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Emergency Room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3 no.1, 2014년, pp.1 - 10  

정희영 (조선대학교병원) ,  김선옥 (조선대학교 대학원) ,  김인숙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spose: The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violence experience and violence response on burnout of emergency room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5 nurses who worked in emergency rooms of 3 university and 15 general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과 폭력반응 및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반응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가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 폭력에 대한 반응 및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지난 1개월 동안 경험한 폭력과 폭력에 대한 반응 및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로서,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폭력경험, 폭력반응,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폭력경험과 반응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의 폭력 발생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질적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 응급 환자 수와 중증 환자 증가, 응급 환자의 종합병원 선호경향, 입원실 부족 등으로 복잡하고 과중한 업무환경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는 환자, 보호자 및 의료진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긴장에 따른 폭력상황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Kim, 2011; Yang & Jung, 2009) 의료기관 내에서도 응급실의 폭력 발생은 다른 부서보다 월등히 높다(Choi, Cho, Cho, & Kim, 2005). 특히 응급실에서의 응급상황은 판단력이 저하되고 긴장감이 증가되어 진료가 지연되거나 적절하게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또한 약물이나 알코올 중독, 의료진의 설명부족 등으로 인해 환자와 보호자는 공격적인 심리상태를 나타낼 수 있어 폭력상황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Cho, Lee, Kim, & Kim, 2011; Kim, Eom, Oh, & Ahn, 2007).
폭력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ARQ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폭력에 대한 반응은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어떤 현상이 일어나거나 유기체가 하는 행동으로(YBMSisa, 2006), 본 연구에서는 Lanza (1988)가 개발하고 Jang (2004)이 번역한 Assault Response Questionnaire (ARQ)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이 도구는 정서적 반응 19문항, 신체적 반응 15문항, 사회적 반응 10문항 총 4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 폭력에 대한 반응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Jang (2004)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
응급상황에서 폭력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특히 응급실에서의 응급상황은 판단력이 저하되고 긴장감이 증가되어 진료가 지연되거나 적절하게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또한 약물이나 알코올 중독, 의료진의 설명부족 등으로 인해 환자와 보호자는 공격적인 심리상태를 나타낼 수 있어 폭력상황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Cho, Lee, Kim, & Kim, 2011; Kim, Eom, Oh, & Ahn, 2007). 이러한 폭력은 고의적이고 개인적으로 가해지는 물리적인 공격으로(Fottrell, 1980),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과 폭력으로 구분되는데, 언어적 폭력에는 위협이나 협박 등이 포함되고, 신체적 위협에는 주먹 휘두르기, 발로 차거나 물려고 시도하는 행위가 포함되며, 신체적 폭력에는 실제로 물건을 던지거나, 발로 차거나 넘어뜨리는 행위가 포함된다(Yu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tawneh, F. A., Zahid, M. A., Al-Shalawi, K. S., Shahid, A. A., & Al-Farrah, M. H. (2003). Violence against nurses in hospitals: prevalence and effects. British Journal of Nursing, 12(2), 102-107. 

  2. Celik, S. S., Celik, Y., Agirbas, I., & Ugurluoglu, O. (2007). Verval and physical abuse against nurses in Turkey.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4 (4), 359-366.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7.00548.x 

  3. Cho, J. Y., Lee, Y. W., Kim, H. S., & Kim, S. H. (2011). Relationships among response for violence experience, hard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 (5), 494-502. 

  4. Choi, W. J., Cho, S. H., Cho, N. S., & Kim, G. S. (2005).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Emergency Medicine, 16 (2), 221-228. 

  5. Crilly, J., Chaboyer, W., & Creedy, D. (2004). Violence towards emergency department nurses by patients.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12 (2), 67-73. 

  6. Fottrell, E. (1980). Astudy of violent behavior among patients in psychiatric hospital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6, 216-221. 

  7. Hong, M. J. (2009). A study on nurses experience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8. Jang, E. S. (1995). A study on the psychiatric social workers' burnout and their work environment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9. Jang, S. J. (2004).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patients' violent behaviors and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Jeung, E. H. (2011). Psychosocial stress and burnout related to violence in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1. June, K. J., & Byun, S. W. (2009).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3), 305-313. 

  12. Jung, H. Y. (2008).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violence experience, coping and burnout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13. Kim, H. J.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on emergenc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4. Kim, H. K., Ji, H. S., Ryu, E. K., Lee, H. J., Yun, S. E., Jeon, M. K., et al. (2005).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of the nurses in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0 (2), 7-18. 

  15. Kim, J. C., Seol, Y. M., & Song, H. S. (2003). Survey of emergency department violence.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4 (3), 309-313. 

  16. Kim, J. H., Ahn, H. Y., Eom, M. R., & Lee, M. Y. (2010), A study of emergency room nurses' burn-out, nursing performance, and professio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 (1), 50-59. 

  17. Kim, S. Y., Eom, M. R., Oh, H. Y., & Ahn, H. Y. (2007). Violence episodes and respons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of Nursing, 14 (4), 446-456. 

  18. Kim, Y. O. (2002). A study of factors predicting burnout in hospital staff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4 (4), 591-601. 

  19. Ko, C. M. (2012).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experience and the burnout among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 (2), 87-97.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2.87 

  20. Lanza, M. L. (1988). Assault response questionnaire.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9 (1), 17-29. 

  21. Lee, N. H.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of psychiatric nurses, job stress and burnout. Nursing Science, 23 (2), 47-59. 

  22. Maslach, C., Jackson, S. E., & Leiter, M. P. (199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3r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3. Michael, R., Donna, L., Christine, D., & Christine, C. P. (2009). Violence toward nurses, the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 (1), 13-22.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9.01321.x 

  24. Park, E. Y., Seo, J. M., Ju, H. O., & Lee, E. N. (2007). The reac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o viol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7 (5), 762-771. 

  25. Sohn, M. (1997).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E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6. Sung, M. H. (2008). Relationship of the experience of violences o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 (2), 83-92. 

  27. Sung, M. H., Yoon, H. O., & Lee, H. J. (2007).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6 (2), 147-157. 

  28. Unal, A. (2005). Violence toward health care workers in emergency departments in west Turkey.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8 (3), 361-365. 

  29. Wright, T. A., & Bonett, D. G. (1997). The contribution of burnourt to work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8, 491-499. 

  30. Yang, J. H., & Jung, H. Y. (2009).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coping, and burnout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6 (1), 103-111. 

  31. YBMSisa. (2006). Elite Korea Dictionary. Seoul: YBMSisa. 

  32. Yun, J. S. (2004).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violence experience by E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