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라산 아고산대에서의 사면 물질 이동
Slow Mass Movement on a Subalpine Slope of Mount Halla, Jeju Island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5 no.3 = no.138, 2010년, pp.375 - 389  

김태호 (제주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라산 표고 1,710m에 발달한 나지 표층에 2개의 페인트 라인을 설치하여 자갈의 이동량을 관측하고, 이동 프로세스와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였다. 관측 기간에 발생한 자갈의 이동량은 평균 58.2cm로서 일평균 이동 거리는 0.24cm이다. 계절별로 비교하면 동결기 0.3cm에 대하여 비동결기는 0.05cm에 불과하여 표층 자갈은 주로 동결기에 주빙하 프로세스를 통하여 이동하고 있다. 특히 서릿발 포행을 비롯한 동상 포행이 자갈의 이동을 주도하고 있다. 사면 경사각의 영향은 관측 기간 내내 측선 II의 이동량이 측선 I보다 큰 결과에 반영되어 있지만, 암괴와 식생이 자갈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절대적이지는 않다. 자갈의 크기와 비중도 이동량에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특히 스코리아의 작은 비중이 매우 큰 이동량을 가져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ates and factors of slow mass movement on a subalpine slope of Mount Halla, two painted stone lines were monitored in a bare patch at 1,710 m a.s.l. The mean movement of surface gravels is 58.2 cm, equivalent to 0.24 cm/day. However, the rates of movement vary with sea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갈로 덮여 있는 이들 나지의 모습은 주빙하성 물질 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되는 한라산 아고산대 최종 빙기의 지표 경관을 연상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 장구목오름 남서쪽 표고 1,710m의 완사면에 발달한 나지에서 표층 자갈의 이동 거리를 관측하고, 이들 자갈의 주된 이동 양식으로서 동상 포행과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실험 나지를 덮고 있는 표층 자갈만을 대상으로 이동량을 관측하였다. 그러나 사면 발달에 미치는 주빙하 프로세스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검토하려면 사면의 표층뿐 아니라 토층 단면을 따라 심도별로도 이동량을 관측해야 한다.
  • 또한 고산 지대의 지형 발달 과정을 논의하려면 사면에 따라 달라지는 삭박 속도를 공간적으로 파악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면 물질에 따른 이동량을 단순히 거리가 아닌 체적으로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향후 구성 물질을 달리하는 다양한 사면에서 사면 물질의 심도별 이동량을 지속적으로 관측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 암설 사면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현재 한반도 중·남부 지역은 계절적으로 주빙하성 프로세스가 진행되고 있는 아고산대(Jang, 1983; Park, 2000; Kim, 2001)와 다설 산지(Lee, 1991; Kwon, 1992; Kee, 1999)를 제외하면 활발한 주빙하 환경에 놓여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한반도 전역에 걸쳐 특히 남해안 저지대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암설 사면은 최종 빙기에 한반도가 강력한 동결 작용을 받았음을 시사하고 있다(Kwon, 1999). 더욱이 암설 사면 이외에도 화강암 풍화층, 단구 퇴적물, 사구 퇴적층 등의 지표 피복물에 남겨져 있는 엽상 구조(Kwon, 1987)를 비롯하여 Bt 밴드(Park, 1987; Oh, 1989; Kee, 1999), 토양 쐐기(Sin et al.
한라산 아고산대에, 초지가 분포하고 있는 구간은? 한편, 한라산 아고산대에는 표고 1,400m의 사제비 동산 일대부터 1,600m의 만세동산, 민오름 및 선작지왓, 1,800m의 장구목오름 일대까지 주로 서사면과 남사면에 걸쳐 넓게 초지가 분포하고 있다. 사초를 비롯 하여 관목과 최근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제주조릿대로 이루어진 초지대에는 산릉과 완사면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나지가 발달하고 있다(Kim, 2006).
장구목오름 남서쪽 표고 1,710m의 완사면에 분포하는 실험 나지의 2개소에서, 표층 자갈에 페인트 라인을 설치하여 자갈의 이동량을 관측한 결과는? 1) 2006년 11월 3일부터 2007년 7월 31일까지 실시된 관측 기간에 발생한 자갈의 이동량은 측선Ⅰ 23.5~53.3cm, 측선Ⅱ 35.0~104.0cm로서 지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평균 이동량은 약 58.2cm로서 일평균 이동 속도로 바꾸면 약 0.24cm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계절별로 일평균 이동 속도를 비교하면, 동결기의 0.3cm에 비하여 비동결기는 0.05cm에 불과하여 실험나지에서 표층 자갈의 이동은 주로 동결기에 주빙하 프로세스를 통하여 일어나고 있다. 즉, 서릿발 생성에 유리한 실험 나지의 온도 및 토양 조건 하에서 서릿발 포행을 비롯한 동상 포행이 자갈의 이동을 주도하고 있다. 2) 동결기를 다시 동결 진행기와 융해 진행기로 구분하여 일평균 이동 속도를 비교하면, 각각 0.55cm와 0.42cm로서 동결 진행기가 융해 진행기보다 1.3배 빠르다. 이는 두 시기의 온도 및 수분 조건의 차이가 반영되어 시기별로 만들어지는 서릿발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3) 사면 경사각의 영향은 관측 기간 내내 측선Ⅱ의 자갈 이동량이 측선Ⅰ보다 크게 나타난다는 사실에 반영되어 있지만, 암괴와 식생 패치가 자갈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경사각이 이동량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인은 아니다. 또한 자갈의 크기와 비중도 이동량에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특히 실험 나지를 덮고 있는 적색 스코리아의 작은 비중이 매우 빠른 자갈의 이동 속도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i, S. G., 1988, Fossil cryogenic structures in the terrace deposit of Oship River, Samchok, Korea, Science Reports of the Tohoku University, 7th series(Geography), 38, 133-139. 

