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거울 추출물의 Elastase 활성 저해 및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rex humilis Extract on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6 no.2, 2010년, pp.129 - 136  

박선희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이강혁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한창성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김기호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  김영희 ((주)바이오랜드 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거울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항산화,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RNA 발현 및 단백질의 생성 억제 관련 실험을 진행하였다. 산거울의 뿌리부분을 95 % 에탄올로 추출하고 유기 용매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엘라스타제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 EtOAc 분획이 각각 SC50=4.89 ${\mu}g/mL$, IC50=23.5 ${\mu}g/mL$ 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활성이 가장 좋은 EtOAc 분획물로 부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질이 ${\alpha}$-viniferin임을 분광학적 분석결과로 확인하였다. RT-PCR을 이용한 MMP-1 mRNA 발현능 평가에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각각 50 ~ 60 % (10 ~ 100 ${\mu}g/mL$), 약 60 ~ 75 % (0.5 ~ 2 ${\mu}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Western-blot을 이용한 MMP-1 단백질 생성을 평가한 결과에서 역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같은 농도에서 각각 50 ~ 65 %와 55 ~ 65 %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alpha}$-viniferin을 함유한 산거울의 EtOAc 분획층의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anti-wrinkle activity of Carex humilis extrac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and reduction of expression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RNA and MMP-1 protein were investigated. The roots of Carex humilis were extracted with 95 % ethanol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에서는 산거울 추출물과 이것에서 분리한 αviniferin에 대한 연구 중에서 성분과 작용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으나, 주름 관련 유전자인 MMP-1의 발현 및 생성에 대한 산거울 추출물과 이것에서 분리한 αviniferin의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 가능한 산거울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추출물(혹은 분획) 의 MMP-1의 발현 저해능력을 측정하여 항주름 효과를 측정하고 항주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거울이란 무엇인가? 산거울(Carex humilis Leyss)은 우리나라 각처의 그늘진 바위틈이나 건조한 숲 속에 나는 사초과의 다년초로 그 종류만 2,000가지 정도가 분포하고 있다. 키는 6 ~ 10 cm, 근경은 굵고 짧으며, 줄기는 적고, 총생이다.
산거울의 특징은 무엇인가? 산거울(Carex humilis Leyss)은 우리나라 각처의 그늘진 바위틈이나 건조한 숲 속에 나는 사초과의 다년초로 그 종류만 2,000가지 정도가 분포하고 있다. 키는 6 ~ 10 cm, 근경은 굵고 짧으며, 줄기는 적고, 총생이다. 잎은 좁고 길며, 길이는 30 cm 정도, 폭은 1 mm 정도 되며, 가장자리는 거칠거칠하고, 짧은 털이 나 있다. 작은 이삭은 2~ 3개, 수꽃 이삭은 1개가 줄기 끝에 붙고, 선상 피침형, 자루가 있으며, 길이 12 mm 정도의 엷은 적갈색이다. 암꽃이삭은 1 ~ 2개가 줄기 옆에 붙고, 선형이며, 길이는3 mm 정도의 적갈색이다. 비늘조각은 타원형으로 끝이 날카롭고 작으며, 가는 까락이 있다. 과낭은 비늘조각보다 매우 짧으며, 암술머리는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2 mm의 세모진 넓은 도란형이다[6].
피부의 노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피부의 노화는 주름 증가와 탄력감소, 색소 침착 등의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노화의 현상은 바로 주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T. Peter, Physiology Of The Skin, Allured Publishing Corporation, Pugliese. MD, 1, 61, (2001). 

  2. D. R. Keene, L. Y. Sakai, G. P. Lunstrum, N. P. Morris, and R. E. Burgeson, Type VII collagen forms an extended network of anchoring fibrils, J. Cell Biol., 104, 611 (1987). 

  3. K. Takeda, S. Harada, and M. Ando, Funtional Cosmetology, society of cosmetic chemists of Japan, Yakuji Nippo Ltd, 1, 163 (2004). 

  4. K. Fraizer, S. Williams, D. Kothapal, H. Klapper, and G. R. Grotendorst, Stimulation of fibroblast cell-growth, matrix production, and granulation-tissue formation by connective-tissue growth-factor,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07(3), 404 (1996). 

  5. P. Brenneisen and J. S. Oh, et. al., Ultraviolet B Wavelength Dependence for the Regulation of Two Major Matrix-Metalloproteinases and Their Inhibitor TI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s, Photochemistry & Photobiology, 64(5), 877 (1996). 

  6. 이영노,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 1086 (1998). 

  7. S. H Lee, N. H. Shin, and S. H. Kang, $\alpha$ -Viniferin: A Prostaglandin H2 Synthase Inhibitor from Root of Carex humilis, Planta Med, 64(3), 204 (1998). 

  8. E. Y. Chung, B. H. Kim, and M. K. Le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oligometric stilbene alphaviniferin and its mode of the action though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Planta. Med., 69(8), 710 (2003). 

  9. R. J. Pryce and P. Langcake, $\alpha$ -viniferin: an antifungal resveratrol trimer from grapevines, Physiological Plant Pathology, 18(2), 213 (1981). 

  10. S. Kitanaka, T. Ikezawa, and K. Yasukawa, (+)-a-Viniferin, an anti-inflammatory compound from Caragana chamlagu root, Chem. Pharm. Bull. 38(2), 432 (1990). 

  11. S. A. Chowdhury, K. Kishino, R. Satoh, K. Hashimoto, and H. Kikuchi, Tumor-specificity and apoptosis-inducing activity of stilben and flavonoids, Anticancer Research, 25(3B), 2055 (2005). 

  12. B. H. Malgorzata, L. Magdalena, M. Lucyna, and W. Anna, Resveratrol oligomer are potent MRP1 tracsport inhibitiors, Anticancer Research, 26(3A), 2081 (2006). 

  13. H. H. Euis and D. J. Lia, Cytotoxic resveratrol oligomers from the tree bark of Dipterocarpus hasseltii, Fitoterapia 77, 550 (2006). 

  14. S. H. Sung, S. Y. Kang, and K. Y. Lee, (+)-Alphaviniferin, a stilbene Trimer from Caragana Chamlague, inhibits acetylcholinesterase, Biol. Pharm. Bull., 25(1), 125 (2002). 

  15. S. Kitanaka, T. Ikezawa, K. Yasukawa, S. Yamanouchi, M. Takindon, H. K. Sung, and I. H. Kim, (+) $\alpha$ -Viniferin, an Anti-inflammatory Compound from Caragana Chamlagu Root, Chem. Pharm. Bull., 38, 432 (1990). 

  16. S. H. Sung, S. Y. Kang, K. Y. Lee, M. J. Park, and J. H. Kim, (+)- $\alpha$ -Viniferin, a Stilbene Trimer from Caragana chamlague, Inhibits Acetylcholinesterase, Biol. Pharm. Bull., 25(1), 125 (2002). 

  17. J. S. Choi, Screening on radical savenging activity of marine microalgae. Kor. J. Pharmacogn, 21(2), 252 (2000). 

  18. A. A. Van de Loosdrecht, E. Nennie, G. J. Ossenkoppele, R. H. Beelen, and M. M. Langenhuijsen, Cell mediated cytotoxicity against U 937 cells by human monocytes and macrophages in a modified colorimetric MTT assay. A methodological study. J. Immunol Methods, 141(1), 15 (199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