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PLC-UVD/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fomesafen의 분석
Determination of Fomesafen Residue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PLC-UVD/M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4 no.2, 2010년, pp.95 - 103  

이수진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황영선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김영학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남미영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홍승범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윤원갑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  권찬혁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화학물질과) ,  도정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화학물질과) ,  임무혁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기준과) ,  이영득 (대구대학교 생명환경학부) ,  정명근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엽 제초제로 사용되는 fomesafen은 미국 및 중국 등에서 두류 및 과수의 광엽 제초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미사용 농약이며, 잔류허용기준 및 분석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최근 FTA 등으로 외국에서 수입되는 농산물 중 fomesafen에 대한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나, 국내 식품공전 상에는 fomesafen의 분석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HPLC-UVD/MS를 이용하여 농산물 중 fomesafen의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대상 농산물은 현미, 콩, 사과, 배추 및 고추를 선정하였다. 농산물 시료에 acetone을 가하여 추출된 fomesafen 성분을 dichloromethane 액-액 분배법과 Florisil 흡착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HPLC-UVD/MS 분석대상 시료로 하였다. Fomesafen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정량한계(LOQ)는 0.04 mg/kg 이었다. 각 대표 농산물에 대해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 및 5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검토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87.5~102.5%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반복 간 변이계수(CV)는 최대 7.7%를 나타내어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및 분석오차 10% 이내를 충족시키는 만족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LC/MS SIM을 이용하여 실제 농산물 시료에 적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신규 fomesafen의 HPLC-UVD/MS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하는 신뢰성이 확보된 정량 분석법으로 사용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mesafen is a selective herbicide, and used to control annual and perennial broad-leaf grass on soybean and fruit fields in USA and China, but not introduced in Korea yet. So, MRL (Maximum Residue Level), and analytical method of fomesafen were not establishment in Korea. Therefore, this experi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미사용 농약이지만 중국, 미국 등 외국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fiamesafen에 대해 정확성 및 정밀성이 확보된 농산물 적용 가능 신규 분석체계를 확립하여 국내 잔류농약 검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10g of activated Florisil (60-100 mesh) was dry pack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OAC (2000) 'Pesticide and industrial chemical residues, In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7th ed., pp. 1-88, AOAC International, Arlington, VA, USA. 

  2. Bolygo, E., and N. C. Atreya (1991) Solid-phase extraction for multi-residue analysis of some trizole pyrimidine pesticides in water. Freseniu's Journal of Analytical Chemistry 339(6): 423-430. 

  3. Fong, W. G, H. A. Moye, J. N. Seiber and J. P. Toth (1999) Pesticide residues in food: Methods, technologies, and regulations. Wiley Interscience. pp. 3-4, 40-44, Canada. 

  4. Harris, J. R., B. J. Gossett, T R. Murphy, and J. E. Toler (1991) Response of broad leaf weeds and soybeans to the diphenyl ether herbicides. J. Prod. Agric. 4:407-411. 

  5.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1998) TOXNET profile from Hazardous Substances Database, No. 6660, Fomesafen. 

  6. Kwon, C. H., M. I. Chang, M. H. Im, H. Choi, D. I. Jung, S. C. Lee, J. Y. Yu, Y. D. Lee, J. O. Lee, and M. K. Hong (2008) Determination of mandipropamid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mass spectrometry. Analytical Sci. & Technoligy 21(6):518-525. 

  7. Lagana, A., G. Fago, A. Marino, V. M. Penazzi (2000)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tandem for multiresidue determination of selected post-emergence herbicides after soil column extraction. Analytica Chimica Acta 415:41-56. 

  8. Lee, J., H. Park, Y. Keum, C. Kwon, Y. Lee, and J. Kim (2008) Dissipation pattern of Boscalid in cucumber under green house condition.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2: 67-73. 

  9. Miller, J. M. (2005) Chromatography : concepts and contrasts (2nd), Wiley Intersciense, p. 286-287, USA. 

  10.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3) GB/T 5009. 130. 

  11. Trezzi, M. M., R. A. Vidal, N. D. Kruse, R. P. Silva, M. S. Gustmann, and E. Franchin (2009) Fomesafen absorption site as a mechanism of resistance in an Euphorbia heterophylla biotype resistant to PROTOX inhibitors. Planta Daninha 27(1):139-148. 

  12.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7) Registration review ecological risk assessment problem formulation for fomesafen. Washington D.C., 20460. 

  13. US FDA (1999) 'Pesticide Analytical Manual, Vol 1: Multi residue Methods (3rd e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A. 

  14. 박청진, 이영득 (2003) 살균제 boscalod의 포도와 딸기 중 잔류특성. 생명과학연구 2(2):9-16. 

  15. 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식품공전. 

  16. 이영득 (2009) 식품공전 잔류농약분석법 실무 해설서, 식품의약품안전청.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