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치매노인 가족수발자의 휴식에 대한 의미분석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Respite for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4, 2010년, pp.482 - 492  

송미령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이용미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천숙희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in whic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on the meaning of respite for family caregivers who are taking care of elders with dementia. Methods: The focu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s consisted of 2 family caregiver groups, fo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한 초고령사회 진입을 통해 추론 할 수 있는 내용은? 3%로 우리나라 인구 중 10명당 1명이 65세 이상의 노인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8년에는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실정이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이는 의학의 발전으로 건강이 증진되었다는 측면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예전에 비해 만성질환에 노출될 기회가 많은 노인들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노인 의료비도 계속 증가할 것임을 시사한다.
휴식서비스란 무엇인가? 이러한 가족수발자들의 어려움을 경감시키기 위한 서비스의 일종으로 선진외국에서는 1970년대 초부터 휴식서비스(respite care)가 제공되었으며(Reinhard, Bemis, & Huhtala, 2005), 우리나라에서도 휴식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휴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들이 진행 중에 있다. 휴식서비스는 휴식(reprieve)이나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주수발자가 아닌 누군가가 수발을 받는 사람에게 신체적, 정서적 또는 사회적 보호를 제공하는 것으로(Weber & Schneider, 1993), 장소, 기관 자원 및 가족욕구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휴식(respite) 또는 위안(relief)을 위한 서비스 시간은 한 번에 한 시간, 여러 시간, 하루, 몇 일, 주말, 또는 여러 주 등 단기간 제공될 수 있다(Park, 2006).
치매노인의 수발이 비치매노인 수발자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 치매노인의 수발은 노동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이라는 특성 때문에 비치매노인 수발자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노인 요양시설의 부족과 사회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수발의 책임이 전적으로 가족에게 주어지고 있다(Song & Choi, 2007). 또한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은 신체적 건강뿐 아니라 정신적 건강상태도 나쁘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Kim, Kim, & Im, 2006; Oh, 2008), 다른 질환을 가진 노인의 주수발자보다 수발 이후 관절 및 신경통, 스트레스, 우울, 불면증, 사고의 혼란, 만성 피로, 근육통 및 식욕부진과 같은 문제들을 더욱 많이 호소하였다(Lee & Park, 2008; Pinquart & Sorensen,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ek, K. S., & Kwon, Y. S.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caregiving burden of the major caregivers of demented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9, 33-52. 

  2. Brody, E. M., Saperstein, A. R., & Lawton, M. P. (1989). A multiservice respite program for caregivers of Alzheimer's patient.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14, 41-74. 

  3. Chappell, N. L., Reid, R. C., & Dow, E. (2001). Respite reconsidered a typology of meanings based on the caregiver's point of view. Journal of Aging Studies, 15, 201-216. 

  4. Exel, J., Graaf, G., & Brouwer, W. (2007). Care for a break? An investigation of informal caregivers' attitudes toward respite care using Q-methodology. Health Policy, 83, 332-342. 

  5. Hiesh, H. F.,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 1277- 1288. 

  6. Kim, J. H., Kim, N. C., & Im, Y. M. (2006). Effects of short-term home visiting program on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7, 79-87. 

  7. Kim, J. S., & Lee, E. H. (2001). A review of the effects of respite care for patients with dementia and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1077-1087. 

  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Statistical report of the elderly people. Retrieved October 2, 2008, from http://www.nso.go.kr 

  9. Lee, J. S., & Park, A. S. (2008).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focused on the day care center and nursing home user's fami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0, 225-248. 

  10. Lee, O. H. (2006). The needs and the service-preference of the elderly and his family in using community care services. The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16(2), 47-70. 

  11. Lund, D. A., Utz, R., Caserta, M. S., & Wright, S. D. (2009). Examining what caregivers do during respite time to make respite more effectiv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8, 109-131.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Nationwide study on th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Retrieved April 16, 2009, from http://www.mohw.go.kr 

  13. Morse, J. M., & Field, P. A. (1995).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health professionals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14. Nicoll, M., Ashworth, M., McNally, L., & Newman, S. (2002). Satisfaction with respite care: A pilot study.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0, 479-484. 

  15. Oh, J. J.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intervention program and a group intervention program on the demented elderly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205-215. 

  16. Park, C. J. (2006). A study on respite care service model for family caregivers with the demented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2, 295-326. 

  17. Phinney, A. (2006). Family strategies for supporting involvement in meaningful activity by person with dementia. Journal of Family Nursing, 12, 80-101. 

  18. Pinquart, M., & Sorensen, S. (2003). Differences between caregivers and noncaregivers in psychologic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A meta-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18, 250-267. 

  19. Reinhard, S. C., Bemis, A., & Huhtala, N. (2005, January). Discussion Paper: Defining respite care. New Jersey: Rutgers Center for State Health Policy. 

  20. Song, M. Y., & Choi, G. G. (2007). The decision factor on primary care-giver's burden for senile dementia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7, 131-160 

  21. Strang, V. R., (2001). Family caregiver respite and leisure: A feminist perspective.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15, 74-81. 

  22. Strang, V. R., & Haughey, M. (1999). Respite-a coping strategy for family caregiver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1, 450- 471. 

  23. Thompson, C. A., Spilsbury, K., Hall, J., Birks, Y., Barnes, C., & Adamson, J. (2007). Systematic review of information and support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BMC Geriatrics, 7(18), 1-12. 

  24. Waite, A., Bebbington, B., Skelton-Robinson, M., & Orrell, M. (2004). Social Factors and depression in carers of people with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9, 582-587. 

  25. Weber, N. D., & Schneider, P. (1993). Respite car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ir families. In L. M. Tepper & J. A. Toner (Eds.), Respite care. Philadelphia, PA: The Charles Press. 

  26. Yih, B. S., Kim, C. M., & Yi, M. (2004). Women caregivers' experiences in caring at home for a family member with dementia: A feminist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881-8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