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어 collagens(SC)(ASSC: 산가용성 껍질 collagen, ASMC: 산가용성 육 collagen, PSSC: pepsin 가용성 껍질 collagen, PSMC: pepsin 가용성 육 collagen)의 항산화성, 항균성, tyrosinase 및 elstase 저해활성을 표품(시판 marine collagen)과 비교하였다. SC($1{\sim}5\;mg/mL$)의 전자공여능$14.91{\sim}17.21%$로 표품의 $4.82{\sim}5.48%$에 비하여 $3.0{\sim}3.6$배가 높았다. SC($5{\sim}80\;mg/mL$)의 SOD활성은 4.67${\sim}37.28%$로 STMC 보다 $1.9{\sim}5.9$배가 높았다. SC의 S. aureus와 S. enteritidis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는 $5{\mu}g$/disc로 표품의 $200{\mu}g$/disc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E. coli에 대한 MIC는 ASSC 및 ASMC에서는 $200{\mu}g$/disc인 반면 PSSC 및 PSMC는 $100{\mu}g$/disc이었으며 표품에서는 항균활성이 없었다.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은 PSMC가, S. enteritidis에 대한 항균력은 ASMC가, E. coli에 대한 항균력은 PSMC가 가장 높았다. SC($3{\sim}5\;mg/mL$)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58.95{\sim}98.16%$로 표품의 $17.67{\sim}26.25%$보다 $3.34{\sim}3.74$배가 높았다. SC의 elastase 저해활성은 농도가 0.5 mg/mL에서 1 mg/mL으로 높아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1 mg/mL에서의 활성도는 $53.33{\sim}80.00%$로 STMC의 50.67% 보다 높았으며 PSSC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산 및 pepsin 가용성의 모든 상어 collagen은 STMC에 비하여 $1.1{\sim}4.0$배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상어 collagens은 시판 marine collagen보다 항산화성, 항균성,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성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acid-soluble and pepsin-solubilizable shark (Isurus oxyrinchus) collagens (SC) (ASSC: acid-soluble shark skin collagen, ASMC: acid-soluble shark meat collagen, PSSC: pepsin-solubilizable shark skin collagen, PSMC: pepsin-solubilizable shark meat collag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어의 지느러미, 간, 연골, 껍질, 육 등에는 collagen을 비롯하여 squalene, DHA(docosahexaenoic acid), chondroitin sulfate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14,15)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collagen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상어의 껍질과 육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산가용성 collagen과 pepsin 가용성 collagen의 항산화능과 항균성 및 tyrosinase와 elastase의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llagen은 무엇인가? Collagen은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30% 정도를 차지하는 섬유상의 기질 단백질로 섬유아세포에서 생합성 되며, procollagen이 세포외로 방출되어 아미노산 및 카르복실 말단이 떨어져 나가면서 collagen으로 전환된다(1). Procollagen은 collagen 보다 glycine과 hydroxyproline의 함량은 낮고 serine 함량은 높으며, collagen에는 존재하지 않는 systein을 함유하며 세포외로 방출되기까지 다양한 효소의 작용을 받는다(2).
Collagen은 무엇에 의하여 물리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안정한 구조를 이루는가? Procollagen은 collagen 보다 glycine과 hydroxyproline의 함량은 낮고 serine 함량은 높으며, collagen에는 존재하지 않는 systein을 함유하며 세포외로 방출되기까지 다양한 효소의 작용을 받는다(2). Collagen은 섬유상 단백질의 기본단위인 tropocollagen의 분자내 또는 분자간의 공유결합성 가교결합에 의하여 물리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안정한 구조를 이룬다(3). Collagen은 생명체 중에서도 세포가 다수 집합되어있는 피부, 뼈, 연골, 힘줄, 인대, 혈액, 혈관, 치아 및 각막에 많이 존재하며 척추동물의 모든 장기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4).
상어 collagens의 항산화성, 항균성, tyrosinase 및 elstase 저해 활성을 표 품(시판 marine collagen)과 비교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상어 collagens(SC)(ASSC: 산가용성 껍질 collagen, ASMC: 산가용성 육 collagen, PSSC: pepsin 가용성 껍질 collagen, PSMC: pepsin 가용성 육 collagen)의 항산화성, 항균성, tyrosinase 및 elstase 저해활성을 표품(시판 marine collagen)과 비교하였다. SC(1~5 mg/mL)의 전자공여능은 14.91~17.21%로 표품의 4.82~5.48%에 비하여 3.0~3.6배가 높았다. SC(5~80 mg/mL)의 SOD활성은 4.67~37.28%로 STMC 보다 1.9~5.9배가 높았다. SC의 S. aureus와 S. enteritidis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는 5 μg/disc로 표품의 200 μg/disc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E. coli에 대한 MIC는 ASSC 및 ASMC에서는 200 μg/disc인 반면 PSSC 및 PSMC 는 100 μg/disc이었으며 표품에서는 항균활성이 없었다.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은 PSMC가, S. enteritidis에 대한 항균력은 ASMC가, E. coli에 대한 항균력은 PSMC가 가장 높았다. SC(3~5 mg/mL)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58.95~98.16%로 표품의 17.67~26.25%보다 3.34~3.74배가 높았다. SC의 elastase 저해활성은 농도가 0.5 mg/mL에서 1 mg/mL으로 높아짐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1 mg/mL에서의 활성도는 53.33~80.00%로 STMC의 50.67%보다 높았으며 PSSC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산 및 pepsin 가용성의 모든 상어 collagen은 STMC에 비하여 1.1~4.0배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상어 collagens은 시판 marine collagen보다 항산화성, 항균성,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활성이 우수하여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성이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Oilarinen, A., Autio, P., Kiistala, U., Ristell, L. and Risteli, J. (1992) A new method to measure type I and III collagen synthesis in human skin in vivo: Demonstration of decreased collagen sunthesis after topical glucocorticoid treatment. J. Invest. Dermatol., 98, 220-225 

