 구암근린공원. 환경과 조경 3: 156-159. 

  44. 환경과 조경 편집부(2006) PARK SCAPE: 한국의 공원. 파주: 도서 출판조경. 

  45. 환경계획연구소(1987) 작품: 파리공원 및 관리사무소. 건축문화 75: 87-89. 

  46. 황기원(2001) 서울 20세기 공원.녹지의 변천(서울시정개발연구원편. "서울 20세기 공간 변천사"). 

  47. Berger, J.(1980) About Looking. New York: Vintage. 

  48. Clark, T.(1997) Art and Propaganda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Political Image in the Age of Mass Cultures. New York: Calmann & King Ltd. 

  49. Gills, J. R.(1994) Commemorations: The Politics of National Identity.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50. Harvey, D.(1989) 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An Inquiry into to Origins of Cultural Change. Oxford: Blackwell. 

  51. Johnson, N.(1995) Cast in Stone: Monument. Geography and Nationalism. Environmental Planning D 13: 51-65. 

  52. Miles, M.(2000) Art, Space and the City. New York: Routledge. 

  53. Selby, H. A.(2001) Social Memory in Argentina. 5.18 기념재단 초청강연 발표문. 

  54. Zoh, Kyung-Jin. Jeong-Hann Pae(1999) Conflicts and Problems of Foreign Models in Designing Youido Park. IFLA Eastern Region Conference Proceeding. 

  55. http://parks.seoul.go.kr/par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