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Burnout in ICU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3, 2010년, pp.409 - 418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김경남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burnout in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 Data were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240 ICU nurses working in hospitals of 500 beds or more in two cities in South Korea. Data analysis was done with t-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한 업무 스트레스와 강인성, 사회적 지지 및 소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업무 수행 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와 소진 정도를 파악하여 강인성과 사회적 지지, 업무 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강인성은 스트레스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건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인성적 특성이다(Pollock, 1984). 본 연구에서는 Kobasa, Maddi와 Kahn (1982)에 의해 개발된 강인성 척도를 Lim과 Cho (2007)가 다시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 대인적인 접촉이 잦을 수밖에 없는 직무들에서 직무 담당자가 장시간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됨으로 인해 겪게 되는 부정적인 심리적 경험을 의미한다(Maslach & Schaufeli, 1993). 본 연구에서는 Pines, Aronson과 Kafry (1981)가 개발한 도구를 Hong (1984)이 번안하여 한국 실정에 맞도록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 정도를 낮추기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그리고 중환자실의 환자들은 다른 환자들에 비해 고도의 전문적이고 질적인 간호를 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소진으로 인해 환자의 낮은 만족도, 간호오류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 스트레스, 강인성, 사회적 지지가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아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간호 업무 수행의 질적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소진을 자주 경험하게 되는 이유는? 중환자실은 생명의 위기에 처해있는 환자를 위해 새로운 최첨단 장비와 복잡하고 다양한 의료기기를 사용하여 환자를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증상이 심하고 의식이 없으며 사망률이 높은 환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24시간 동안 환자 상태의 불안정성과 위기 상황에서 요구되는 의사결정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응급 간호 상황과 같은 업무적 스트레스, 계속되는 소음과 밝은 조명,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환경적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소진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Meltzer & Huckabay, 2004).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강인성, 소진 정도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강인성, 사회적 지지 및 소진 정도와의 관계와 소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로 본 연구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강인성, 소진 정도는 각각 중상 정도의 점수를 나타냈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간호 행위 및 업무 영역, 간호 환경 영역에서 업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그리고 강인성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소진 정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 만족도, 업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이었고 총 소진 변이의 44.7%를 설명하였다.
소진이란? 소진은 일에 대한 자기 자신, 일반사회 혹은 개인과 사회 양자로부터 기대 수준이 높은데 반해 이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심리적, 물리적 자원이 못 미치는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어 나타나는 부정적 경험으로 그 일의 수행에서 얻을 수 있는 지원과 보상을 압도할 때 일어난다(Kim,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k, K. (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b stress and their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 Bakker, A. B., Le Blanc, P. M., & Schaufeli, W. B. (2005). Burnout contagion among intensive car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 276-287. 

  3. Belicki, K., & Woolcott, R. (1996). Employee and patient designed study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a chronic care hospital. Employee Assistance Quarterly, 12, 37-45. 

  4. Cho, Y. A., Kim, G. S., Kim, E. S., Park, H. M., Yoo, M., Lim, E. O., et al. (2009). A correlational study on ICU Nurses' Job Stress, the Way of Cop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129-141. 

  5. Choi, K. J. (2007). The factors that affect burnout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ies. 

  7. Ganellen, R. J., & Blandey, P. H. (1984). Hardiness and social support as moderators of the effects of life 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1), 153-163. 

  8. Ham, M. Y., Ryu, E. J., & Choi, K. S. (1997). A study on relationship of work stress, hardiness, and burnout among nurses.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1(2), 55-71. 

  9. Hong, K. P. (1984). An analytic study on burnout in relation with personal and job related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Jenkins, R., & Elliott, P. (2004). Stressors, burnout and social support: nurses in acute mental health setting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 622-631. 

  11. Karasek, R. A., & Theorell, T. (1990).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New York: Basic Books. 

  12. Kim, M. J., & Gu, M. O.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2), 28-37. 

  13. Kim, M. Y.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ain and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eongju. 

  14. Kim, S. J. (2002). A study on the degrees of work stress and burnout experienced by the nurses in medical insur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man National University, Gwanju.. 

  15. Kim, S. J. (2002). A study on the degrees of work stress and burnout experienced by the nurses in medical insur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man National University, Gwanju.. 

  16. Kim, Y. O. (2002). A study of factors predicting burnout in hospital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 591-601. 

  17. Kobasa, S. C. (1979). Stressful life events, personality, and health: An inquiry into hard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1), 1-11. 

  18. Kobasa, S. C., Maddi, S. R., & Kahn, S. (1982). Hardiness and health: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1), 168-177. 

  19. Kwon, E. K. (2004). The effects of counseling completion experience,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on a play therapist's psychological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 Lim, D. S. & Cho, B. H. (2007). The study on stress, hardiness, and professional burnout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1), 120-127. 

  21. Maslach, C., & Schaufeli, W. (1993). Historical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burnout(pp. 309-330). Washington, D. C.: Taylor & Frances. 

  22. Meltzer, L. S., & Huckabay, L. M. (2004).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futile care and its effect on burnou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3, 202-208. 

  23. Oh, K. O., Kim, T. S., & You, C. Z. (1992).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stress and burnout level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Chungnam Medical Journal, 19, 523-544. 

  24. Palfi, I., Nemeth, K., Kerekes, Z., Kallai, J., & Betlehem, J. (2008). The role of burnout among Hungarian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4, 19-25. 

  25. Park, J. W. (2002). A stud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6. Peeter, M. C. W., Buunk, B. P., & Schaufeli, W. B. (1995). Social interactions, stressful events and negative affect at work: A micro-analytic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5, 391-401. 

  27. Pines, A. M., Aronson, E., & Kafry, D. (1981).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Free Press. 

  28. Pollock, S. E. (1984). The stress response. Critical Care Quarterly, 6(4), 1-11. 

  29. Pollock, S. E., & Duffy, M. E. (1990). The health-related hardiness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analysis. Nursing Research, 39, 218-222. 

  30. Wilson, B., & Laschinger, H. K. (1994). Staff nurse perception of the job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test of Kanter's theory of structural power in organization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4(4), 39-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