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구심성 및 원심성 근 수축에 따른 뇌 활성도 분석
Comparison of Cortical Activation between Concentric and Eccentric Exercise: A Pilot fMRI Study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2, 2010년, pp.25 - 30  

김중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중휘 (강병원 물리치료실) ,  박민규 (영남이공대학 기계.자동차학부) ,  박지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Behavior and movement are accomplished by voluntary contractions of skeletal muscles. There are three types of muscle contractions: concentric, isometric and eccentric.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rtical activation pattern between concentr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골격근이 수의적인 원심성 수축과 구심성 수축을 할 때 각각의 방법에서 나타나는 뇌 활성도를 규명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손목의 신전에서 구심성 수축과 원심성 수축 사이의 운동 수행에 따른 차이점이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운동 수행에 있어 근육의 원심성 수축과 구심성 수축은 인간의 행동과 움직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기법은 뇌 혈류량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시공간적 해상도가 우수한 측정 도구로써 운동학습, 뇌 손상후의 재조직화, 언어의 발달, 심리 및 인지 기능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뇌의 활성도를 측정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기법을 통하여 손목 신전근의 구심성 수축 운동과 원심성 수축 운동시 뇌 활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우성인 오른손의 운동 수행 시 구심성 수축 운동에서는 오른손의 운동 영역인 좌측의 일차운동영역에서만 활성도가 나타난 반면, 원심성 수축 운동에서는 양측의 일차운동영역과 보조운동영역에서 활성도가 나타났다.

가설 설정

  • 05보다 낮은 수준에서, 범위역치(extent threshold)는 부피소 5개를 기준으로 활성 지도를 얻었다. 이는 생리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적어도 유의미한 부피소가 5개 이상 있을 경우 활성이 된 것으로 가정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것으로, 각 활성의 p 값은 부피소의 높이역치와 범위역치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수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신체의 모든 움직임은 골격근의 수의적인 수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근수축은 작용하는 근육의 길이가 길어지는 원심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과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는 구심성 수축(concentric contraction), 근수축은 발생하지만 길이의 변화가 없는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원심성 수축은 수축하는 근육이 외력에 대항하는 힘으로서 작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의자에 앉을 때의 대퇴사두근의 수축, 턱걸이에서 올라갔다 내려올 때의 상완이두근의 수축, 높이 뛰기 전 반동을 주기 위한 가자미근과 넙치근의 수축 등과 같이 일상생활의 모든 활동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에서 왼손으로 운동 수행을 하였을 때 어떤 결과를 보였는가?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에서 오른손의 구심성 운동 시에는 왼쪽 일차운동영역에서만 활성도가 나타난 반면 원심성 수축운동에서는 왼쪽 오른쪽 모두 일차운동영역에서 활성도가 나타났다. 또한 왼손으로 운동 수행을 하였을 때에는 구심성 수축과 원심성 수축 모두 오른쪽의 일차운동영역에서만 활성도가 나타난 결과를 보였다. 원심성 수축과 구심성 수축 사이에서의 뇌 활성도 차이뿐만 아니라 왼손과 오른손의 뇌 활성도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우성 손과 비우성 손의 차이 때문이다.
원심성 수축은 어떤 경우에 발생하는가? 신체의 모든 움직임은 골격근의 수의적인 수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근수축은 작용하는 근육의 길이가 길어지는 원심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과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는 구심성 수축(concentric contraction), 근수축은 발생하지만 길이의 변화가 없는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원심성 수축은 수축하는 근육이 외력에 대항하는 힘으로서 작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의자에 앉을 때의 대퇴사두근의 수축, 턱걸이에서 올라갔다 내려올 때의 상완이두근의 수축, 높이 뛰기 전 반동을 주기 위한 가자미근과 넙치근의 수축 등과 같이 일상생활의 모든 활동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1-3 또한, 원심성 수축은 치료적 중재로써 물리치료 및 스포츠 의학에서 치료적 중재로써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운동 선수 트레이닝, 노인 운동,  레크리에이션 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mi PV, Bosco C. Utilization of stored elastic energy in leg extensor muscles by men and women. Med Sci Sports. 1978;10(4):261-5. 

  2. Ishikawa M, Dousset E, Avela J et al. Changes in the soleus muscle architecture after exhausting stretch-shortening cycle exercise in humans. Eur J Appl Physiol. 2006;97(3):298-306. 

