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arental Caring Awaren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s on Happiness of School-age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5, 2018년, pp.660 - 673  

김수희 (논산시보건소) ,  이숙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보호자로부터 연구동의서를 받은 학령기 아동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 하였고 최종 대상은 180명 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은 학교생활과 부모관심도 부모돌봄인식은 성별, 동거가족, 학교생활, 친한 친구, 부모의 관심도 정서지능은 성별, 동거가족, 학교생활, 성적, 또래관계는 성별, 학교생활, 친한 친구 세 명이상일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행복은 부모돌봄행위, 또래관계, 정서지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생활, 부모관심도, 부모돌봄인식과 또래관계 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6.7%이었다. 따라서 학령기아동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학교생활, 부모관심도, 부모돌봄행위와 또래관계를 고려해야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effect of parental care awareness, emotional intelligence, peer relations on the happiness of school age childre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a survey of school-aged children who received consent from their guardians and the final target was 180. For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돌봄인식의 필요성과 전문가에 의한 돌봄 행위를 실천함에 있어 간호학적 의미를 밝히며 그 중요성에 대해 서술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학령기 아동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대인돌봄 중재 프로그램의 방안 모색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돌봄인식 지각, 행복, 정서지능, 또래관계 특성과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행복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 학령기 아동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를 통해 학령기 아동에게 학교생활에서 보건교사를 통한 전문적인 부모돌봄인식으로 또래관계와 심리적 부적응을 경감시켜서 행복을 증진시켜 주는 부모돌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의 정도를 파악하고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 행복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부모돌봄인식, 정서지능, 또래관계가 학령기 아동의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부모의 돌봄의미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 기억하는 부모와의 따뜻한 관계는 내가 돌봄 받고 사랑받고 있다는 인식을 강하게 해 자신감을 갖게 해주고 연인관계에서 더 큰 지지를 상대방에게 주며 버려질 것에 대해 덜 염려하게 해 주는 등 인간관계에 기본이 된다. 따라서 아동기의 부모 돌봄 인식은 성인기의 애착과 이후에 결혼 만족도 그리고 여러 관계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15].
행복감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궁극적인 행복의 가치를 추구한다. 행복감은 성별이나 지위, 계층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가치로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한 상태를 말한다[1]. 특히 아동기의 행복감은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긍정적인 정서의 상태 및 생활만족도를 나타내며 인생전반에 걸쳐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성인기의 행복감보다 더 주목해야할 필요가 있다[2].
아동이 느끼는 행복의 요건에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아동이 느끼는 행복의 요건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경제수준인식, 학업수행능력, 부모와의 친밀한 관계, 부모애착, 또래관계 순으로 나타났고[6][7]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가족지지가 친구의 지지 보다 큰 것으로 밝혀졌다[8]. 즉 아동의 행복감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부모와의 관계가 친밀하고 애착이 돈독하며 사랑의 행위로 자신이 돌봄을 받았다고 느꼈을 때 가장 행복하다고 하였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J. S. Lee and E. J. Kim,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s, and Pe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2, No.5, pp.433-445, 2013. 

  2. Y. H. Kim, The Relationshhips among Children's Happiness, Personality Types and Parents-Child Communication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of korea, 2007. 

  3. D. G. Seong and C. K. Kim,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on Children's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Arades: With a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6, N0.4, pp.129-142, 2015. 

  4. H. Y. Shin and J. H. Kim,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the types of Mother & Peer Attachment and Teacher-Child Conflict Rlationship,"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5, No.5, pp.545-558, 2016. 

  5. http://news.mk.co.kr/newsRead.php?no320452&year2016 

  6. H. S. Jeong and Y. H. Kim, "Determinants of Happiness Perceived by School childre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1, No.7, pp.89-118, 2014. 

  7. J. K. Lee and H. C. Cho, "A Longitudinal Study of Factors Associatied with Happiness in Prim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40, pp.41-71, 2012. 

  8. E. J. Jo, "The Effects of Pereived Social Support on Happiness of the Children and Young people: Focused on Children and Young People from Low-Income Families," The Journal of Forum for Youth Culture, Vol.37, No.1, pp.103-126, 2014. 

  9. J. L. Daniel and E. W. Lea,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connections between Strength-Based Parenting, Happi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Teens," Journal of Frontiers in Psychology, Vol.8, No.1707, 2017. 

  10. H. S. Kim, Y. S. Chae, and G. R. Park, "Effects of a Self-Growth Program on Self-esteem, Inferiority, and Peer-relationships in Children using a Community Child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Vol.16, No.1, pp.1-9, 2010. 

  11. Y. M. Jung, S. H. Lee, and Y. O. Jeong,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bility," Journal of Korea Practical Arts Education, Vol.27, No.3, pp.39-54, 2014. 

  12. A. Albert, "The Relation Between the Time Mothers and Children Spent Together and the Children's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Child Youth Care Forum, Vol.41, pp.493-508, 2012. 

  13. S. Y. Choi, Influence of parents'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s and smartphone use level on shool life adaptation of upper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of korea, 2015. 

