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대시 구조의 소음진동 성능개선을 위한 단순 상사구조물의 소음방사성능 연구
Study on Acoustical Radiation from Simplified Systems of a Dash Structure for NVH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20 no.10 = no.163, 2010년, pp.931 - 939  

임차섭 (현대자동차 기능시험1팀) ,  유지우 (현대기아자동차 해석기술팀) ,  박철민 (현대자동차 해석기술팀) ,  조진호 (NVH Korea(주) 시험평가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ash panel plays an important role to protect noise as well as heat. Meanwhile, it is also the most important path that transfers energy to the interior cavity, so that some of noises are transferred via air and its structural vibration becomes a major issue. From the viewpoint of NVH perform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약 600~800 Hz 이하 대역에서는 평판의 기여도가 훨씬 크지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프레임의 기여도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된다. 따라서, 프레임이 포함된 방사파워를 시험 해석간 우선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평판만의 방사특성을 검토하는 것이지만, 시험의 경우 평판과 프레임의 기여를 명확히 분리해 내기 어려우므로, 평판만의 방사파워와 방사효율은 해석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한 필요조건은 평판과 프레임에 의한 방사파워가 시험-해석간 일치하는 것이다.
  • 이 논문에서는 특히 기존에 연구가 부족했던 흡차음재와 방사효율, 전달손실 관계가 시험과 해석을 통하여 검토되었으며, 제진재가 방사특성관점에서 어떻게 기여하는지도 간략하게 검토되었다.
  • 이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대시 부위의 상사구조인 단순구조물을 대상으로 하여 성능개발에 필요한 설계개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보강부재(stiffener), 제진재(damping sheet), 흡차음재(sound package) 등의 주요 설계 인자가 중고주파수 (100~1200 Hz) 대역에서의 구조적인 소음방사특성(방사파워, 방사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 및 시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량의 대시 부위에서 기능의 주요한 역할을 하는 흡차음재는 무엇이 있는가? 차량의 대시 부위(dash component)는 승객과 가장 인접하여, 차량의 주요 소음원인 엔진으로부터의 소음과 열을 차단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대시 인 슐레이터(insulator), 대시 패드(dash isolation pad) 등은 이러한 기능의 주요한 역할을 하는 흡차음재로 특히 소음전달을 최소화하는데 중요하다. 동시에 대시 부위는 에너지가 실내로 전달되는 경로상에 위치 하여, 소음의 일부가 공기기인으로 실내로 전달되고, 엔진룸의 부재와 연결되어 구조가진을 일으킨다.
차량의 대시 부위 소음 방사특성을 모사하기 위해, 프레임 가진에 의한 평판의 소음방사특성을 주요 설계변수 별로 검토한 결론은 무엇인가? 해석에 의한 음향특성예측이 시험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으며, 실차 문제의 예측을 위해 이 연구에서 사용된 해석기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보강재에 의한 평판 보강 구조가 저주파에서는 고유진동수의 특성에 지배를 받는 반면, 400 Hz 이상의 중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소음특성에 불리하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방사효율의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보강재에 의한 평판의 경계부위 증가가 방사효율을 크게 만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프레임가진시의 결과로서, 평판을 직접 가진하는 경우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제진재 부착이 방사파워를 줄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제진재 부착위치는 평판과 보강재가 연결되는 경계부위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함으로써 근접장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나, 명확한 이유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 연구가 미흡했던 흡차음재 적용시의 소음방사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이를 전달손실 특성과 비교하였다. 흡차음재 적용시, 전달손실계수와 소음방사특성은 동일한 방사효율로 설명이 가능하며, 두 특성 모두 방사효율의 영향이 크게 작용함을알 수 있었다. 방사파워의 저감에 있어서, 흡차음재와 제진재의 역할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제진재는 구조의 진동을 직접 줄이지만, 흡차음재는 방사효율을 저감시킴으로써 방사소음을 줄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량의 대시 부위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차량의 대시 부위(dash component)는 승객과 가장 인접하여, 차량의 주요 소음원인 엔진으로부터의 소음과 열을 차단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대시 인 슐레이터(insulator), 대시 패드(dash isolation pad) 등은 이러한 기능의 주요한 역할을 하는 흡차음재로 특히 소음전달을 최소화하는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VA One, User’s Manual, 2010. 

  2. Kamura, T., Utsunomiya, A., Sugihara, T. and Tobita, K., 1997, “Improvement of Road Noise by Reduction of Acoustic Radiation from Body Panels,” JSAE9741126. 

  3. Kato, T., Hoshi, K. and Umemura, E., 1999, “Application of Soap Film Geometry for Low Noise Floor Panels,” SAE 1999-01-1799. 

  4. Glandier, C. Y., Lehmann, R., Yamamoto, T. and Kamada, Y., 2005, “Vibro-acoustic FEA Modelling of Two-layer Trim Systems,” SAE 2005-01-2325. 

  5. Xie, G., Thompson, D. J. and Jones, C. J. C., 2005, “The Radiation Efficiency of Baffled Plates and Strip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280, pp. 181-209. 

  6. Maidanik, G., 1962, “Response of Ribbed Panels to Reverberant Acoustic Fields,” J. Acoust. Soc. Am., Vol. 34, pp. 809-826. 

  7. Yoo, J. W., 2009, “Sou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Rectangular Plates with a Guided Edge Condition,”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19, No. 9, pp. 1598-2785. 

  8. Tarnoczy, T., 1970, “Vibration of Metal Plates Covered with Vibration Damping Layer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11, pp. 299-307. 

  9. Park, C. M., Chae, K. S., Yoo, J. W. and Kang, Y. J., 2010, “A Study on Material Properties of Porous Materials,”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10. Liu, B., Fenga, L. and Nilsson, A., 2007, “Sound Transmission Through Curved Aircraft Panels with Stringer and Ring Frame Attachment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300, pp. 949-9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