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물 시공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관리 방안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와 일본 현장의 대응 방안을 중심으로-
Greenhouse Gas Management Policy during Construction Execution Phase -Focused o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and Japanese Case-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0 no.5, 2010년, pp.139 - 150  

송상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til now, the eco-friendly construction (green construction) has been focused on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s in use(operation and maintenance) phase.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influence along the life cycle of construction project, the impact in execution phase is rather lower than that in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REEAM을 기초로 한 영국의 지속가능한 주택을 위한 규정을 검토한 바에 의하면, 공해방지 부문에서 지구온난화 저감을 위한 단열재 사용(Global Warming Potential(GWP) of Insulants)에 대한 내용이 본 연구의 범위와 관련이 있었다, 이 항목에서는 단열 또는 방음재의 제조, 설치, 사용, 폐기에서 발생하는 발포제로부터의 지구온난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평가한다.
  • 건설산업 차원과 현장 차원으로 구분하여, 시공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관리 현황을 살펴본 결과로 국내 현황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 따라서 지금까지 배출규모의 측정과 평가에 의해 형성된 심각성과 개선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건설사업 라이프사이클로 볼 때 설계단계와 사용단계를 연계하는 시공단계에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구체적인 저감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현시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에 대한 배출의 평가에서 나아가 이를 저감하기 위한 국내외 전략과 실행수단의 현황을 검토하고, 건설사업의 시공단계에서 지구온난화를 저감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을 거시적인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 또한, 건설산업 차원의 접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건설분야 친환경 요소의 구현을 위해 각 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인증제도 가운데에서 시공단계를 비롯한 현재 연구의 범위에 해당하는 항목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건설현장 차원의 접근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일본 현지조사에서는 공동주택(맨션), 주상복합건물, 초고층주거시설, 상업시설 등 다양한 유형의 건축공사가 이루어지는 현장을 방문하고, 현장 내 작업 과정에서의 환경영향 요인을 통제하는 방법과 자재조달에 있어서의 유의사항 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 다루는 시공단계의 온실가스 배출 관리와 관련한 산업 차원의 정책적 지원 현황 검토에 있어서는 국내외에서 운영 중인 건축물에 대한 인증제도의 평가항목 중 해당 사항을 우선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자재 공급업체 선정 시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제품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재 생산에 있어서의 친환경성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다양한 인증제도를 추가로 검토하였다.
  • 시공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발생은 자재의 생산과 설치를 위주로 하고, 현장 내에 운용되는 중장비 또는 차량으로부터의 직접적인 배출, 사무실을 비롯한 전체 현장 운영에 소요되는 에너지로부터 산정되는 간접적인 배출 등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온실가스의 저감을 위한 요구사항으로서 설계단계와 시공단계의 관리활동에 적용가능한 기준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활동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 건설의 전체수명주기에서의 환경 영향을 고려할 때 시공단계는 사용단계에 비해 다소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조직적인 활동에 의해 그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여지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라 시공단계를 중심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거시적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앞서 살펴본 건설산업 차원의 현황에서 나아가 건설기업과 현장 차원에서의 지구온난화 방지 노력을 조사함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건설부문 법제도와 생산체계에 있어서의 한국과 일본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일본에 대해 직접적인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본에서는 현장 4개소를 방문하고, 전반적인 환경관리 활동을 비롯하여 온실가스의 배출과 자재 조달에 있어서의 고려사항에 대해 조사하였다.
  • 이러한 기존 연구상의 미비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공단계의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산업차원과 현장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친환경성은 자재의 생산과 운송과정에서의 환경 부하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에서의 자재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합리적인 자재 선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비된 다양한 인증제도를 국내제도 위주로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1) 설계단계와의 연계 : 설계단계는 시공단계에 투입되는 자재의 상세 내역이 결정되는 단계이다. 현재 재료 자체의 친환경성을 평가하여 이를 자재 선정에 반영하고 있으나 여기에 해당 자재의 생산과정 측면에서의 친환경성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ED는 어디에서 시행하는가? 미국 그린빌딩협의회(U.S.
LEED란? S. Green Building Council, USGBC)에서 시행하고 있는 LEED(Leadership in Energy & Environmental Design)는 건물 전체의 관점에서 환경 성능을 평가하고 친환경 건축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환경 성능 인증기법이다 (신성우, 2007). LEED의 평가체계에는 지속가능한 대지(sustainable site), 수자원(water efficiency), 에너지와 대기(energy and atmosphere), 재료와 자원(materials and resources), 실내공기질(indoor environmental quality), 신기술 및 디자인 과정(innovation and design process), 지역성(regional priority) 등의 부문이 있으며, 각 세부항목별 점수에 따라 인증등급이 결정된다 (USGBC, 2009).
건설사업 시공단계에서 온실가스의 배출 관리에 의하여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것을 구분하면? ∙ 직접적인 배출 관리 : 건설현장 내에서 온실가스와 에너지 사용에 대해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운영과정에서 측정, 모니터링, 실행 평가 등을 수행하는 것 ∙ 간접적인 배출 관리 : 건설현장 외부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에 대한 저감 방안을 수립하고 관리하는 것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301호, 환경부고시 제2010- 52호, 친 환경건축물 인증기준, 2010 

