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녹지네트워크의 기능향상을 위한 서울시 중구의 옥상녹화 입지 선정 - 조류를 목표종으로 활용하여 -
Selection of Green-Roofs' Location to Improve Green-Network in Junggu, Seoul - Using a Bird as Target Species -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0 no.6, 2010년, pp.3 - 10  

박종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양병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ject is to find green roofs' location as stepping stones in green-network in fine scale. The study site is Junggu, Seoul, which has core areas(Bukaksan and Namsan) and green areas(parks, etc.).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loser to core areas and green areas, target species reach green r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생태계의 회복을 위한 계획기법으로서 녹지네트워크는 단절된 생물 서식공간의 상호 연결성을 확보하여 생물종의 이동성을 높이고, 생물서식공간이 건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서(김종원, 2005) 고밀화된 대도시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서울시에서는 부족한 녹지 확보 및 도시환경문제에 대한 실천적 방안으로서 옥상녹화 시범사업을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하여 왔다(서울시, 2006). 또한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축물녹화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으며(한국조경신문, 2010), 옥상녹화가 도시의 열순환과 물순환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입지들을 파악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옥상녹화는 소생물권으로서 의미가 높으며, 녹지네트워크에서는 징검다리 녹지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김종원, 2005).
  • 본 연구는 옥상녹화가 녹지네트워크의 요소로서 징검다리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결국 옥상녹화의 효과적인 입지적 분포가 요구된다는 필요성에 기인한다. 이에 옥상녹화의 입지와 그 분포를 결정시키는 요소들을 도출하여 이들을 국지지역적 관점이 공간적으로 특화된 입지 기준으로 변환한 후, 이를 평가하여 바람직한 옥상녹화의 입지를 선정하고, 대상지에서 그 분포가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지지역적인 옥상녹화의 적지선정을 위한 방법론으로 녹지네트워크 형성기법을 활용하고, 그 형성구조에 맞는 옥상녹화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며, 공간적인 관점에서 입지를 선정하고, 그 분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옥상녹화가 녹지네트워크의 요소로서 징검다리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결국 옥상녹화의 효과적인 입지적 분포가 요구된다는 필요성에 기인한다. 이에 옥상녹화의 입지와 그 분포를 결정시키는 요소들을 도출하여 이들을 국지지역적 관점이 공간적으로 특화된 입지 기준으로 변환한 후, 이를 평가하여 바람직한 옥상녹화의 입지를 선정하고, 대상지에서 그 분포가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보다 현실성 있는 옥상녹화의 입지를 선정하고, 그 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지를 선정하고, 이에 맞는 목표종과 입지기준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화와 도시화로 발생된 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산업화와 도시화로 발생된 지구 온난화, 오존층 파괴, 산성비,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는 국제적 협력 아래 지속가능한 개발로 귀결되면서 개발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시도되어 왔으며, 2009년 이후 한국에서는Z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시행에 따라 도시화된 공간에 생태계를 복원하고, 유지하기 위한 법제도적, 계획적 방안들이 모색되어 왔다. 도시생태계의 회복을 위한 계획기법으로서 녹지네트워크는 단절된 생물 서식공간의 상호 연결성을 확보하여 생물종의 이동성을 높이고, 생물서식공간이 건전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서(김종원, 2005) 고밀화된 대도시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서울시에서는 부족한 녹지 확보 및 도시환경문제에 대한 실천적 방안으로서 옥상녹화 시범사업을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하여 왔다(서울시, 2006).
녹지네트워크를 이루는 요소 중, 통로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녹지네트워크를 이루는 요소는 핵심지역, 거점지역, 통로 등이 있다(김종원, 2006;안영희, 2001). 통로는 생물의 이동통로로서 핵심지역 사이, 혹은 거점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각 지역 간의 생태적 연결성을 높일 수 있는 역할을 지닌다. 도시 내에서 통로의 개념은 선 형태와 징검다리(stepping stone) 형태로 구분되며, 통로를 통하여 먹이가 부족한 야생생물에게 먹이를 얻는 길을 제공하고, 생식적 교류의 길을 터주어 멸종의 위기를 막을 수 있다.
녹지네트워크의 역할은? 녹지네트워크는 과밀하게 도시화된 지역에 바람과 물을 공급하고 통로역할을 하며, 주변에서 발생하는 환경스트레스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김종원, 2006). 녹지네트워크의 구조는 도서생물지리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패치간의 거리가 짧을수록, 큰 패치와의 거리가 짧을수록 네트워크의 연결성 회복에 용이하다((財)都市綠化技術開發機構b,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남신(2005). GIS 실습: 아크뷰를 활용한 지도 제작과 공간 분석. 파주:한울 

  2. 김종원(2006). 녹지생태학. 서울:월드사이언스 

  3. 서울특별시(2006). 서울시 자연환경보전실천계획(안). 용역보고서. 서울:서울시정개발연구원 

  4. 서울특별시(2005). 서울 2005 도시생태현황도. 서울:서울시정 개발연구원 

  5. 이도원(2001). 경관생태학.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6. 채희영, 김창희, 백운기, 오홍식(2000). 조류생태학. 서울:아 카데미서적 

  7. 김귀곤, 조동길(2004).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개념을 도입한 옥상 생물서식공간 조성 기법에 관한 연구 - 유네스코회관 옥상을 사례로 -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4):32-43 

  8. 양병이(2004). 한국옥상녹화기술의 현황과 과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4) : 1-7 

  9. 윤소원(2005). 생물서식지 환경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3): 53-66 

  10. 최희선, 홍수영, 김귀곤, 양병이, 오휘영(2003). 서울시청 옥상정원 '초록뜰' 모니터링을 통한 식재식물과 이입식물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3):114-124 

  11. 최희선, 홍수영, 김귀곤, 양병이, 오휘영(2003). 서울시청 옥상정원 '초록뜰' 모니터링을 통한 식재식물과 이입식물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3):114-124 

  12. 박찬열(2001). 번식기 박새류와 곤충과 식물의 상호작용 네트워크. 서울대학교 농학박사학위논문 

  13. 박찬열(1994). 야생조류의 서식에 적합한 도시환경림 조성 및 관리방안. 서울대학교 농학석사학위논문 

  14. 박종훈(2007). 녹지네트워크를 고려한 옥상녹화대상건축물 선정 연구. 서울대학교 조경학석사학위논문 

  15. (財)都市綠化技術開發機構(2000).都市のエコロジカルネットワ- ク I. 日本:(株)ぎようせい 

  16. Forman, R. T. T. and Godron, M.(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17. Klopatek, Jeffrey M., Gardener, Robert H.(1999). Landscapae Ecological Analysis, USA:Springer-Verlag New York, Inc. 

  18. Marzluff, J.M., Bowman, R. and Donnelly, R.(2001). Avian Ecology and Conservation in an Urbanizing World, USA:Kluwer Acanemic Publishers 

  19. Moyer, Karen(2005). Green Roofs Feasibility Study - City of Waterloo. Canada. 

  20. Olin Sewall Pettingill, Jr(2000)(권기정, 이두표, 김창희, 이한수 역). Ornithology(조류학). 서울:아카데미서적 

  21. 작은누리 홈페이지 : http://nuri.unesco.or.kr 

  22. http://nuri.unesco.or.kr/zboard/data/data/200506_589.pdf, 

  23. 서울시청 홈페이지 : www.seoul.go.kr 

  24. 서울시 푸른도시국 홈페이지 : http://housing.seoul.go.kr 

  25. http://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65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