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과 어깨근육 운동프로그램이 전방머리자세의 척추-골반 정렬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ck and Shoulder Exercise Program on Spino-Pelvic Alignment in Subject with Forward Head Postu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7 no.4, 2019년, pp.265 - 272  

강효정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양회송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Excessive computer use frequently results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and shoulder such as forward head posture (FH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neck and shoulder exercise program on spino-pelvic align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 in he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를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와 이때 발생된 머리-목 정렬의 변화가 척추-골반 정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전방머리자세를 위한 중재로 머리-목 정렬 호전 및 증상 완화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구조적 사슬이론 등의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 척추 및 골반 정렬에 미치는 영향과 각 분절 변화의 상관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를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프로그램이 척추 및 골반의 정렬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머리-목 정렬의 변화가 목뼈, 등뼈, 허리뼈, 골반 정렬 변화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의 대상으로 실시한 목과 어깨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와 이때 발생된 머리-목 정렬의 변화가 척추-골반 정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4주간 주2~3회 운동을 하였고, 운동 전·후에 방사선 촬영 이용 머리, 척추-골반의 시상면 정렬인 머리척주각, 전방머리, 목뼈 앞굽음, 등뼈 뒤굽음, 허리엉치 앞굽음, 엉치뼈 기울임, 골반 기울임, 골반입사각을 이용하여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운동프로그램이 AHT,CVA, SS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운동을 통한 전방머리 이동거리의 변화는 CVA, CL, SS, PI의 변화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머리가 전방으로 5 ㎝이상 이동한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목뼈 만곡이 변화한 정도는 등뼈 만곡이 변화한 정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장시간 생활습관을 통하여 형성된 목뼈 정렬은 인접해 있는 등뼈 정렬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실시한 운동프로그램 결과로 머리의 위치가 호전되어 머리-목 정렬이 변화가 있지만 목뼈, 등뼈, 허리뼈의 만곡을 변화시키지는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방머리자세의 특징은 무엇인가? 한편 최근 현대인들은 앉아 있는 시간이 증가하고 스마트폰,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어 전방머리자세(forward head posture), 구부정한 자세(slouched posture) 등와 같은 부정렬 자세가 호발한다(Chiou 등, 2012; Szeto 등, 2002). 전방머리자세는 머리가 중력중심선의 전방에 놓이게 되어 굽힘의 모멘트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시선은 정면을 향하게 되고, 이는 윗목뼈관절과 고리뒤통수관절의 과도한 폄을 유발시키고 목뼈 뒤쪽 근육의 단축을 발생시킨다. 특히, 뒤통수밑근, 큰가슴근, 위등세모근, 어깨올림근, 넓은등근 등의 단축이 일어나고, 깊은목굽힘근, 마름근, 중간 및 아래등세모근, 앞톱니근 등의 약화가 발생된다. 그뿐만 아니라 서 있는 동안 시상 균형에 대한 대상 기전으로 허리뼈 각도의 감소하고, 이는 골반 뒤쪽돌림 및 엉덩관절의 폄을 유발시키며, 또한 시상면에서 머리의 기울기와 윗목 폄은 윗몸통의 등뼈 뒤굽음과 어깨의 앞쪽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Lee, 2002; Raine & Twomey, 199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방머리자세를 위한 자세교육 및 신장운동, 근력강화운동, 안정화운동 프로그램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며(Choi와 Hwang, 2011; Cho, 2014; Lee 등, 2015), 운동을 통한 중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척추 정렬의 정상 범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척추 시상면 정렬은 목뼈 앞굽음, 등뼈 뒤굽음, 허리뼈 앞굽음의 만곡을 이루고 있어 걷거나 뛸 때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Castillo & Lieberman, 2018). 비정상적인 척추의 정렬은 중심축의 이동을 발생시키며, 이에 대한 보상성 작용으로 인하여 신체 다른 관절들의 부정렬을 야기시켜 쉽게 피로하고 신경이 예민해지거나, 외형의 변화, 근육뼈대계 통증, 그리고 퇴행성 변화 등을 초래하고, 균형능력 감소 및 기능적 문제를 발생시킨다(Chiou 등, 2012; Roussouly 등, 2005; Sun 등, 2014; Vaz 등, 2002). 따라서 척추 정렬의 정상 범위를 확인하고, 척추 만곡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전방머리자세가 초래하는 증상은 무엇인가? 척추는 목뼈, 등뼈, 허리뼈, 골반의 각 분절 정렬에 영향을 미쳐 인접한 분절의 정렬과 상관관계를 갖는다. 전방머리자세는 머리가 중심선 앞에 위치하여 머리 기울기뿐만 아니라 목뼈와 등뼈의 만곡 등에 변화를 야기시킨다. 전방머리자세를 위한 중재로 머리-목 정렬 호전 및 증상 완화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구조적 사슬 이론 등의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 척추 및 골반 정렬에 미치는 영향과 각 분절 변화의 상관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stillo ER, Lieberman DE(2018). Shock attenuation in the human lumbar spine during walking and running. J Exp Biol, 221(9), 1-12. 

