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개체 공간정보 구축 및 입지환경 분석 - 반야봉, 영신봉, 천왕봉 일원 구상나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Information and Location Environment of Dead Coniferous Tree in Subalpine Zone in Jirisan National Park -Focus on Korean Fir(Abies koreana) in Banyabong, Yeongsinbong, Cheonwangbong-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1, 2020년, pp.42 - 54  

박홍철 (국립공원연구원) ,  문건수 (삼아항업주식회사) ,  이호 (국립공원연구원) ,  이나연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리산국립공원 내 자생하는 아고산대 침엽수(구상나무 등)의 주요 분포지를 대상으로 약 10년 전·후의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활용해 고사목 증가량, 확산패턴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침엽수 고사목이 위치한 지점의 해발고도, 지형정보, 일사량, 수분환경 등을 분석하여 고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입지요인을 파악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 반야봉, 영신봉, 천왕봉 지역 모두 최근 10여 년간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목 개체수가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야봉은 약 2배, 영신봉은 약 3.9배, 천왕봉은 약 5.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천왕봉 지역의 증가세가 비교적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높은 경사도로 토양수분함량이 낮고, 남향에 위치하여 높은 일사량으로 증발산량이 많은 건조 환경, 이에 더해 태양광에 의한 강한 일사량 및 강우의 체류시간이 짧아 토양이 건조할 것으로 추정되는 입지환경에 고사목이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건조한 입지환경에서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가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10여 년 전과 비교해도 동일한 경향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ate of increase and spread patterns of dead trees of the conifer (Abies koreana and others) in subalpine zones by using the high-resolution aerial images in Jirisan National Park around 10 years ago. Furthermore, factors affecting the death of conifer were identifi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지역별 고사목 입지환경의 과거(약 10년 전)와 최근 사이 유의적 차이(변화)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이용하여 Scheffe와 Games Howell 방법으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더욱이 고사한 개체에 대한 수종구분은 잎의 탈락으로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상나무 주요 분포지(식피율 50% 이상)를 대상으로 구상나무 중심의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개체에 대한 영상판독을 수행하였다.
  • 또한 약 10년 전·후의 영상을 확보하여 고사목 증가량, 확산패턴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또한 약 10년 전·후의 영상을 확보하여 고사목 증가량, 확산패턴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고사목이 위치한 지점의 해발고도, 지형정보, 일사량, 수분환경등을 분석하여 구상나무 등 아고산대 침엽수 고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입지적 요인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국립공원 내 자생하는 아고산대 침엽수(구상나무 등) 주요 분포지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활용해 침엽수 고사개체에 대한 공간정보를 디지털 도면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약 10년 전·후의 영상을 확보하여 고사목 증가량, 확산패턴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구상나무가 높은 밀도로 서식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구상나무는 동-서로 가로지르는 주능선을 중심으로 거의 모든 능선부에 다양한 밀도로 분포하고 있다(KNPRI, 2017). 특히 반야봉과 영신봉, 천왕봉일대에서 높은 밀도로 서식하고 있으며(KNPRI, 2017; Parket al., 2019), 고사현상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KNPRI, 2017; 2018; 2019).
3차원 입체항공영상판독시스템은 무엇인가? 항공영상 판독의 정확도를 제고하기 위해 디지털 방식의 3차원 입체항공영상판독시스템을 사용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중첩 촬영된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사진 상의 지상 좌표 값 정보를 읽어 점, 선, 면의 형태인 수치지도로 지형지물을 묘사(도화)하는 시스템으로, 삼아항업(주)에서 개발한 ‘DPSMaster’를 사용하였다. ‘DPSMaster’는 입체(3D)로 구현된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바탕으로 수목의 침·활엽수 구분, 고사유무 육안 판별이 가능하며, 불규칙하고 복잡한 지형을 나타내는 산림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판독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영상판독프로그램이다(Figure 2).
직접조사를 통한 고사실태 파악의 단점은 무엇인가? 직접조사를 통한 고사실태 파악은 사람이 직접 현장에서 관찰·조사·측정하는 방식이므로 대규모 면적 조사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아고산대처럼 고해발고도 지역은 사람의 접근이 물리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접근 가능한 지역에 한해 대표성을 나타내는 특정 군락을 선정하여 방형구법에 의한 표준지 조사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표준지의 규모와 개수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조사결과를 공간적으로 확대하여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U.S., D.S. Kim, Y.S. Yun, S.H. Ko, K.S. Kim and I.S. Cho(2019) Theinference about the cause of death of Korean Fir in Mt. Halla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dying pattern - Proposing the possibility of excess soil moisture by climate changes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1): 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llen, C.D. and D.D. Breshears(2007) Climate ${\tau}$ induced forest dieback as an emergent global phenomenon.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88(47): 504-504. 

