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지역 실업자수 추정을 위한 로지스틱 선형혼합모형 기반 EBLUP 타입 추정량 평가
Evaluation of EBLUP-Type Estimator Based on a Logistic Linear Mixed Model for Small Area Unemployment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3 no.5, 2010년, pp.891 - 908  

김서영 (통계개발원 조사연구실) ,  권순필 (통계개발원 조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래 소지역 추정(small area estimation)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진 편인데 비해, 우리나라의 국가통계 작성에 실제 활용된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소지역 추정이 갖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공식통계 활용 여부를 판단하기가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소지역 추정방법에 의해 우리나라 시군구 실업자 통계를 생산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시군구 실업자수 추정은 로지스틱 선형혼합모형에 의한 EBLUP 타입(EBLUP-type) 추정량을 사용하였다. 실제자료분석과 모의실험 결과에 대해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고, 추정량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로지스틱 선형혼합모형 기반 EBLUP 타입 추정량은 우리나라 시군구 실업자수 추정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small area estimation method is currently unpopular in generating o cial statistics. Because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for small area estimation, although small area estimation ha a sufficiently good advantage to generate small area statistics for Korea. This pa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업을 비롯한 고용통계는 어떤 정보인가? 실업은 일반적인 사회경제 상황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서,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 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이와 함께 실업을 비롯한 고용통계는 소지역, 지방 및 중앙 정부가 고용정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효과적으로 배정하는데 필요한 핵심 정보가 되었다. 유럽 공동체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의 상호 균등 발전을 위해 특별 고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자금을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자금 배정은 소지역의 신뢰할만한 통계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Molina 등, 2007).
광범위한 유럽 국가 내 작은 지역들의 고용통계를 조사에 의해 파악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인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실제로 많은 국가들에서 그러했듯이, 광범위한 유럽 국가 내 작은 지역들의 고용통계를 조사에 의해 파악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일 것이다. 왜냐하면 소지역에서 신뢰할 만한 조사통계를 작성하려면 우선 표본크기가 커야 하고, 그에 따른 많은 인력과 예산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파생되는 조사기간의 연장, 비표본오차의 증가 등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지역 추정이 우리나라의 국가통계 작성에 실제 활용된 사례는 거의 없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근래 소지역 추정(small area estimation)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진 편인데 비해, 우리나라의 국가통계 작성에 실제 활용된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소지역 추정이 갖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공식통계 활용 여부를 판단하기가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소지역 추정방법에 의해 우리나라 시군구 실업자 통계를 생산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달호 (2005). , 자유아카데미. 

  2. 김서영, 권순필 (2009). , 통계개발원 보고서. 

  3. 김서영, 권순필 (2010). Time series & cross sectional 모형 기반 소지역 추정 사례연구, , 28-43. 

  4. 김수택, 고석남, 김상대 (2008). 소지역 노동통계의 효율적 추정방안- 실업률을 중심으로-, , 18, 53-76. 

  5. 김정숙, 황희진, 신기일 (2008). 이웃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간 소지역 추정량 비교, , 21, 855-866. 

  6. 박종태, 이상은 (2001). 소지역 추정법에 관한 비교 연구, , 12, 47-55. 

  7. 이계오 (2000). 시군구 실업자 추정을 위한 소지역 추정법, , 13, 276-286. 

  8. 이상은 (2006). 공간통계량을 활용한 베이지안 자기포아송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통계, , 19, 424-430. 

  9. 정연수, 이계오, 이우일 (2003). 시군구 실업자 통계추정을 위한 설계기반 간접추정법, , 16, 1-14. 

  10. 통계청 (2008). http://kosis.kr/nsp/index/index.jsp. 

  11. Brown, G., Chambers, R., Heady, P. and Heasam, H. (2001). Evaluation of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an application to the unemployment estimates from the UK LFS. In Proceedings of Statistics Canada Symposium Ottawa, October 2001. 

  12. Fay, R. E. and Herriot, R. A. (1979). Estimates of income for small places: An application of James-Stein procedures to census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4, 269-277. 

  13. Gelfand, A. E. and Smith, A. F. M. (1991). Gibbs sampling for marginal posterior expectations, Communications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20, 1747-1766. 

  14. Heady, P., Clarke, P., Brown, G., Eillis, K., Heasman, D., Hennell, S., Longhurst, J. and Mitchell, B. (2003). Model-based small area estimation series NO.2: Small area estimation project report,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UK) publication. 

  15. KOSIS (2010). http://kosis.kr/metadata/. 

  16. Molina, I., Saei, A. and Lombardia, M. J. (2007). Samll area estimates of labour force participation under a multinomial logit mixed model,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70, 975-1000. 

  17. ONS (2009). Model-Based Estimates of ILO Unemployment for UA/LADs in great Britain Guide for Users. 

  18. Rao, J. N. K (2003). Small Area Estimation, Wiley. 

  19. Rao, J. N. K. and Yu, M. (1994). Small area estimation by combining time series and cross-sectional data, The Canadian Journal of Statistics, 22, 511-528. 

  20. Saei, A. and Chambers, R. (2003a). EBLUP-type estimate of small area parameters based on logistic models, Working paper of University of Southampton, July 2003. 

  21. Saei, A. and Chambers, R. (2003b). Small area estimation: A review of method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mixed models, Working paper of University of Southampton, September 2003. 

  22. Saei, A. and McGilchrist, C. (1998). Longitudinal threshold models with random components, The Statistician (JRSS Series D), 47, 365-375. 

  23. Tiller, R. B. (1992). Time sereies modeling of sample survey data from the U.S.Current Population Survey, Journal of Official Statistics, 8, 149-166. 

  24. You, Y., Rao, J. N. K. and Gambino, J. (2003). Model-based unemployment rate estimation for the canadian labour force survey: A Hierarchical bayes approach, Statistics Canada, 29, 25-3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