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요양시설 노인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Loneliness in Elderly Living in Nursing Hom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3, 2010년, pp.391 - 399  

김인숙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미숙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강희영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loneliness in the elderly living in nursing homes. Metho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50 adults, age 60 or over who had lived for one year or longer in two nursing homes in Gwangju.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measuremen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및 외로움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시설노인의 외로움 정도를 파악하고,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외로움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 도시에 소재한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외로움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양시설 노인을 대상으로 개인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활동으로, 신체적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면서 동시에 시설 이용의 결정요인인(Kim, 1998) 일상생활활동과 지역사회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노인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요인으로 확인된(Kim & Baik, 2003) 사회적 지지를 친구지지, 가족지지, 중요한 타인 지지로 구분하여 요양시설 노인들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의 외로움을 감소시키는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로움이란? 외로움이란 개인이 갖는 사회적 관계의 지지망이 양적, 질적 면에서 기대보다 결핍되었을 때 발생하는 불유쾌한 경험으로(Russell, Peplau, & Cutrona, 1980), 노년기의 전반적인 안녕감과 삶의 질 저하 및 우울, 무력감, 절망감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야기하여 만성화될 경우, 자살 위험까지도 초래할 수 있어 노년기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Ekwall, Sivberg, & Hallberg, 2005).
2008년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비율은?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비율은 2008년에 9.9%를 차지하여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가 되었고 향후 2018년에는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Statistics Korea, 2009) 노인 인구의 건강에 초점을 둔 보건 의료 환경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고령사회라는 변화에 따라 정부는 2008년 7월부터 어떠한 법을 발효하여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요양시설이나 가정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나? 3%로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Statistics Korea, 2009) 노인 인구의 건강에 초점을 둔 보건 의료 환경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따라 정부에서는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발효하여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요양시설이나 가정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09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자는 517만 6,242명으로 노인인구의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mer, J. M. (1996). Elderly relocation to rural congregate setting: Personal meaning and perceptions related to decision to move and overall adjustment. Journal of Nursing Science, 1, 105-114. 

  2. Bae, J. H. (2009). The effect of ADL and IADL on the depression of the older-elderly.-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elder abus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353-368. 

  3. Bark, Y. J., Chung, H. K., Anh, O. H., & Shin, H. W. (2004). The relationship of loneliness, health behavior and self-esteem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6, 91-98. 

  4. Byeon, Y. S., & Lee, J. I. (2002).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lity satisfaction, depression and ADL in the elderly people residing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9, 45-55. 

  5. Chalise, H. N., Saito, T., Takahashi, M., & Kai, I. (2007). Relationship specialization amongst sources and receivers of social support and its correlations with loneli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 cross sectional study of Nepalese older adult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4, 299-314. 

  6. Cohen-Mansfield, J., & Parpura-Gill, A. (2007). Loneliness in older persons: A theoretical model and empirical finding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9, 279-294. 

  7. Dykstra, P. A., & De Jong Gierveld, J. (1999). Differential indicators of loneliness among elderly. The importance of type of partner relationship, partner history, health, socio-economic status and social relations. Tijdschrift voor Gerontologie en Geriatrie, 30, 212-225. 

  8. Ekwall, A. K., Sivberg, B., & Hallberg, I. R. (2005). Loneliness as a predictor of quality of life among older caregive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9, 23-32. 

  9. Eshbaugh, E. M. (2009). The role of friends in predicting loneliness among older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5, 13-16. 

  10. Fees, B. S., Martin, P., & Poon, L. W. (1999). A model of loneliness in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4, 231-239. 

  11. Goh, J. K., Hwang, I. O., & Oh, H. Y. (2009). The experiences of the newly admitted elderly residents in nursing hom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477-488. 

  12. Ha, K. Y., & Hong, D. A. G. (1999). The relations between friendship net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8, 75-90. 

  13. Hong, S. W., & Son, H. M. (2007). Family caregivers' experiences utilizing a nursing home for their elderly family memb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724-735. 

  14. Kang, H. (200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loneliness of the elderly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15. Kim, J. H. (2006).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oneliness and leisure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im, M. K. (1998). A study comparison on ADL execute ability of elderly by health care institution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Kim, O. S. (1997).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871-879. 

  18. Kim, O. S., & Baik, S. H. (2003). The relationships among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in elderly Kore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425-432. 

  19. Kwon, Y. E., Ha, Jin., & Ahn, S. Y. (2007).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for the elderly at hom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 335-343. 

  20. Lee, O. S. (2000). Relationship between the rehabilitation motiv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spinal cord inju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1. McAuley, W. J., Pecchioni, L., & Grant, J. A. (1999). Admission-related migration by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4, 125-135. 

  22. Perry, G. R. (1990). Loneliness and coping among tertiarylevel adult cancer patients in the home. Cancer Nursing, 13, 293-302. 

  23.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480. 

  24. Savikko, N., Routasalo, P., Tilvis, R. S., Strandberg T. E., & Pitkala, K. H. (2005). Predictors and subjective causes of loneliness in an aged populatio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1, 223-233. 

  25. Song, J. A., Jang, S. O., Lim, Y. J., Lee, S. J., Kim, S. Y., & Seol, G. H. (2007). Factors affecting loneliness in community dwelling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371-381. 

  26. Statistics Korea (2009). Population Projections in 2006. Retrieved February 28, 2010, from http://kosis.kr/nsportal/feature/feature_0103List.jsp?menuId08&modegetListhttp://www.kostat.go.kr/ 

  27. Theeke, L. A. (2009). Predictors of Loneliness in U.S. adults over age sixty-five. Archives of Psychiatrric Nursing, 23, 387-396. 

  28. Victor, C., Scambler, S., Bowling, A., & Bond, J. (2005).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loneliness in later life:A survey of older people in Great Britain. Ageing & Society, 25, 357-375. 

  29. Won, C. W., Rho, Y. G., Sunwoo D., & Lee, Y. S. (2002).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 273-280. 

  30.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