  3. Allen, C.D., A.K. Macalady, H. Chenchouni, D. Bachelet, N. McDowell, M. Vennetier, T. Kitzberger, A. Rigling, D.D. Breshears, E.H. Hogg, P. Gonzalez, R. Fensham, Z. Zhang, J. Castro, N. Demidova, J.H. Lim, G. Allard, S.W. Running, A. Semerci and N. Cobb(2010) A global overview of drought and heat-induced tree mortality reveals emerging climate change risks for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9(4):660-684. 

  4. Anderegg, W.R., T. Klein, M. Bartlett, L. Sack, A.F. Pellegrini, B. Choat and S. Jansen(2016) Meta-analysis reveals that hydraulic traits explain cross-species patterns of drought-induced tree mortality across the glob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3(18): 5024-5029. 

  5. Bennie, J., B. Huntley, A. Wiltshire, M.O. Hill and R. Baxter(2008) Slope, aspect and climate: Spatially explicit and implicit models of topographic microclimate in chalk grassland. Ecological Modelling 216(1): 4759. 

  6. Burnett, B.N., G.A. Meyer and L.D. McFadden(2008) Aspect related microclimatic influences on slope forms and processes, northeastern Arizon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Earth Surface, 113(F3). 

  7. Chaneton, E.J. and R.S. Lavado(1996) Soil nutrients and salinity after long-term grazing exclusion in a flooding Pampa grassland. Rangeland Ecology & Management/Journal of Range Management Archives 49(2): 182-187. 

  8. Chun, Y.M., J.K. Ahn, M.P. Hong, J.T. Shin, H.J. Won and S.H. Lee(2011)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community in Odaesan National Park. Geogr. J. Kor. 45(4):559-5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D'Amore, D. and P.E. Hennon(2006) Evaluation of soil saturation, soil chemistry, and early spring soil and air temperatures as risk factors in yellow-cedar decline. Global Change Biology 12(3):524-545. 

  10. Fensham, R.J., R.J. Fairfax and D.P. Ward(2009) Drought induced tree death in savanna. Global Change Biology 15(2): 380-387. 

  11. Frelich, L.E. and P.B. Reich(2010) Will environmental changes reinforce the impact of global warming on the prairie forest border of central North America?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8(7): 371-378. 

  12. Hong, M.P.(2004) Ecological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Seorak. Ph. D.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6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Isard, S.A.(1986) Factors influencing soil moisture and plant community distribution on Niwot Ridge, Front Range, Colorado, USA. Arctic and Alpine Research 18(1): 83-96. 

  14. Kang, S.J.(1984) Regeneration Proces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Mt. Jiri.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7(4):185-1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E.S.(1994) Decline of tree growth and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high altitude mountains. The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Research Report KOSEF921-1500-081-2, 8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G.T. and G.C. Choo(1999)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Togyusan: Abies koreana forest. Kor. J. Env. Eco. 13(1): 70-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G.T.(2000)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 community at subalpine zone area. Korean J. Environ. Ecol. 14(1): 28-37. 

  18. Kim, G.T., G.C. Choo and G.J. Baek(199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Mt. Halla: Abies koreana forest. Kor. For. Soc. 87(3): 366-3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G.T., G.C. Choo and T.W. Um(1996)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urobong-Sangwangbong area: Abies nephrolepis and Taxus cuspidata forest. Kor. J. Env. Eco. 10(1):160-1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J.D., G.E. Park, J.H. Lim and C.W. Yun(2018) The change of seedling emergence of abies koreana and altitudinal species composition in the subalpine zrea of Mt. Jiri over Short-Term(2015-2017). Korean J. Environ. Ecol. 32(3): 313-322. 