  14. Y. J. Song, "The Effect of ADHD Sympoms on Peer Relational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ting Role of Parental Caring and Teacher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7, No.1, pp.203-229, 2015. 

  15. M. D. Julia and C. O. James, "Depression, Adult Attachment, and Recollections of Parental Caring During Childhood,"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0, No.10, pp.663-669, 2002. 

  16. B. G. Chon and J. R. Oh, "The Influence of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on children's School Maladjustment :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31, No.2, pp.571-589, 2015. 

  17. J. E. Choi, D. G. Moon, and S. B. Moon, "A Structural Analysis of School-Ag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and Its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31, No.1, pp.99-111, 2013. 

  18. S. H. Moon, "Relationship of Peer Relationship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Self-reported Attachment Security, to Loneliness in Upper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39, No.3, pp.401-408, 2009. 

  19. S. M. Nina, "Parental Management of Peer Relationships and Early Adolescents' Social Skill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Vol.40, pp.416-427, 2011. 

  20. B. Y. Chae,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to Happiness and De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f korea, 2014, 

  21. B. R. Choi, 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Male and Female Children, Master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 

  22. H. Y. Lee and G. H. Seo, "The Effect of Improvement EQ Program on EQ and Sociality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52, No.1, pp.153-182, 2013. 

  23. G. Tome, M. M. G. D. Matos, and I. Camacho, "How can peer Group Influence the behavior of Adolescents: Explanatory Model," 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Vol.4, No.2, pp.26-35, 2012. 

  24. M. S. Yoo, K. S. Chung, S. H. Park, J. R. Cha, and K. P. Hong, "Children's and Adolescents' Perceptions of Happiness,"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Vol.31, No.3, pp.15-26, 2013. 

  25. S. C. Vania, G. Eloisa, and J. C. Maria, "Emotional intelligence and health students' well-being: A two-wave study with students of medicine, phtsiotherapy and nursing," Journal of Nurse Education Today, Vol.63, pp.35-42, 2018. 

  26. J. W. Paek, Factors Influencing on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of korea, 2013. 

  27. E. J. Choi and Y. E. Le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for Vulnerable Adolescents of Mental Health," Journal korean Academic Child Health Nursing, Vol.16, No.3, pp.184-194, 2010. 

  28. S. H. Kim and S. Lee, "Effects of an Interpersonal caring Music Activity Program on loneliness, Self-esteem, and the stress response in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7, No.4, pp.219-228, 2017. 

  29. E. J. Choi and Y. E. Le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for Vulnerable Adolescents of Mental Health," Journal korean Academic Child Health Nursing, Vol.16, No.3, pp.184-194, 2010. 

  30. S. H. Yoon, Study on clinical nurse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using communication skills by interpersonal caring techni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5. 

  31. E. S. Choi and H. J. Bnag,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of Children,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and Social Ability,"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3, No.4, pp.91-110, 2016. 

  32. M. J. Kim, Impact of Self-Esteem on Peer Relationship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s of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f korea, 2010. 

  33. E. A. Kim and J. N. Kim, "The Effects of a Play-Centered Assertiveness Training on Anxiety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from Single Parents Families," The Korea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18, No.2, pp.134-150, 2011. 

  34. A. Y. Shin and J. H. Cha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tients with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Vol.11, No.1, pp.41-52, 2011. 

  35. K. S. Kim and S. H. Lee,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on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Peer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Vol.20, No.1, pp.171-191, 2009. 

  36. Choi Taerin, Influences of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 Accep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 thesis,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2012. 

  37. H. J. Le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ptimism of a Child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Master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2. 

  38. Z. Rabia and I. Nazia,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Styles Predicting Self-Efficacy in Adolescents,"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Vol.27, No.1, 2017. 

  39. S. J. An, J. Y. Lim, and G. H. Chung, "Influence of Children's Percept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hip on Children's Self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Vol.30, No.1, pp.15-29, 2012. 

  40. Y. J. Song,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on peer relations of boys with ADHD sysmptoms : Mediation Role of Stigmatiz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Vol.17, No.3, pp.129-151, 2016. 

  41. K. O. Kang, J. H. Kim, J. M. Kim, H. Y. Jeong, and J. W. Han, "Factors Affecting Early School-Age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of Parental Variabl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47, No.6, p.854, 2017. 

  42. H. S. Kim, "The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School Life Happiness, mediated by Childr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ental Health - Multi-Group Analysis o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55, pp.113-141, 2016. 

  43. S. M. Yang, "Variables Impacting the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Life Happiness of the Women Marriage Migrants Family's Children in Rural," Journal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12, No.4, pp.559-576, 2007. 

  44. H. J. Nam, H. S. Yoon, T. Y. Lee, C. Y. Shin, and D. H. Lee, "A Understanding Adolescents' Development and Adaption in Single Parent Famil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Woman Psychology, Vol.18, No.1, pp.129-168, 2013. 

  45. S. H. Le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bout Family Relationship, Self-Efficacy, Self-Esteem, and Delinquency of Adolescent in Single-Parent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11, pp.759-777, 2014. 

  46. E. S. Jung and J. Y. Lee, "Influence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Social Support and Hardiness on Subjective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73, No.9, pp.204-21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