  2. Chiou WK, Chou WY, Chen BH(2012). Notebook computer use with different monitor tilt angle: effects on posture, muscle activity and discomfort of neck pain users. Work, 41(1), 2591-2595. 

  3. Cho SH(2014). The effect of myofascial release technique and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exercise o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4. Choi YJ, Hwang R(2011). Effect of cervical and thoracic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forward head posture. J Ko Con A, 11(10), 293-300. 

  5. Hong CH, Han JK(2016). Effect of high heels on spinal sagittal alignment. JASS, 6(1), 29-32. 

  6. Jung HW, Shin WS, Kim DH, et al(2013).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forward head posture and spinal alignment. J Korean Med Rehab, 23(4), 195-202. 

  7. Kim MS, Chung SW, Hwang CJ, et al(2005). A radiographic analysis of sagittal spinal alignment for the standardization of standing lateral position. J Korean Orthop Assoc, 40(7), 861-867. 

  8. Lau KT, Cheung KY, Chan KB, et al(2010). Relationships between sagittal postures of thoracic and cervical spine, presence of neck pain, neck pain severity and disability. Man Ther, 15(5), 457-462. 

  9. Lee CS(2002). Influences of slip amount and slip angle on lumbar lordosis and sagittal balance in lumbar spondylolisthesis. Inje Medical Journal, 23(5), 323-330. 

  10. Lee HS, Lee GH, Kang SH, et al(2015). Effects of the home exercise program and exercise program of round shoulder adjusting on the shoulder height, the level of trapezius muscle activity and attention capac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Soc Integrative Med, 3(1), 91-103. 

  11. Mac-Thiong JM, Labelle H, Berthonnaud E, et al(2007). Sagittal spinopelvic balance in normal children and adolescents. Eur Spine J, 16(2), 227-234. 

  12. McAviney J, Schulz D, Bock R, et al(2005).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ervical lordosis and neck complaint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8(3), 187-193. 

  13. Raine S, Twomey L(1994). Posture of the head, shoulders and thoracic spine in comfortable erect standing. Aust J Physiother, 40(1), 25-32. 

  14. Roussouly P, Gollogly S, Berthonnaud E, et al(2005). Classification of the normal variation in the sagittal alignment of the human lumbar spine and pelvis in the standing position. Spine, 30(3), 346-353. 

  15. Sun A, Yeo HG, Kim TU, et al(2014). Radiologic assessment of forward head posture and its relation to myofascial pain syndrome. Ann Rehabil Med, 38(6), 821-826. 

  16. Szeto GP, Straker L, Raine S(2002). A field comparison of neck and shoulder postures i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office workers. Appl Ergon, 33(1), 75-84. 

  17. Talati D, Varadhrajulu G, Malwade M(2018). The effect of forward head posture on spinal curvatures in healthy subjects. Asian Pacific Journal of Health Sciences, 5(1), 60-63. 

  18. Vaz G, Roussouly P, Berthonnaud E, et al(2002). Sagittal morphology and equilibrium of pelvis and spine. Eur Spine J, 11(1), 80-87. 

  19. Vedantam R, Lenke LG, Keeney JA, et al(1998). Comparison of standing sagittal spinal alignment in asymptomatic adolescents and adults. Spine, 23(2), 211-215. 

  20. Weon JH, Oh JS, Cynn HS, et al(2010). Influence of forward head posture on scapular upward rotators during isometric shoulder flexion. J Bodyw Mov Ther, 14(4), 367-3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