  21. Kim, J.K., J.G. Koh, H.T. Yim and D.S. Kim(2017) Changes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fir forest in Mt. Hallasan for the past 10 Years(2006, 2015). Korean J. Environ. Ecol. 31(6):549-5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ong, W.S.(2002)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7:357-3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ong, W.S.(2006)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oo, K.A., W.K. Park and W.S. Kong(2001)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Abies koreana W. at Mt. Halla, Korea: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s. Kor. J. Ecol. 24(5): 281-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KNPRI)(2017) Monitoring of ecosystem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National Park, Korea, 211pp. (in Korean) 

  26.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KNPRI)(2018) Monitoring of ecosystem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National Park, Korea, 351pp. (in Korean) 

  27.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KNPRI)(2019) Monitoring of ecosystem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National Park, Korea, 355pp. (in Korean) 

  28. Lee, H.H., S.K. Ha, S.O. Hur, K.H. Jung, W.T. Kim and K.H. Kim(2006) Characteristics of soil water runoff and percolation in sloped land with different soil textures. Korean J. Soil Sci. Fer. 39(5): 268-2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Lee, H.Y.(2013) The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nephrolepis Commuity and Population Dynamics as Climate Condition Changes in Mt. Seorak, Korea. Ph.D.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8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Lee, Y.W. and S.C. Hong(1995)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bies koreana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4(2): 247-2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Lim, J.H., S.Y. Woo, M.J. Kwon, J.H. Chun and J.H. Shin(2006) Phy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our. Kor. For. Soc. 95(6): 705-7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Liu, H., S. He, O.A. Anenkhonov, G. Hu, D.V. Sandanov and N. K. Badmaeva(2012) Topography ${\tau}$ controlled soil water content and the coexistence of forest and steppe in Northern China. Physical Geography 33(6): 561-573. 

  33. NIE(National Institute Ecology) (2014) Subalpine Conifer Forest Communities. 136pp. 

  34. Noh, I., J.M. Chung, T.W. Kim, S. Tamirat and H.S. Moon(2018)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slope of an abies koreana forest in Seseok of Jir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3): 293-3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Oh, K.K., Y.K. Jee and S.G. Park(2000) Dynamic patterns of abies koreana population in Chirisan National Park -Central of east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13(4):330-3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ark, H.C., H.Y. Lee, N.Y. Lee, H. Lee and J.Y. Song(2019)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 evergreen conifers in the major national park: A case study on Seoraksan, Odaesan, Taebaeksan, Sobaeksan, Deogyusan, Jir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10(2): 1-8. 

  37. Park, W.K. and H.W. Seo(1999) A dendroclimatic analysis on abies koreana in Cheonwang-bong area of Mt. Chiri,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3(1): 25-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Silvertown, J., Y. Araya and D. Gowing(2015) Hydrological niches in terrestrial plant communities: A review. Journal of Ecology 103(1): 93-108. 

  39. Song, K.M., J. Kim, Y.J. Kang, H.S. Choi, S.C. Jung, S.Y. Lee, J.H. Lee, J.G. Koh, J.G. Kim, K.H. Lee, Y.P. Hong, J.H. Lm and C.S. Kim(2016) Korea Fir Hallasan Mountain, Why Are They Dy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ervice. (in Korean with English) 

  40. Western, A.W., R.B. Grayson, G. Bloschl, G.R. Willgoose and T.A. McMahon(1999) Observed spatial organization of soil moisture and its relation to terrain indices. Water Resources Research 35(3): 797-810. 

  41. Wilson, J.P. and J.C. Gallant(2000) Terrain analysi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Wiley, New York, USA. 

  42. Xiang, X., X. Wu, X. Chen, Q. Song and X. Xue(2017) Integrating topography and soil properties for spatial soil moisture storage modeling. Water 9(9): 6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