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contributing factors,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physical therapist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80 physical therapists in Gangwon Province. Variables examined included the preval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직무와 관련된 근골격계 통증의 발생부위, 통증의 강도, 통증의 양상과 함께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조직 내부에서의 관계, 불안정성, 조직 및 보상체계, 직장문화 영역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치료사의 직무 관련 근골격계 통증과 그와 관련된 요소들의 특성, 다양한 직무관련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직무와 관련된 근골격계 통증의 발생부위, 통증의 강도, 통증의 양상과 함께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조직 내부에서의 관계, 불안정성, 조직 및 보상체계, 직장문화 영역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치료사의 직무 관련 근골격계 통증과 그와 관련된 요소들의 특성, 다양한 직무관련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대상자의 만족도가 높고 의료서비스에 만족한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의료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이용하며 의료진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에(조주영 등, 2009), 이 연구의 결과는 물리치료사의 WMSDs를 예방하기 위한 의료제도 및 근무여건의 개선과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수준 제고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MSDs를 포함한 심리사회적 문제가 복지의료 및 의료산업에서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무엇인가? WMSDs가 있는 치료사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직무 수행과 환자 치료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Darragh 등, 2009), 직무에서의 인간적 요소가 충족될때 직무에 전념하여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에(이도형, 1990), WMSDs를 포함한 심리사회적 문제는 복지의료 및 의료산업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문제의 유발요인에는 고정된 근무환경의 한정된 자세와 동작(하성자, 2003)외에도 숙련도, 직무 및 근무조건 만족도, 자율성과 관련된 요소, 상사 및 동료들과의 인간관계, 업무적 스트레스(업무량의 과다, 사회적지지 수준, 업무의 모호함과 단순성, 업무의 자율성 정도 등이 보고되었다(강유리, 2007; 박정란, 2007; 이소은, 2006).
우리나라의 직무관련 근골격계질환의 발병 비율의 통계는 어떻게 되는가? 직무관련 근골격계질환(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은 2002년에 전체 업무상 질병의 33.7%를 차지했으나 2003년에는 148.1%가 증가한 4,532명으로 전체 업무상 질병의 49.6%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 문제는 2007년에 67.3%(7,723명)를 차지하여 전년도에 비해 23.9%, 2003년에 비해서는 70.4%가 증가하였다(노동부, 2008). 미국에서는 매년 근로시간 손실을 야기하는 600,000건 정도의 WMSDs 발생이 노동통계청에 보고되며(한국산업안전공단, 2008), WMSDs는 사업주가 부담하는 산업재해와 질병에 대한 전체 보상비용의 1/3을 차지한다(Barr과 Barbe, 2002).
직무수행이나 일상생활에 통증을 느낀 경우 중 부위별 통계는 어떠한가? 1%이었다. 통증이 발생한 경험이 있는 부위(중복응답 허용)는 허리가 17.6%로 많았으며 어깨는 17.1%, 손목은 13.2%이었다. 직무와 관련하여 가장 큰 어려움을 주었던 통증 부위는 허리가 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유리. 음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9-15. 

  2. 권미지, 김수민. 대구지역 물리치료사들의 직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장애 조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1;13(1):151-160. 

  3. 권오윤, 곽민숙, 김선엽. 운동손상중후군의 진단과 치료. 서울, 정담미디어, 2005:5-26. 

  4. 김경모.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통증과 직무 스트레스.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17-23. 

  5. 김희권.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광주, 전남,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1-3. 

  6. 노동부. 2007년 노동백서. 2008:306. 

  7. 박정란. 치과위생사의 작업동작과 근골격계 증상간의 관련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6-9. 

  8. 송영화. 물리치료사의 스트레스 크기와 소진 경험 상태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1-3. 

  9. 윤창구.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1:1-4. 

  10. 이도형, 이기주. 조직행태관리이념 및 실제에 대한 연구. 산업과 경영. 1991;3(1):171-199. 

  11. 이소은.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17-21. 

  12. 이승주, 윤철환. 물리치료사의 직업성 스트레스 발생관련 요인 조사.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1993;14(1):35-49. 

  13. 이철갑.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증상 호소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요인.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57-61. 

  14. 이충휘. 물리치료사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990;2(1):65-74. 

  15. 이형수, 송화경, 김한나 동. 전남 동부지역 물리치료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 만족도 조사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5;17(1):71-86. 

  16.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등.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2005;17(4):297-317. 

  17. 전제균. 물리치료사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1-2. 

  18. 조주영, 김열, 곽민선 등. 위암 검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9;9(1):1-9. 

  19. 최덕호.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2:1-4. 

  20. 하성자.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상태와 관련된 요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9-19. 

  21. 한국산업안전공단. 미국의 산업안전보건제도 및 재해 예방활동. 2008:104. 

  22. 한금림. 물리치료사의 업무성 스트레스 유발요인파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1-3. 

  23. 함수연. 물리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연관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1-3. 

  24. 허영배. 물리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 부산지역 근무자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1-2. 

  25. Barr AE, Barbe MF. Pathophysiological tissue changes associated with repetitive movement: A review of the evidence. Phys Ther. 2002;82(2):173-187. 

  26. Bork BE, Cook TM, Rosecrane JC, et a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physical therapists. Phys Ther. 1996;76(8):827-835. 

  27. Camo M, Weiser S, Koenig KL, et a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pis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with 1-year follow-up. Phys Ther. 2008;88(5):608-619. 

  28. Cromie JE, Robertson VJ, Best M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 therapists: Prevalence, severity, risks, and responses. Phys Ther. 2000;80(4):336-351. 

  29. Darragh AR, Huddleston W, King P. Work-related musculoskeletal injuries and disorders among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Am J Occup Ther. 2009;63(3):351-362. 

  30. Ektor-Anderson J, lsacsson SO, Lindgren A, et al. The experience of pain from the shoulder-neck area related to the total body pain, self-experienced health and mental distress. Pain. 1999;82(3):289-295. 

  31.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Prevention report. 2008:5-12. 

  32. Glover W, McGregorb A, Sullivana C, et a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ffecting members of the Chartered Society of Physiotherapy. Physiotherapy. 2005;91(3):138-147. 

  33. Holder NL, Clarke HA, DiBlassio JM, et al. Cause, prevalence, and response to occupational musculoskeletal injuries reported by physic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 assistants. Phys Ther. 1999;79(7):642-652. 

  34. Jacobs, K. Ergonomics for Therapists. 3rd ed. St.Louis, Mosby, 2008:271-300. 

  35. King P, Huddleston W, Darragh A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ies: Differences among older and younger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J Occup Rehabil. 2009;19(3):274-283. 

  36. Karasek R, Brisson C, Kawakami N et al.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n instrument for Internationally Comparative Assessments of Psychosocial Job Characteristics. J Occup Health Psychology. 1998;3(4):322-355. 

  37. Mierzejewski M, Kumar S. Prevalence of low back pain among physical therapists in Edmonton, Canada Disabil Rehabil. 1997;19(8):300-317. 

  38. West DJ, Gardner D. Occupational injuries of physiotherapists in North and Central Queensland. Aust J Physiother. 2001;47(3):179-1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