  3. Stein RB, Estabrooks KL, McGie S et al. Quantifying the effects of voluntary contraction and inter-stimulus interval on the human soleus h-reflex. Exp Brain Res. 2007;182(3):309-19. 

  4. Abbruzzese G, Morena M, Spadavecchia L et al. Response of arm flexor muscles to magnetic and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during shortening and lengthening tasks in man. J Physiol. 1994;481(Pt 2):499-507. 

  5. Hortobagyi T, Hill JP, Houmard JA et al. Adaptive responses to muscle lengthening and shortening in humans. J Appl Physiol. 1996;80(3):765-72. 

  6. Sale DG. Neural adaptation to resistance training. Med Sci Sports Exerc. 1988;20(5 Suppl):S135-45. 

  7. Westing SH, Cresswell AG, Thorstensson A. Muscle activation during maximal voluntary eccentric and concentric knee extension.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91;62(2):104-8. 

  8. Sekiguchi H, Kohno Y, Hirano T et al. Modulation of corticospinal excitability during lengthening and shortening contractions in the first dorsal interosseus muscle of humans. Exp Brain Res. 2007;178(3):374-84. 

  9. Asmussen E. Positive and negative muscular work. Acta physiol scand. 1953;28:364-82. 

  10. Ishikawa M, Niemela E, Komi PV. Interaction between fascicle and tendinous tissues in short-contact stretchshortening cycle exercise with varying eccentric intensities. J Appl Physiol. 2005;99(1):217-23. 

  11. Nicol C, Avela J, Komi PV. The stretch-shortening cycle : A model to study naturally occurring neuromuscular fatigue. Sports Med. 2006;36(11):977-99. 

  12. Tesch PA, Dudley GA, Duvoisin MR et al. Force and emg signal patterns during repeated bouts of concentric or eccentric muscle actions. Acta physiol scand. 1990;138(3):263-71. 

  13. Enoka RM. Eccentric contractions require unique activation strategies by the nervous system. J Appl Physiol. 1996;81(6):2339-46. 

  14. Fang Y, Siemionow V, Sahgal V et al. Greater movementrelated cortical potential during human eccentric versus concentric muscle contractions. J Neurophysiol. 2001;86:1764-72. 

  15. Yang GA, Kim SH, Lim YE et al. Comparison of the activity of cortical neurons according to muscle contraction type between post stroke hemiplegic subjects and healthy subjects. J Kor Soc Phys Ther. 2009;21(1):73-80. 

  16. Choi JH, Kwon YH. Medial reorganization of primary motor cortex in patient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 fmri case study. J Kor Soc Phys Ther. 2005;17(3):421-8. 

  17. Krakauer JW, Pine ZM, Ghilardi MF et al. Learning of visuomotor transformations for vectorial planning of reaching trajectories. J Neurosci. 2000;20(23):8916-24. 

  18. Kim YH, You SH, Ko MH et al.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induced corticomotor excitability and associated motor skill acquisition in chronic stroke. Stroke. 2006;37(6):1471-6. 

  19. Cramer SC, Bastings EP. Mapping clinically relevant plasticity after stroke. Neuropharmacology. 2000;39(5):842-51. 

  20. Oldfield RC.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handedness: The edinburgh inventory. Neuropsychologia. 1971;9:97-113. 

  21. Cramer SC, Bastings EP. Mapping clinically relevant plasticity after stroke. Neuropharmacology. 2000;39(5):842-51. 

  22. Park JW, Jang SH. The difference of cortical activation pattern according to motor learning in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 An fmri case study. J Kor Soc Phys Ther. 2009;21(1):81-8. 

  23. Lacerte M, deLateur BJ, Alquist AD et al. Concentric versus combined concentric-eccentric isokinetic training programs: Effect on peak torque of human quadriceps femoris muscle.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59-62. 

  24. Seger JY, Thorstensson A. Muscle strength and myoelectric activity in prepubertal and adult males and females.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1994;69(1):81-7. 

  25. Xiong J, Ma L, Wang B et al. Long-term motor training induced changes i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both task and resting states. Neuroimage. 2009;45(1):75-82. 

  26. Aagaard P, Simonsen EB, Trolle M et al. Specificity of training velocity and training load on gains in isokinetic knee joint strength. Acta physiol scand. 1996;156(2):12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