  2. 김경래, 환경친화형 통합 공사관리 기술, 친환경건축 기술, 친 환경건축 연구센터, 2007 

  3. 김선식 외 3인,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한 건축물 내부 벽체 컴포넌트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4권 제1호, 2008, 95-103 

  4. 김윤덕 외 3인, LCC와 LCA 기법을 통합한 친환경 건축기술 의 경제성 평가방법 제안, 2009년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 대회 논문집, 2009, 217 - 221 

  5. 김정용, 김영석, 김재준, 에너지소비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을 통한 건축 바닥 컴포넌트의 친환경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4권 제11호, 2008, 297-304 

  6. 김종엽 외 2인, 공동주택 신축단계에서의 에너지 소비 및 $CO_2$ 배출 특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1권 제4호, 2005 

  7. 김종엽, 이승언, 손장열, 건축물 건설단계에서의 에너지소비량 및 $CO_2$ 배출량 원단위 산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0권 제10호, 2004, 319-326 

  8. 김종엽, 김성완, 손장열, 건축물 LCA를 위한 건설자재의 환경 부하 원단위 산출 연구-산업연관표에 의한 에너지소비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0권 제7호, 2004, 208-215 

  9. 김지혜, 차희성, LCA 환경 부하 측정을 통한 친환경 건설 생산 시스템 구축 방안, 건설관리, 제7권 제4호, 2006, 19-22 

  10. 김태형, 태성호, 콘크리트 $CO_2$ 평가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2009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외 논문집, 제9권 제2호, 51-54 

  11. 무라카미 슈조, 실례로 배우는 지속가능한 친환경 건축, 손원 득, 박경순 역, 기문당, 2010 

  12. 박상동, 그린빌딩 건축계획, 기문당, 2009 

  13. 박지호, 김태경, 김경래, 건설 공종별 친환경 시공 관리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7 

  14. 신성우, 친환경건축기술, 친환경건축 기술, 친환경건축 연구센터, 2007 

  15. 신재규, 김유민, 손장열, $CO_2$ 배출량에 따른 노후 공동주택의 재건축 판단 방안 연구, 2009년도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661-664 

  16. 이강희, 양재혁,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 산정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6호, 2009, 43-50 

  17. 이강희, 철골조와 벽심조 공동주택의 환경영향 비교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5권 3호, 2004, 83-91 

  18. 이강희, 공동주택의 신축공사와 리모델링 공사에 공종별 에너지 소비량 및 환경영향 비교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4권 5호, 2003, 65-74 

  19. 이강희, 채창우,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한 공공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출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8권 제5호, 2002, 99-107 

  20. 이강희, 이경회, 건축활동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2권 제7호, 1996, 197-204 

  21. 이병윤, 김보라, 김광희, 조적벽의 $CO_2$ 배출비용을 포함한 건설원가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10권 제 3호, 2010, 83-90 

  22. 이복남, 녹색성장 시장에서 건설관리의 역할 선택, 건설관리, 제10권 제6호, 2009 

  23. 이윤규, 이강희, 공동주택의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특성, 설비공학논문집, 제13권 제9호, 200, 868-878 

  24. 이종식 외 3인, 공동주택 건축기술요소의 $CO_2$ 배출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9호, 2009, 275-284 

  25. (재)건축환경.에너지절약기구, CASBEE 마을 만들기, 최정 민, 강순주 역, 건국대학교출판부, 2009 

  26. 전명희 외 3인, 건설 프로젝트 시공단계의 온실가스 배출 영 향요인 분석, 2009년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0-266 

  27. 최재휘 외 3인, 철근 생산과정의 에너지 사용량 및 $CO_2$ 배출량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2010, 101 - 109 

  28. 한국 LEED 연구소, LEED, 미래의 건축, 새로운사람들, 2009 

  29. 홍성욱, 김지수, 조영상, 철골구조 고층건물의 가새골조시스템에 따른 물량산출 및 $LCCO_2$ 분석에 관한 연구, 2008년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157-160 

  30. Bilec, M. et al., Example of a Hybrid Life-Cycle Assessment of Construction Processes, Journal of Infrastructure Systems, Vol. 12, No. 4, December 2006, 207-215 

  31. Junnila, S., Horvath, A., and Guggemos, A. A., Life-Cycle Assessment of Office Building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Infrastructure Systems, Vol. 12, No. 1, March 2006, 10-17 

  32.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Code for Sustainable Homes : Technical Guide, RIBA Publishing, 2009 

  33.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CO_2$ Emission from Fuel Combustion 2009 Edn., OECD/IEA, 2009 

  34. USGBC, LEED 2009 New Construction and Major Renovations, USGBC, 2009 

  35. (社)日本建設業??連合?, (社)日本土木工業協?, (社)建築業 協?, 建設業の環境自主行動計?(第4版), 2007 

  36. (財)建築環境.省エネルギ―機構, 建築物總合環境性能評價シス テムCASBEE-新築(簡易版) 評價マニュアル, 2008 

  37. UR都市機構, 平成21年版環境報告書, ?立行政法人都市再生 機構, 2009 

  38. ?土交通省, $CO_2$ 排出低減に資する低燃費型建設機械の指定に ?する規程, ?土交通省, 2007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