  2. Bornstein, P., Mark, K., Wyke, H.P., Ehrlich, H.P. and Manson, J. (1972) Characterization of the pro-α1 chain of procollagen. J. Biol. Chem., 247, 2808 

  3. Kim, S.K. and Kwak, D.C. (1991) The enzymatic modification and functionalities of filefish skin collagen. J. Kor. Agic. Chem. Soc., 34, 265-272 

  4. Senaratne, L.S., Park, P. and Kim, S.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from brown backed toadfish (Lagocephalus gloveri) skin. Bioresource Technol., 97, 191-197 

  5. Jerome, S.P., Gabrielle, L. and Raul, F. (1998) Identification of collagen fibris in scleroderma skin. J. Invest. Dermatol., 90, 48-54 

  6. Ashley, W., Masahiro, O., Ralph, J.P., Mark, S., Mark, S. and Jack, N.L. (2008) Biochemical properties of alligator(Aligator mississippiensis) bone collagen. Comp. Biochem. Physiol.(Part B), 151, 246-249 

  7. Kwon, M.C., Qadir, S.A., Kim, H.S. and Ahn, J.H. (2008) UV protection and whitening effects of collagen isolated from outer layer of the squid Todarodes pacificus. J. Kor. Fish. Soc., 41, 7-12 

  8. Kwon, M.C., Kim, C.H., Kim, H.S., Syed, A.Q., Hwang, B.Y. and Lee, H.Y. (2007) Anti-wrinkle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derived from collagen isolated from Asterias amur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25-629 

  9. Hu, Y., Zhao, W., Qian, X. and Zhang, L. (2003)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type II collagen on adjuvant arthritis in rats and its mechanisms. Chin. Med. J., 116, 284-287 

  10. Tonnesen, M.G., Feng, X. and Clark, R.A. (2000) Angiogenesis in wound healing. J. Invest. Dermatol. Symp. Proc., 5, 40-46 

  11. Rehn, M., Veikkola, T., Kukk-valdre, E., Makamura, H., IImonen, M., Lombardo, C., Pihlajaniemi, T., Alitalo, K. and Vuori, K. (2001) Interaction of endostatin with intefrins implicated in angiogeneses. Proc. Natl. Acad. Sci., USA, 98, 1024-1029 

  12. Chung, J.H., Youn, S.H., Kwon, O.S., Cho, K.H., Cho, K.H., Youn, J.I. and Eun, H.C. (1997) Regulation of collagen synthesis by ascorbic aci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and interferon- $\gamma$ in human dermal fibroblasts cultured in three-dimensional collagen gel are photoaging and aging-indepedent. J. Dermaol. Sci., 15, 188-200 

  13. Feinstein, G.R. and Buck, E.M. (1984) Relationship of texture to pH and collagen content of yellowtail flounder and cusk. J. Food Sci., 49, 298-299 

  14. Sato, K., Yoshinaka, R., Sato, M. and Shimizu, Y. (1986) Collagen content in the muscle of fishes in association with their swimming movement and meat texture. Nippon Suisan Gakkai., 52, 1595-1600 

