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아동균형척도의 검사 - 재검사, 측정자간 및 내의 신뢰도
Test-retest,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a Pediatric Balance Scal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4, 2010년, pp.43 - 48  

고주연 (분당차병원 물리치료실) ,  김기원 (동남보건대학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test-retest,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BS) when applied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Methods: Subjects were out-patient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t four CP clinics in Gyeonggyi-do and Chu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아동균형척도를 이용해 위와 같이 구체적으로 신뢰도를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균형척도를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적용하여 검사- 재검사, 측정자간, 그리고 측정자내 신뢰도 등을 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조절이란 무엇인가? 1 균형의 조절은 신경-근-골격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완성되는데 여기에는 고유감각(proprioception), 전정 감각(vestibular sensation), 그리고 시각적 되먹임(visual feedback) 기전 등이 작용한다.2,3 균형조절이란 중력에 대해 근골격계를 조절하며, 체중 중심을 이동할 때 요구되는 평형을 조절하는 능력으로 자세의 안정성, 즉 평형감각조절로 정의한다.
균형의 조절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균형의 조절은 모든 운동 능력의 기본적인 요소가 되기 때문에 균형 조절 능력의 향상을 통해 기능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고, 뇌성마비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물리치료 프로그램에서 균형 훈련이 강조되고 있다.6-8 이러한 균형 조절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적인 자세에서 눈을 감거나 뜬 상태로 한발로 서기를 유지하는 시간의 측정, 정위반응 검사, 균형반응 검사, 보호반응 검사 등이 실시되었다.9 그 외에도 표준화된 평가 도구인 브르닝스-오스렛스키 검사(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대동작기능평가(Gross Motor Function Measure)의 일부 항목을 통해 아동 균형 평가가 실시되어 왔고,10 정량적인 균형조절 능력의 평가를 위해 몸의 운동형상학적(kinematic) 평가, 운동 역학적(kinetic) 평가 및 역동적 근전도(dynamic electromyography) 검사 등이 시도되었다.11,12
균형의 조절을 위해 작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은 일상생활동작 수행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1 균형의 조절은 신경-근-골격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완성되는데 여기에는 고유감각(proprioception), 전정 감각(vestibular sensation), 그리고 시각적 되먹임(visual feedback) 기전 등이 작용한다.2,3 균형조절이란 중력에 대해 근골격계를 조절하며, 체중 중심을 이동할 때 요구되는 평형을 조절하는 능력으로 자세의 안정성, 즉 평형감각조절로 정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luding P, Swafford B, Cagle P et al.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validity of the Kansas university standing balance scale. J Geriatr Phys Ther. 2006;29(3):93-9. 

  2. Ferdjallah M, Harris GF, Smith P et al. Analysis of postural control synergies during quiet standing in healthy children a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2;17(3):203-10. 

  3. Seo SK, Kim SH, Kim TY. Evaluation of static balance in postural tasks and visual cue in normal subjects. J Kor Soc Phys Ther. 2009;21(4):51-6. 

  4. Franjoine MR, Gunther JS, Taylor MJ. Pediatric Balance scale: a modified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the school-age child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 Pediatr Phys Ther. 2003;15(2):114-28. 

  5. Nashner LM, Shumway-Cook A, Maarin O. Stance posture control in select group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ficits in sensory organization and muscular coordination. Exp Brain Res. 1883;49(3)393-409. 

  6. Salem Y, Godwin EM.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mobil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 Rehabilitation. 2009;24(4)307-13. 

  7. Katz-Leurer M, Rotem H, Lewitus H et al. Relationship between balance abilities and gait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post-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 2008;22(2):153-9. 

  8. Gan SM, Tung LC, TangYH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functional balance assess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8;22(6):745-53. 

  9. Woollacott M, Shumway-Cook A, Hutchinson S et al.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muscle activity used in recovery of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Dev Med Child Neurol. 2005;47(7):455-61. 

  10. Ko MS, Lee NH, Lee JA et al. Inter-examiner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balance scal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08;15(1):86-95. 

  11. Gage WH, Winter DA, Frank JS et al. Kinematic and kinetic validity of the inverted pendulum model in quiet standing. Gait Posture. 2004;19(2):124-32. 

  12. Mayagoitia RE, Lotters JC, Veltink PH et al. Standing balance evaluation using a triaxial accelerometer. Gait Posture. 2002;16(1):55-9. 

  13. Bartlett D, Birmingham 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pediatric reach test. Pediatr Phys Ther. 2003;15(2):84-92. 

  14. Song JY, Choi JS. The usability study for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as motor development prognosi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Kor Soc Phys Ther. 2008;20(1):49-56. 

  15. Arnaud C, White-Koning M, Michelsen SI et al. Parent-reporte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Europe. Pediatrics. 2008;121(1):54-64. 

  16. Shumway-Cook A, Hutchinson S, Kartin D et al.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recovery of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3;45(9):591-602. 

  17. Burtner PA, Qualls C, Woollacott MH. Muscle activation characteristics of stance balance control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Gait Posture. 1998;8(3):163-74. 

  18. Hadders-Algra M, Carlberg EB. Postural control: a key issue in developmental disorders. London, Mac Keith Press, 2008:74. 

  19. Laffel G, Blumenthal D. The case for using industrial quality management science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JAMA. 1989;262(20):2869-73. 

  20. Palisano RJ. Review of research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vement assessment of infants. Pediatr Phys Ther. 1989;1(4):157-220. 

  21. Kott KM, Held SL. Effects of orthoses on upright functional skill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Pediatr Phys Ther. 2002;14(4):199-207.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