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재활관련 전문가의 업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 연구 -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among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2, 2010년, pp.69 - 75  

구현모 (영산대학교 보건의료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인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보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with regard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physical therapists (P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OTs). Methods: The study involved administering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A 지역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해 조사하고 업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를 통해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주관적 삶의 질의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업무 스트레스는 언제 발생하는가? 1 업무 스트레스의 원인은 우울증, 사회 심리적 장애 같은 정신 건강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 근골격 질환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과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업무 스트레스는 개인이 상황이나 환경을 조절할 수 없을 때 발생하며, 대부분의 스트레스는 일의 요구도가 높고 통제력이 낮을 때 발생한다. 업무 스트레스는 적정할 경우 심신활동을 촉진, 활성화시켜 업무수행에 있어서 문제 해결력을 고조시키고 동기를 유발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지만 스트레스의 정도가 과도할 경우 역기능이 작용하여 업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업무 스트레스란? 일반적으로 직장생활이 전체 생활의 일부지만, 업무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직장 생활이 직장인에게는 적지 않은 시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직장인에게는 업무상 받는 스트레스가 생활 전방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NIOS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에서는 업무 스트레스를 업무상 요구사항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바램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유해한 정서적 반응이라고 정의하였다.1 업무 스트레스의 원인은 우울증, 사회 심리적 장애 같은 정신 건강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 근골격 질환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삶의 질과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업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삶의 질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에서, 업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삶의 질은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업무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삶의 질은 낮아지고, 업무 스트레스가 감소할수록 주관적 삶의 질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는 업무 수행능력이나 시간에 비례하여 적절한 보상을 받고, 업무상 자율성이 보장 되고, 근무지에서 환자 치료에 주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도수치료로 인한 피로를 낮추고, 전문직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고, 회복의 가능성이 없는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기회를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업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스스로 희망이 없다고 판단하거나, 실패감을 느끼는 등의 주관적 삶의 질을 저하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SL, Jung HS, Lee JE et al. Factors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workers-through the application of NIOSH job stress model.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3;14(2):190-9. 

  2. Karasek R, Gardell B, Lindell J. Work and non-work correlates of illness and behavior in male and female Swedish white-collar workers. J Organ Behav Manage. 1987;8(3):187-207. 

  3. WHO. Programme on mental health. WHOQOL user manual. Division of Mental Health and Substance Abuse, 1998. 

  4. Yoon JS, Kook SH, Lee MS.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KvSBQOL). J Korean Neuropsychatr Assoc. 1998;37(2):280-94. 

  5. Stansfeld SA, Bosma H, Hemingway H et al. Psychosocial work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SF-36 health functioning: the Whitehall II study. Psychosom Med. 1998;60(3):247-55. 

  6. Bergner M. Quality of life, health status, and clinical research. Med Care. 1989;27(3 Suppl):S148-56. 

  7. Hollandsworth JG Jr. Evaluating the impact of medical treatment on the quality of life: A 5-year update. Soc Sci Med. 1988;26(4):425-34. 

  8. Kwon MJ. Satisfaction of utilization of physical therapy of life for caregivers of cerebral palsy children. J Kor Soc Phys Ther. 2009;21(2):55-63. 

  9. Lee KH, Jung B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ists. J Kor Soc Phys Ther. 2009;21(3):109-18. 

  10. Yi CH. Work-related stress among physical therapists. J Kor Soc Phys Ther. 1990;2(1):65-74. 

  11. Yang YA, Hur JG, Nor YMet al. The study of job stress in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2007;26(3):1-9. 

  12. Kim JH. The study on the job stress and the symptoms of the stress of clinical nur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1. 

  13. Dunbar GC, Stoker MJ, Hodges TCP et al. The development of SBQOL-A unique 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Br J Med Econ. 1992;2:65-74. 

  14. Park MS, Yoo YS. Burde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ctive Care. 2005;8(1):8-17. 

  15. Yoon JW. A prospective model of subjective life quality of clinical nurses. Keimyung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9. 

  16. Kim HW. The effects that sport activities, of police officers have on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job satisfaction. Chungang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6. 

  17. Lee HS. Impact of income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00;23(1):91-117. 

  18. Yoon H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psycho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40(5):351-62. 

  19. Seo JS.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status of clinical nurse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2;5(1):71-85. 

  20. Choi JE.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teachers and associated variables. Kyungsung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2004. 

  21. Kim BJ. Th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a 3 shift after the operation of 5 day a week working system. Kyunghee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2007. 

  22. Speakman HG, Pleasant JM, Sutton GB. The job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ists. Phsyiother Res Int. 1996;1(4):247-54. 

  23. Deckard JG, Present MR. Impact of role stress on physical therapists' emotional and physical well-being. Phys Ther. 1989;69(9):713-8. 

  24. Campo MA, Weiser S, Koenig KL. Job strain in physical therapists. Phys Ther. 2009;89(9):946-56. 

  25. Lee MS.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Korean workers and associated variables. Yonsei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