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도시공원에서 나타나는 복지이념 구현양상 및 실천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bodiment Aspects and Practice Strategies of Welfare Ideology in Contemporary Urban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6, 2014년, pp.60 - 71  

조한솔 (국립산림과학원) ,  한소영 (서울연구원)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공원이 복지이념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도시공원이 현재 담보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중, 복지혜택을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점에 주목하여 도시공원이 가진 복지와 관련된 의미를 현재 일어나는 공원과 복지영역 간의 연계의 움직임을 통해 살펴보았다.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도시공원이 제공한 장점들 중 복지혜택에 대한 이점, 실천 등을 살펴보고, 사회복지혜택과 비교하고, 이러한 혜택이 현대에 어떻게 발현되고, 실천되고 있는지를 미국과 우리나라 도시공원들의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공원은 복지이념의 실현 장소이자, 복지혜택 창출의 공간이자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현대에 들어서도 도시공원은 실제로 사회의 복지적 상태를 측정하는 지표로 쓰이고 있으며, 도시민들에게 보편적으로 이득을 줄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재화이다. 둘째, 현대에 들어 복지의 이념을 가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도시공원들은 다양한 복지기관들과 함께 다방면의 통합적 설계가 시도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복지기관들은 도시공원의 자원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사용하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도시공원에서 나타난 복지이념의 표출 방식이 과거에는 단순히 선언적이었던 것과 달리, 현대에 들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프로그램과 전략들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복지이념을 가시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공원 내외의 복지기관 및 프로그램들과 함께 다방면의 통합적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도시공원이 가지고 있는 자원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과 함께 지역 복지 관련 기관 및 단체와 세부적 활용을 전략적으로 견인한다면 도시공원은 주민 생활에 좀 더 가까워지고,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n the assumption that the urban park originally is imbued with a public welfare ideology, said public welfare ideology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attended to among the various social roles that the urban park currently fulfills. Aspects of welfare meaning in urban parks were attem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지 목표변화에 따라 복지지표에 담긴 복지의 의미는 국가적 객관적 지표 구성에서 능동적 개인적 삶의 짊의 향상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웰빙은 단순한 신체적 문제를 넘어 다 영역간의 총체적인 문제와 영역을 담고 있는 객관적 복지지표와 주관적 복지지표를 아우르는 개념이기 때문에 웰빙 척도는 복지지표로 중요 하게 다뤄진다. 기존의 복지척도가 국가 수준의 지표로서의 역할을 했다면 웰빙으로서 복지는 좀 더 개인적인 건강과 만족, 행복한 삶에 대한 문제와 관계된다. 웰빙은 개인적인 안녕의 정도를 의미할 때는 ‘삶의 질’로 해석되지만, 더 확장시켜 사회, 산업과 관련지어 해석하게 되면 사회적인 시스템이 기능을 충분히 해 개개인의 행복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Veenhoven, 2000: 91-125). 따라서 복지목표 변화에 따라 복지지표에 담긴 복지의 의미는 국가적, 객관적 지표 구성에서 능동적 개인적 삶의 질의 향상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도시공원이란 무엇인가요? 포괄적 자연자원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는 도시공원은 도시 환경의 생태계를 이루는 중요한 보장요소이자 복지 재화요소다. 무엇보다 도시공원은 자연으로부터 주어지는 형태가 아닌 인간 스스로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원이기 때문에 도시민의 생활환경과 삶의 질을 지역에 기반 하여 평가하는데 있어, 녹지 및 도시공원의 절대적 양과 분포는 중요한 지표수단으로 쓰이기도 한다.
국가의 사회지표란 무엇인가요? 국가의 사회지표는 한 국가의 사회 발전의 정도 및 사회복지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이다3). 다양한 사회지표가 생성되고 만들어지던 1960년대에서부터 1980년대까지 국가가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복지의 주요 이슈는 생계와 안정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oland, M.(2003) Crissy Field- A New Model for Managing Urban Parklands. Places, Cambridge: College of Environmental Design. UC Berkeley. 

  2. Cabe space(2003) The Value of Public Space. CabeSpace. 

  3. Edinburgh College of Art and Heriot-Watt University, "Open Space: the Research Centre for Inclusive Access to Outdoor Environments" http://www.eca.ed.ac.uk/architecture-landscape-architecture/research/centres/openspace (access : 2014.11.20.) 

  4. Greve, B.(2008) What is welfare. Centr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Policy Vol. 2. 

  5. Howard, E.(2012) Garden Cities of To-morrow. London: General Books LLC. 

  6. Kim, J. H.(2003) On the Welfare State. Seoul: Daemyung. 김정헌(2003) 복지국가론. 서울: 대명. 

  7. Kim, S. K, H. S. Joh, A. N. Kim, Y. K. Kim, E. J. Kang, H. W. Shin, S. Y. Yoon and Y. H. Joh(2006) A Study on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Policies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김승권, 김유경, 김상철, 조흥식, 백종만, 임성은(2006)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발전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Koh, J. K., Y. J. Lee, J. I. Lee, M. Y. Song, D. Y. Kim and S. J. Kang (2012) Environmental welfare is the future welfare. Issue & Diagnosis Vol. 3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고재경, 김동영, 이양주, 강상준, 이정임, 송미영(2012) 미래의복지는환경복지. 이슈&진단 (35). 경기개발연구원. 

  9. Nigel, D., S. Carys and H. Woolley(2002) Improving Urban Parks, Play Areas and Green Spaces, Department of Landscape, University of Sheffield. 

  10. Regional Public Health(2010) Healthy Open Spaces. Regional Public Health in Wellington Region. 

  11. Schuyler, D.(1986) The New Urban Landscape: The Redefinition of City Form in Ninetheenth-Century America, London: Johns Hopkins. 

  12. Seattle Government(2006) Seattle's Park and Recreation 2006 Development Plan, Seattle. 

  13. The Trust for Public Land(2011) The Economic Benefits of Seattle's Park and Recreation System, San Francisco: The Trust for Public Land. 

  14. Urban Parks Forum(2002) Your Parks, the Benefits of Parks and Green Space. London: Urban Parks Forum. 

  15. Veenhoven, R.(2000) Well being in the welfare state level not higher, distibution not more equitable. Journal of Comparative Policy Analysis 2: 91-125. 

  16. Walker, A.(1997) Whither Welfare?. The Student's Companion to Sociology. Ballard, C.(eds) Oxford, Blackwell. 

  17. Walker, C. (2004) The Public Value of Urban Parks, a Broader View of Urban Parks, The Urban Institute: Washington. 

  18. Yoon, K. J. and K. Y. Kim(2010) Calculation and comparison of "Wellbeing Indicator" for OECD countries. The Forum of Health and Welfare (159): 86-98. 윤강재, 김계연(2010) OECD 국가의행복지수산정및비교. 보건복지포럼 (159): 86-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