  2. French, H. M., 1996, The Periglacial Environment (2nd edition), Longman, London. 

  3. Grab, S. W., 2002, Turf exfoliation in the High Drakensberg, southern Africa, Geografiska Annaler, 84A, 39-50. 

  4. Higashi, A., 1981, Elements of Cold Region Engineering, Kokonshoin, Tokyo (東晃, 1981, 寒地工學基礎論, 古今書院, 東京). 

  5. Higashi, A. and Corte, A. E., 1971, Solifluction: A model experiment, Science, 171, 480-482. 

  6. Horii, T., Matsuoka, N., and Matsukura, Y., 1987, Experimental study on soil movement due to frost creep, Bulletin of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The University of Tsukuba, 11, 21-27 (in Japanese). 

  7. Jang, H., 1983, Periglacial landforms in the eastern part of the main ridge of Mt. Jiri, South Korea, Geography, 27, 31-50 (in Korean). 

  8. Jeju Provincial Government, 2000, Geologic Report of the Segwipo-Hahyori Sheet,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Daejeon (제주도, 2000, 서귀포.하효리 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대전). 

  9.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2007, The Detailed Climatic Characteristics of Automated Weather Stations in Jeju Island, Jeju Regional Meteorological Office, Jeju (제주지방기상청, 2007, 제주도 AWS 상세기후 특성집, 제주지방기상청, 제주). 

  10. Kee, K. D., 1999, Morpho-pedologic Milieu in Taegwallyong Area, Ph.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n). 

  11. Kim, C. and Kim, M., 1985, Phytosociological study of grassland and scrub on subalpine zone in Mt. Halla, Report of Survey and Study of Mt. Halla, 311-330 (in Korean). 

  12. Kim, T., 2001, Earth hummocks on the crater floor of Baegnokdam at Mt. Hall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6, 233-246 (in Korean). 

  13. Kim, T., 2006, Rates and processes of bare patch denudation in the subalpine grassland of Mt. Hall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 657-669 (in Korean). 

