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층화된 3차원 피부색 모델을 이용한 피부색 분할
Skin Color Region Segmentation using classified 3D skin 원문보기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14 no.8, 2010년, pp.1809 - 1818  

박경미 (부경대학교 정보공학과) ,  윤가림 (부경대학교 정보공학과) ,  김영봉 (부경대학교 IT융합응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부색 영역의 검출을 위한 기존 연구들은 영상의 각 픽셀을 피부에 속하는 픽셀(피부픽셀)과 속하지 않는 픽셀(비피부픽셀)로 나누게 된다. 이때 정확한 피부색 영역을 검출하는 작업은 영상의 조명효과 및 화장에 의한 피부색 변형 등으로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 영역 검출을 어렵게 하는 여러 가지 요인을 포함한 영상들로부터 효율적으로 피부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계층화된 피부 모델과 컨텍스트 정보를 통합하여 피부 영역 검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획득된 영상들로부터 뽑아낸 피부색 색깔 값들의 확률분포를 YCbCr칼라 공간에 만들고, 그 확률 값에 따라 피부(Skin), 피부후보(Skinness), 비피부(Non-skin)의 3계층으로 분류한 3차원 피부색 모델을 만든다. 계층화된 피부색 모델을 이용하여 각 픽셀의 피부색 여부를 결정하고, 피부후보(Skinness)색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웃 화소의 정보를 고려하여 피부색 또는 비 피부색으로 정하게 된다. 제안 방법의 사용으로 피부색이 왜곡 되었거나 피부색과 유사한 객체가 포함된 다양한 영상들에서도 효율적으로 피부 영역을 분할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tect the skin color area from input images, many prior researches have divided an image into the pixels having a skin color and the other pixels. In a still image or videos, it is very difficult to exactly extract the skin pixels because lighting condition and makeup generate a vario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들은 조명효과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피부색 범위를 검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조명과 같은 주변 환경의 변화를 함께 고려한 피부색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부색 범위를 정하기 위해 조명조건이 포함된 해당 피부색에 대해 확률분포 값을 활용하여 칼라 공간을 피부색과 비피부색으로 분류하는 3D 피부색 모델을 제시한다.
  • 본 논문에서 다양한 조명 조건의 변화와 피부색과 유사한 배경이 포함된 영상에서 3차원 피부색 모델 모델과 컨텍스 정보 활용한 정확한 피부색 화소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YCbCr 칼라 공간을 사용한 3차원 피부색 모델을 생성하여 조명의 효과를 많이 제거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피부 영역 분할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인 피부 영역 분할 방법으로는 칼라 영상에서 각각의 단일 화소의 색상정보를 조사하여 피부색화소 와 비피부색화소로 분류하는 저수준 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사람의 피부색은 다른 물체와 구분이 되는 일정 범위 내의 칼라로 구성된다는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 영역 검출을 어렵게 하는 여러 가지 요인을 포함한 영상들로부터 효율적으로 피부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계층화된 피부 모델과 컨텍스트 정보를 통합하여 피부 영역 검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어떻게 진행되는 방법인가? 본 논문에서는 피부 영역 검출을 어렵게 하는 여러 가지 요인을 포함한 영상들로부터 효율적으로 피부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계층화된 피부 모델과 컨텍스트 정보를 통합하여 피부 영역 검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획득된 영상들로부터 뽑아낸 피부색 색깔 값들의 확률분포를 YCbCr칼라 공간에 만들고, 그 확률 값에 따라 피부(Skin), 피부후보(Skinness), 비피부(Non-skin)의 3계층으로 분류한 3차원 피부색 모델을 만든다. 계층화된 피부색 모델을 이용하여 각 픽셀의 피부색 여부를 결정하고, 피부후보(Skinness)색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웃 화소의 정보를 고려하여 피부색 또는 비 피부색으로 정하게 된다. 제안 방법의 사용으로 피부색이 왜곡 되었거나 피부색과 유사한 객체가 포함된 다양한 영상들에서도 효율적으로 피부 영역을 분할할 수 있었다.
피부색 영역의 검출을 위한 기존 연구들은 무엇과 무엇으로 나뉘는가? 피부색 영역의 검출을 위한 기존 연구들은 영상의 각 픽셀을 피부에 속하는 픽셀(피부픽셀)과 속하지 않는 픽셀(비피부픽셀)로 나누게 된다. 이때 정확한 피부색 영역을 검출하는 작업은 영상의 조명효과 및 화장에 의한 피부색 변형 등으로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 Sobottka and I. Pitas, "A Novel Method for Automatic Face Segmentation, Facial Feature Extraction and Tracking," Signal Processing:ImageComm., vol. 12, no.3, pp.263-281, 1998. 

  2. D. Chai and A. Bouzerdoum, "A Bayesian approach to skin color classification in YCbCr color space," IEEE TENCON00, vol. 2, pp.421-424, 2000. 

  3. M.C. Shin, K.I. Chang, and L.V. Tsap, "Does Colorspace Transformation Make Any Difference on Skin Detection?," Proc. IEEE Workshop Applications of Computer Vision, pp. 275-279, 2002. 

  4. H. Wang and S. F. Chang, "A Highly Efficient System for Automatic Face Detection in Mpeg Video," IEEE Trans.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Technology, vol. 7, no.4, pp.615-628, 1997. 

  5. M.J. Jones and J.M. Rehg, "Statistical Color Models with Application to Skin Detection," Int'l J. Computer Vision, vol. 46, no.1, pp.81-96, Jan. 2002. 

  6. J.-C. Terrillon, M.N. Shirazi, H. Fukamachi and S. Akamatsu, "Comparative Performance of Different Skin Chrominance Models and Chrominance Spaces for the Automatic Detection of Human Faces in Color Images," Proc. IEEE Int'l Conf. Automatic Face and Gesture Recognition, pp.54-61, Mar. 2000. 

  7. J. Yang and A. Waibel, "A Real-Time Face Tracker," Proc. IEEE Workshop Applications of Computer Vision, pp.142-147, Dec. 1996. 

  8. B. Menser and M. Wien, "Segmentation and Tracking of Facial Regions in Color Image Sequences," SPIE Visual Comm. and Image Processing 2000, Vol.4067, pp.731-740, 2000(6). 

  9. H. Greenspan, J. Goldberger, and I. Eshet, "Mixture Model for Face Color Modeling and Segmentation," Pattern Recognition Letters, Vol.22, pp.1525-1536, 2001(9). 

  10. M.-H. Yang and N. Ahuja, "Gaussian Mixture Model for Human Skin Color and Its Applications in Image and Video Databases," SPIE Storage and Retrieval for Image and Video Databases, Vol.3656, pp.45-466, 1999(1). 

  11. G. M. Park and Y. B. Kim, "3D Skin Color Model for Asian Skin Color Segmentation," MITA 2008, Track 4A-04, 2007. 

  12. GyeongMi Park, Youngbong Kim, "강건한 다인종 얼굴 검출을 위한 통합 3D 피부색 모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1-1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