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자교육을 위한 유방암 환자의 지식측정 도구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nowledge Scal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S-Br)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10 no.1, 2010년, pp.59 - 67  

이건숙 (국립암센터 유방암센터) ,  이란 (국립암센터 간호과) ,  김수현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nowledge scal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KS-Br) in Korea. Methods: The process included the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generation of preliminary items, and the tes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유방암 발생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유방암 환자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져 가고 있으며, 임상에서는 다학제적인 교육 프로그램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프로그램들의 효과에 대한 보고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결과변수인 유방암 환자의 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지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크게 두 단계로 구분되어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지식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도구 개발은 문헌고찰을 통한 개념적 기틀 작성, 기초문항 작성,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쳐 예비도구를 작성하였다.
  • 각 문항별로 3점(“타당하다”) 또는 4점(“매우 타당하다”)으로 응답한 비율을 조사하였으며 문항별 내용타당도 지수 (content validity index, CVI)가 80% 이상인 경우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외에도 서로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는 문항, 유방암 지식측정과 관련이 없는 문항, 의미가 불확실한 문항, 유방암 지식측정에 중요하지 않는 문항 등이 있는지 개방식 질문을 하였고, 추가해야 할 문항이 있는지 기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37문항에 대한 CVI가 모두 80% 이상이었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구성타당도 검증 방법으로 요인분석보다는 다른 방법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되어 집단 비교법을 이용하였다. 이는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상, 이미 알고 있는 특성 때문에 차이를 보일만한 집단에서 시행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과 관련된 이전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지식정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교육을 받았던 경험이 있는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유방암 지식 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p=.
  • 18-20) 국외에서도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21,22) 암의 영향(impact of cancer),23) 치료 반응,11) 지지 요구도(support needs),12) 방사선 치료에 관한 정보 요구도24)를 측정하는 도구는 개발되었으나 아직 유방암 환자의 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목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높은 유방암 환자의 지식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자들은 Mishel의 불확실성 개념 모델27)을 바탕으로“유방암 환자의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은 감소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의 5년 상대 생존율은 얼마인가? 우리나라 유방암은 2003년 1월-2005년 12월에 발생한 여성암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1) 조기진단의 확대와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암 생존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유방암의 경우 5년 상대 생존율이 89.5%에 달한다. 이는 전체 암의 생존율인 57.
유방암 환자는 어떤 치료를 받게 되는가? 유방암 환자는 진단을 받고 나면 그 특성에 따라 외과적 수술과 유방암 세포의 재발과 전이를 예방하기 위한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과 항암호르몬요법 등을 받게 된다.4) 이러한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대다수의 유방암 환자는 유방부위 조직손상으로 인한 어깨관절 움직임저하, 림프부종, 감각변화, 팔과 손의 근력감소 등의 신체적 문제를 경험하게 되고 유방절제라는 신체상 변화로 인한 자아존중감 저하, 성생활의 변화 등을 경험하게 되며 치료 후에도 피로, 통증, 수면 장애 등의 신체적 문제와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문제가 지속될 수 있다.
유방암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환자가 겪을 수 있는 문제들은 무엇인가? 유방암 환자는 진단을 받고 나면 그 특성에 따라 외과적 수술과 유방암 세포의 재발과 전이를 예방하기 위한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과 항암호르몬요법 등을 받게 된다.4) 이러한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대다수의 유방암 환자는 유방부위 조직손상으로 인한 어깨관절 움직임저하, 림프부종, 감각변화, 팔과 손의 근력감소 등의 신체적 문제를 경험하게 되고 유방절제라는 신체상 변화로 인한 자아존중감 저하, 성생활의 변화 등을 경험하게 되며 치료 후에도 피로, 통증, 수면 장애 등의 신체적 문제와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문제가 지속될 수 있다. 또한, 직업 상실, 사회적 고립 등의 사회적 문제를 겪기도 한다.5-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survival. Available at: http://www.cancer.go.kr/cms/statics/survival_rate/ index.html [accessed on 2009 January 5]. 

  2. Korea Breast Cancer Society, 2006. Available at: http://www. kbcs.or.kr [accessed on 2008 December 5]. 

  3. Carpenter JS, Elam JL, Ridener SH, Carney PH, Cherry GJ, Cucullu HL. Sleep, fatigue and depressive symptom i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matched healthy woman experiencing hot flahes. Oncol Nurs Forum 2004;31:591-8. 