  15. Murphy, M.G., Wright, V., Ackman, R.G. and Horackova, M. (1997) Diets enriched in menhaden fish oil, seal oil, or shark liver oil have distinct effects on the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uinea pig heart. Mol. Cell. Biochem., 177, 257-269 

  1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120 

  17. Saeedeh, A.D. and Asna, U.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 

  18.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l. Chem., 47, 468-474 

  19. Conner, D.E. and Beuchat, L.R. (1984) Sensitivity of heat-stressed yeasts to essential oils of plants. Appl. Environ. Microbiol., 47, 229-233 

  20. James, A.E.K., Timothy, D.W. and Gorden, L. (1996) Inhibition of human leukocyte and porcine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yrosinase inhibitors. Biochem., 35, 9090-9096 

  21. Jung, S.W., Lee, N.K., Kim, S.J. and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22. Heo, J.C., Park, J.Y., An, S.M., Lee, J.M., Yun, C.Y., Shin, H.M., Kwon, T.K. and Lee, S.H.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Preserv., 13, 83-87 

  23. Torel, J., Gillard, J. and G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 25, 383-385 

  24. Park, H.Y., Yun, H.D., Kim, J.H., Kim, Y.G., Park, J.I., Lee, G.J., Jo, Y.R., Park, N.G., Kim, I.H., Go, H.J., An, S.H., Son, H.Y. and Kim, H.M. (2005) Development of industrial utilization technique of starfish collagen. Research Report o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p. 83-88 

  25. Nam, K.A. (2007) Characterization of squid skin collagens and functionality of their enzymatic hydrolysates. MS Thesis, University of Kangnung, p. 35-36 

  26. Shin, S.R., Hong, J.Y., Nam, H.S., Yoon, K.Y. and Kim, K.S. (2006)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of korean herbal materials. J. Kor. Soc. Food Sci. Nutr., 35, 187-191 

  27. Pavel, S. and Muskiet, F.A. (1983) Eumelanin(precursor) metabolites as markers for pigmented malignant melanoma, a preliminary report. Cancer Detect. Prev., 6, 311-316 

  28. Jimenez, M., Kameyama, K., Maloy, W.L., Tomita, Y. and Hearing, V.J. (1988) Mammalian tyrosinase: biosynthesis, processing, and modulation by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Proc. Natl. Acad. Sci., USA, 85, 3830-3834 

  29. Fitzpatrick, T.B., Eisen, A.Z., Wolff, K., Freedberg, I.M. and Austen, K.F. (1983) Update: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New York, McGraw-HILL, p. 205-225 

  30. Maeda, K. and Fukuda, M. (1991) In vitr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s. J. Soc. Cosmet. Chem., 42, 361-368 

  31. Lee, G.C. and Lee, C.Y. (1997) Inhibitory effect of caramelization products on enzymic browning. Food Chem., 60, 231-235 

  32. Jimenez, M., Chazarra, S., Escribano, J., Cabanes, J. and Garcia-Carmona, F. (2001) Competitive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by 4-substituted benzaldehydes. J. Agric. Food Chem., 49, 4060-4063 

  33. Robit, C., Rouch, C. and Cadet, F. (1997) Inhibition of palmito(Acanthophoenix rubra) polyphenol oxidase by carboxylic acids. Food Chem., 92, 707-712 

  34. Valero, E., Garcia-Moreno, M., Varon, R. and Garcia-Carmona, F. (1991) Timedependent inhibition of grape polyphenol oxidase by tropolone. J. Agric. Food Chem., 39, 1043- 1046 

  35. Cananes, J., Chazarra, S. and Garcia-Carmona, F. (1994)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 982-985 

  36. DeWitt, DL., Rollins, TE., Day, J.S., Gauger, J.A. and Smith, W.L. (1981)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of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 Biol. Chem., 256, 10375-10382 

  37. Tsuji, N., Moriwaki, S., Suzuki, Y., Takema, Y. and Imokawa, G. (2001) The role of el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38. Ying, Q.L., Rinehart, A.R., Simon, S.R. and Cheronis, J.C. (1991) Inhibition of human leucocyte elastase by ursolic acid. Evidence for a binding site for pentacyclic. Biochem. J., 277, 521-526 

  39. Kim, M.J., KIM, J.Y., Choi, S.W., Hong, J.T. and Yoon, K.S.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Cathamus tinctor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0, 15-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