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제작된 ITO 박막의 공정압력 변화에 따른 특성
Properties of ITO thin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with process pressure 원문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9 no.4, 2010년, pp.83 - 86  

정성진 (청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덕규 (충북대학교 전자공학부) ,  김홍배 (청주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ansparent electrode properties of ITO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with process pressure were investigated. The ITO thin films was deposited on a glass substrate using a target with 3in diameter sintered at a ratio of $In_2O_3$ : $SnO_2$ (9 : 1). 200-nm-th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은 공정압력 변화에 따른 ITO 박막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상온에서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하였을시 평균 투과율은 89%이상의 높은 투과율과 3.
  • 그중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공정은 상온에서의 증착이 가능하고, 얇은 두께의 박막증착이 가능하며, 균일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12]. 지금까지 ITO 는 고온에서 증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식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공정압력 변화에 따른 특성이 어떻게 변하며, 어떤 압력에서 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명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물질은? 디스플레이 산업이 발달하면서 최근 가장 주목 받는 것이 투명디스플레이 산업이다. 투명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ITO(indium thin oxide)[1], 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2], ZnO(zinc oxide)[3], AZO(alumium doped zinc oxide)[4], 그리고 IZO(Iindium doped zinc oxide)[5] 등이 있다. 그 중 투명 전도막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투명전도막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80% 이상의 투과율과 10-4 Ω·cm 내외의 전기저항성을 요구하고 있다.
투명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물질 중 ITO의 특징은? 그 중 투명 전도막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투명전도막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80% 이상의 투과율과 10-4 Ω·cm 내외의 전기저항성을 요구하고 있다. ITO 는 가시광선영역 중 550 nm 에서 85% 이상의 높은 투과율과 3.5 eV 의 높은 밴드갭, 낮은 전기저항성의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투명전도막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더 나은 성능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ITO 를 증착하기 위한 증착방법으로는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6-7], RF magentron sputtering[8-9], Evaporation[10-11] 법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산업이 발달하면서 무엇이 주목받았는가? 디스플레이 산업이 발달하면서 최근 가장 주목 받는 것이 투명디스플레이 산업이다. 투명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ITO(indium thin oxide)[1], 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2], ZnO(zinc oxide)[3], AZO(alumium doped zinc oxide)[4], 그리고 IZO(Iindium doped zinc oxide)[5]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Nisha, M.; Jayaraj, M. K. "Influence of RF power and fluorine doping on the properties of sputtered ITO thin films", Applied Surface Science, Vol. 255, pp. 1790-1795, 2008 

  2. Suresh, A.; Gollakota, P.; Wellenius, P.; Dhawan, A.; Muth, J. F."Transparent, high mobility InGaZnO thin films deposited by PLD", Thin Soild Films, Vol. 516, pp. 1326-1329, 2008 

  3. Lai, L. W.; Lee, C. T. "Investig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ZnO thin films",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Vol. 110, pp. 393-396, 2008 

  4. Li, Q. H.; Zhu, D. L.; Liu, W. J.; Liu, Y.; Ma, X. C. "Optical properties of Al-doped ZnO thin films by ellipsometry", Applied Surface Science Vol. 254, pp. 2922-2926, 2008 

  5. Jeong, J. A.; Choi, K H.; Bae, J. H.; Moon, J. M.; Jeong, S. W.; Kim, I. S.; Kim, H. K.; Yi, M. S. "Electrical, opt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ITO co-sputtered IZO films by dual target magnetron sputtering", J Electroceram. Vol. 23, pp. 361-366, 2009 

  6. Zhou, J. M. "Indium tin oxide(ITO)deposition, patterning, and Schottky Contact Fabrication", Department of microelectronic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rochester, new york, 2005 

  7. Makia, K.; Komiya, N.; Suzuki, A. "Fabrication of thin films of ITO by aerosol CVD", Thin Solid Films, Vol. 445, pp. 224-228, 2003 

  8. Sasabayashi, T.; Ito , N.; Nishimura , E.; Kon, M.; Song, P.K.; Utsumi, K.; Kaijo, A.; Shigesato, Y. "Comparative study on structure and internal stress in tin-doped indium oxide and indium-zinc oxide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Thin Solid Films, Vol. 445, pp. 219-223, 2003 

  9. Suzuki, M.; Maeda, Y.; Muraoka, M.; Higuchi, S. ; Sawada, Y. "ITO films sputter-deposited using an ITO target sintered with vanadium oxide additive",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54, pp. 43-45, 1998 

  10. Fallah, H. R.; Ghasemi, M.; Hassanzadeh, A.; Steki, H. "The effect of annealing on structural,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nanostructured ITO films prepared by e-beam evaporation", Materials Research Bulletin, Vol. 42, pp. 487-496, 2007 

  11. Ma, j.; Zhang, D. H.; Zhao, J. Q.; Tan, Chuenyu.; Yang, T. L.; Ma, H. 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TO films deposited on polyimide by reactive evaporation at low temperature" Applied Surface Science, Vol. 151, pp. 239-243, 1999 

  12. Meng, L. J.; Dos Santos, M.P. "Properties of indium tin oxide films prepared by rf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at different substrate temperature", Thin Solid Films Vol. 322, pp. 56-62, 1998 

  13. Salehi, A. "The effects of deposition rate and substrate temperature of ITO thin films on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Thin Solid Films Vol. 324, pp. 214-218,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