  14. Kim, T., 2008, Thufur and turf exfoliation in the subalpine grassland of Mt Halla in Jeju Island, Korea, Mountain Research and Development, 28, 272-278. 

  15. King, R. B., 1971, Vegetation destruction in the subalpine and alpine zones of the Cairngorm Mountains, Scottish Geographical Magazine, 87, 103-115. 

  16. Koaze, T., 1983, Slow mass movement in periglacial regions, Transactions Japanese Geomorphological Union, 4, 189-203 (in Japanese). 

  17. Kong, W. S., 1999,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and thermal amplitude of alpine plants on Mt. Halla, Ch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4, 385-394 (in Korean). 

  18. Kwon, H. J., 1999, Geomorphology (4th eds), Bobmunsa, Seoul (권혁재, 1999, 지형학 제4판, 법문사, 서울). 

  19. Kwon, S. S., 1987, A study on late Quaternary periglacial cryogenic structures of granite regolith in Korea, Journal of Geography (Jirihak Nonchong), Supplement 4, 1-120 (in Korean). 

  20. Kwon, S. S., 1992, Nivation morphology at Heul-Ri in Kwangwon Province, Korea, Journal of Geography (Jirihak Nonchong), 19, 1-10 (in Korean). 

  21. Lee C., Cho, T., Lee, S., and Won, K., 2007, A study of weathering characteristic of Baeknokdam trachyte in Jeju Island,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7, 235-251 (in Korean). 

  22. Lee, Y. B., 1991, The Study of Nivation Hollows in Daekwan-Ryoung Area,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n). 

  23. Oh, K. S., 1989, Origin of Bt bands in sandy deposits,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3, 35-45 (in Korean). 

  24. Oh, K. S., 2006, Cryogenic structures in superficial formation and associated periglacial morphoclimatic milieu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13, 1-17 (in Korean). 

  25. Ono, Y., 1978, Pipkrakes as a periglacial process, Bulletin of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The University of Tsukuba, 2, 47-55 (in Japanese). 

  26. Ono, Y., 1983, Soil erosion by pipkrakes on Tsukuba Upland, Tsukuba Environmental Studies, 7, 128-140 (in Japanese). 

  27. Park, K, 1987, Study of Dune-Reddening at Cheonripo,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28. Park, K., 2000, Mountaintop block fields of the Seoraksan National Park in Kwangwon Province,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5, 653-663. 

  29. Sawaguchi, I. and Koaze, T., 1998, Field experiment on periglacial mass movement and frost heave in the Kitakami mountains, northwestern Japan, Transactions Japanese Geomorphological Union, 19, 221-242 (in Japanese). 

  30. Shoma, H., Okazawa, S., and Iwata, S., 1979, Slow massmovement processes in an apline region of Mt. Shirouma Dake, the Japan Alps, Geographical Review of Japan, 52, 562-579 (in Japanese). 

  31. Sin, J., Yu, K, Naruse, T., and Hayashida, A., 2004, Study on loess-paleosol stratigraphy of Quaternary unconsolidated sediments at E55S20-IV pit of Chongokni Paleolithic sit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0, 369-381 (in Korean). 

  32. Suzuki, I., 1992, Movements of surface gravels on bare ground in the Tanigawa Mountains, central Japan,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glacial and non-periglacial processes, Geographical Review of Japan, 65A, 75-91 (in Japanese). 

  33. Tamanyu, S., 1990, The K-Ar ages and their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of the Cheju Island volcanics, Korea, Bulletin of the Geological Survey of Japan, 41, 527-537 (in Japanese). 

  34. Washburn, A. L., 1980, Geocryology: A Survey of Periglacial Processes and Environments, John Wiley, New York. 

  35. Yim, Y., Paik, K., and Yi, N., 1991, The Vegetation of Mt. Halla,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임양재.백광수.이남주, 1991, 한라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서울).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