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자기유능감, 사회불안, 우울
Gender Differences in Self-competence,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Upper Level Prim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6 no.3, 2010년, pp.230 - 238  

문소현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조헌하 (수원여자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self-competence,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upper level primary school children.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students in grades 5 or 6 (83 boys and 97 girls). The instruments us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사회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자기유능감의 영향을 정확히 사정하기 위해서는 자기유능감의 구체적인 하위영역을 사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기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자기유능감, 사회불안, 우울간의 관계 뿐 아니라 사회불안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자기유능감 요인을 성별별로 파악하여 학령기 후기 아동을 위한 사회불안 및 우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자기유능감, 사회불안, 우울 간의 관계와 사회불안,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별별로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별에 근거한 학령기 후기 아동의 사회불안, 우울의 관련요인으로서 자기유능감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 학령기 후기 아동의 우울 및 불안장애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아동 180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자기유능감, 사회불안,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성별별로 자기유능감 하위영역이 사회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대상자의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자기유능감 하위영역 변수로 남학생은 사회적 유능감이, 여학생은 사회적 유능감과 전반적 자아가치가 확인되었고, 우울을 설명하는 자기유능감 하위영역변수로 남학생은 신체적 유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여학생은 전반적 자아가치, 학문적 유능감, 운동적 유능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사회불안 및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 자기유능감의 하위영역에서 성별을 고려한 중재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과 청소년기에 발생한 사회불안과 우울은 어떤 것을 초래하는가? 아동과 청소년기에 발생한 사회불안과 우울은 낮은 사회적 수용과 자존감, 부정적 또래상호 작용, 또래관계와 부모 및 가족관계의 어려움, 학업수행 능력 손상과 더불어 학교등교 거부 및 학업중지, 양극성 장애, 약물남용, 섭식장애 등 전반적인 정신사회적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Ginsberg, La Greca, & Silverman, 1998; Lee, E. S.
학령기 후기 아동의 성별에 따른 자기유능감, 사회불안, 우울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을 때 그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자기유능감, 사회불안, 우울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자기유능감에 따른 사회불안, 우울 정도를 파악한다. 셋째,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자기유능감, 사회불안, 우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대상자의 사회불안,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성별별로 규명한다.
자기유능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회불안 및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보호요인을 증진시키는 것이 전략이 될 수 있으며, 여러 연구에서는 아동정신 건강의 보호요인으로 유능감을 제시하고 있다(Pomerantz & Rudolph, 2003). 자기유능감은 자신이 가진 특성에 대한 개인적인 느낌 및 판단, 가치감으로 자기 능력에 대한 지각을 의미하며(Harter, 1982, 1988), 능력의 결함보다는 긍정적인 능력을 강조하는 세분화된 자기평가개념으로(You, 1999) 자기유능감 증진은 아동의 강점을 강조하고 자기자원을 강화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자기유능감은 아동기에서 후기 청소년기에 걸쳐 발달하면서 일상생활에 대처하고 작용하는 개인 능력의 핵심으로 건강한 아동정서 발달에 영향하며 특히 학령기 후기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유지할 뿐 아니라 자아인식이 안정화되는 시기로 보고되어 있다(Col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sky, T. E., & Kendall, P. C. (1997). Social expectancies and self-perceptions in anxiety-disordered childre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1, 347-363. 

  2. Cho, S. C., & Lee, Y. S. (1990).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 943-956. 

  3. Choi, J. S., & Cho, S. C. (1990). Assessment of anxiety in childre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 691-702. 

  4. Choi, S. Y. (2009). The structural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interparental conflic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dolescent's social anxiety, and adolescent's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5. Cole, D. A., Maxwell, S. E., Martin, J. M., Peeke, L. G., Seroczynski, A. D., Tram, J. M., et al. (2001). The development of multiple domains of child and adolescent self-concept: A cohort sequential longitudinal design. Child Development, 72, 1723-1746. 

  6. Everson, S. A., Goldberg, D. E., Kaplan, G. A., Julkunen, J., & Salonen, J. T. (1998). Anger expression and incident hypertension. Psychosomatic Medicine, 60, 730-735. 

  7. Giaconia, R. M., Reinherz, H. Z., Silverman, A. B., Pakiz, B., Frost, A. K., & Cohen, E. (1994). Ages of onset of psychiatric disorders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3, 706-717. 

  8. Ginsberg, G. S., La Greca, A. M., & Silverman, W. K. (1998). Social anxiety in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s: Relation with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ing.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6, 175-185. 

  9. Hankin, B. L., & Abramson, L. Y. (2001). Development of gender difference in depression: An elaborated cognitive vulnerabilitytransactional vulnerabilitytransactional stress theory. Psychological Bulletin, 127, 773-796. 

  10.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87-97. 

  11. Harter, S. (1985). Manual for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Denver, CO: University of Denver. 

  12. Harter, S. (1988). Manual for the self perception profile for adolescents. Denver, CO: University of Denver. 

  13. Jacobs, J. E., Lanza, S., Osgood, D. W., Eccles, J. S., & Wigfield, A. (2002). Changes in children's self-competence and values: Gender and domain differences across grades one through twelve. Child Development, 73, 509-527. 

  14. Kaufman, J., & Charney, D. (2000). Comorbidity of mood and anxiety disorders. Depression and Anxiety, 12, 9-76. 

  15. Kim, H. Y. (2008). The effect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ren's perfectionism and children's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16. La Greca, A. M., & Lopez, N. (1998). Social anxiety among adolescents: Linkages with peer relations and friendship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6, 83-94. 

  17. La Greca, A. M., & Stone, W. L. (1993).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revised: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 17-27. 

  18. Lee, E. S. (2007).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about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lien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76-585. 

  19. Lee, J. H. (2007).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0. Lee, T. H. (2004). Relationship of depression, irrational faith and the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1, 223-245. 

  21. Lee, Y. S. (2003). The relation of parent's acceptance-rejection to children's assertiveness, perceived self-compet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2.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23. Ohannessian, C. M., Lerner, R. M., Lerner, J. V., & Von Eye, A. (1999). Does self-competence predict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 depression and anxiety? Journal of Adolescence, 22, 397-411. 

  24. Pomerantz, E. M., & Rudolph, K. D. (2003). What ensues from emotional distress? Implications for competence estimation.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74, 329-345. 

  25. Seoul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Center Data. (2005). The 2005 Seoul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urvey. Retrieved January 28, 2010, from http://youthlove.blutouch.net 

  26. Smari, J., Petursdottir, G., & Porsteinsdottir, V. (2001).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in relation to perceived competence and situational appraisal. Journal of Adolescence, 24, 199-207. 

  27. Uhrlass, D. J., Schofield, C. A., Coles, M. E., & Gibb, B. E. (2009).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prospective changes in symptoms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40, 329-337. 

  28. Yang, Y. R., Yang, J. W., & Oh. K. J. (2008).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c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 35-50. 

  29. You, E. K.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perceived competence and attitude toward school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 Yu, K. H. (2003).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social anxiety, dysfunctional attitudes, and self-esteem of preadolescents in a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