  4. Jung PJ. Surgical treatment for breast cancer. Hanyang J Med 2002;22:33-9. 

  5. Lee IS. Uncertainty, appraisa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cross treatment phase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2004. 

  6. Todd J, Topping A. A survey of written information on the use if post-operative exercise after breast cancer surgery. Physiotherapy 2005;91:87-93. 

  7. Takahashi M, Kai I. Sexuality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change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Japanese survivors. Social science & Medicine 2005;61:1278-90. 

  8. Ahn SH, Park BW, Noh DY, Nam SJ, Lee ES, Lee MK,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isease-free survivors of breast cancer with the general population. Ann Oncol 2007;18:173- 82. Erratum in Ann Oncol 2009;20:1753-4. 

  9. Kim SH, Son BH, Hwang SY, Han W, Yang JH, Lee S, et al. Fatigue and depression in disease-free breast cancer survivors: prevalence, correlates, and association with quality of life. J Pain Symptom Manage 2008;35:644-55. 

  10. Ferrell BR, Grant M, Funk B, Otis-Green S, Garcia N.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rt I: physical and social well-being. Cancer Nurs 1998;20:398-408. 

  11. Budin WC, Cartwright-Alcarese F, Hoskins CN. The breast cancer treatment response inventory: development, psychometric testing, and refinement for use in practice. Oncol Nurs Forum 2008;35:209-15. 

  12. Erci B. Psychometric evaluation of self-assessed support need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scale. J Clin Nurs 2007;16:1927- 35. 

  13. Michael YL, Kawachi I, Berkman LF, Homes MD, Colditz GA. The persistent impact of breast carcinoma on functional health status. prospective evidence from the Nurses Health Study. Cancer 2000;89:2176-86. 

  14. Yi MS, Lee EO, Park YS, Choe KJ, Noh DY. A descriptive study on educational and counceling needs of breast cancer on the treatment stage. J Korea Oncol Nurs 2003;2:5-14. 

  15. Cimprich B, Janz NK, Northouse L, Wren PA, Given B. Taking charge: a self-management program for women following breast cancer treatment. Psycho-oncology 2005;14:704-17. 

  16. Williams SA, Schreier AM. The effect of education in managing side effects in women receiving chemotherapy for treatment of breast cancer. Oncol Nurs Forum 2004;31:24-31. 

  17. Choi JS, Seo YM, Kwon IS. Effects of education on knowledge and practice of caregivers of the stroke patient. J Korea Acad Nurs 2006;36:1175-82. 

  18. Yoo MS, Lee H, Yoon JA.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nursing intervention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radiotherapy. J Korean Acad Nurs 2009;39:157-65. 

  19. Kim CJ, Hur HK, Kang DH, Kim BH.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stress and coping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 Korean Acad Nurs 2006;36:169-78. 

  20. Park HS, Cho GY, Park KY. The effects of a rehabilitation program on physical health, physiological indicator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mastectomy patients. J Korean Acad Nurs 36:310-20. 

  21. Aaronson NK, Ahmedzai SB, Bullinger M, Cull A, Duez NJ, Filiberti A, et al.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LQ-C30: a quality-of-life instrument for use in international clinical trials in oncology. J Natl Cancer Ins 1993;85:365-76. 

  22. Fallowfield LJ, Leaity SK, Howell A, Benson S, Cella D.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oing hormonal therapy for breast cancer: validation of an endocrine symptom subscale for the FACT-B. Breast Cancer Res Treat 1999;55:189-99. 

  23. Alfano CM, McGregor BA, Kuniyuki A, Reeve BB, Bowen DJ, Wilder SA, et al.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brief cancer impact assessment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ogy 2006;70:190-202. 

  24. Halkett GK, Kristjanson LJ.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of two instruments to measure breast cancer patients' concerns and information needs relating to radiation therapy. Radiat Oncol 2007;2:43-53. 

  25. Kim JO.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tool for education among patients who received mastectomy [dissertation]. Seoul: Catholic Univ.;1999. 

  26. Streiner DL, Norman GR.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1989. 

  27. Mishel MH. Uncertainty in illness. Image J Nurs Sch 1988;29: 225-32. 

  28. Lee EO, IM NY, Park HA. Statistical analysis and nursing medical research. Seoul:Soomoonsa;1998. 

  29. Carmines E, Zeller R.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In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Beverly Hills, California:Sage;1979. 

  30. Polit DF, Beck CT. The content validiti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 Nurs Health 2006;29:48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