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냉동식품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Commercial Frozen Fo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5 no.2, 2010년, pp.122 - 128  

박선희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경식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유영아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재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정성국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한기영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무상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년 4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 관리팀에 의뢰된 냉동식품 100건을 대상으로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대장균과 장구균의 오염도를 조사였으며, 분리된 장구균을 대상으로 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4CFU/g$ 이고 대장균군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3CFU/g$ 이고 대장균은 100건 모두에서 불검출되어 0.0%의 검출률을 보였다. 100건의 검체 중 총 22건에서 장구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가운데 12주는 E. faecium, 7주는 E. faecalis, 2주는 E. gallinarum, 1주는 E. hirae이었다. 분리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을 검사 한 결과,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은 erythroycin, rifampin, teracycline ciprofloxacin, chlorampenicol, penicillin이며, vancomycin, ampicillin, gentamicin, strepomycin, linezolid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이었다. 또 22건의 분리 균주 중에서 2종 이상의 항생제에 다제 내성을 나타낸 균주가 15주나 되며 가장 많은 형태로는 6균주의 장구균에서 나타난 E-RA에 대한 것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April to December in 2009, microbial investigation is accomplished for 100 frozen foods asked to microbial control team that corresponds with total aerobic viable bacteria, coliform group,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spp. and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Enterococcus spp. isolates ar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부를 확인히.고 장구균의 규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지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분리된 징'구균을 대상으로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여 식품을 통한 장구균의 항생제 위해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고 장구균의 규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지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분리된 징'구균을 대상으로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여 식품을 통한 장구균의 항생제 위해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냉동식품에서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대장균, 장구균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여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분변 오염 지표세균으로서 대장균보다 장구균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히.고 장구균의 규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지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T. M. Kang, S. K. Cho, and J. H. Park. : Antibiotic resistances of Enterococcus isolated from salad and sprout.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2, 142-148 (2008). 

  2. Murry, B. E. : The life and times of the Enterococcus. Clin. Microbiol. Rev. 3, 46-65 (1990). 

  3. Schlefer, K. H. and R. Kilpper-Balz. : Molecular and chemotaxonomic approach to the classification of streptococci, enterococci and lactococci. Review. Syst. Appl. Microbiol. 10, 1-18 (1987). 

  4. Hyun Mi Kang, Byeong Yeal Jung, Jin San Moon, Hee Soo Lee, Gum Chan Jang, Jong Man Kim, and Choong Il Chung. : Rapid detection of Enterococcus speci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prevalence in viablestock. Kor. J. Vet. Publ. Hlth, 25, 4, 92-96 (2001). 

  5. Sherman, JM : The streptococci. Bacteriol. Rev., 1, 3-97 (1937). 

  6. Collins, M. D., D. Jones, J. A. E. Farrow, R. Kilpper-Balz, and K.H. Schleifer. : E.avim nom. rev.,comb. nov.; E. casseliflavus nom. rec., comb. nov. E.durans nom. rev., combnov.; E. gallinarim comb nov. Int. Syst. Bacteriol. 34, 220-223 (1984). 

  7. D. H. Kim, B. S. Kim, S. Y. Baik, K. H. Lee, K. S. Oh, and H. S. Kark : The study on Enterococcus as indicator of fecal contamination of foods.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8(1), 27-33 (1991). 

  8. L. Scott Donnelly and P. A. Hartman : Gentamicin based medium for the isolation of group D streptococci and application of the medium to water analysis. Appl and Environ. Microbial., 35, 576-581 (1978). 

  9. Mundt, O. J. Enterococci. : In P.H.A. Sneath, N. S. Mair, M. E. Shape, and G. E. Holt (eds.), Bergey's Manual of Systemic Bacteriology. Vol. 2,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MD, USA, 1063-1065 (1986). 

  10.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제10. 일반시험법 8. 미생물시험법 (2008). 

  11. Paveova, M. T., F. T. Brezenski, and W. L. Litsky. : Evaluation of various media for isolation, enumeration and identification of fecal streptococci from natural sources. Health Lab. Sci. 9, 289-298 (1972). 

  12. Richard R. Facklam. : Recognition of group D Streptococcal species of human origin by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tests. Appl. Microbiol., 23, 1131-1139 (1972). 

  13. J. Orvin Mundt. : Streptococci in dried and frozen foods., J. Milk Food. Technol., 39(6), 413-416 (1976). 

  14. L. R. Beuchat and R. V. Lechowich. : Survival heated streptococcus feacalis as affected by phase of growth and incubation temperature after thermal exposure. J. Appl. Bact. 31, 414-419 (1968). 

  15.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Disk Susceptibility Test ; Approved Standard - Ninth Edition, pp. 52-5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