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 개념명료화
Respite Care for Family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 Concept Clarificatio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9 no.1, 2012년, pp.23 - 34  

장성옥 (고려대학교 간호학과) ,  송미령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공계순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천숙희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spite care is not a discrete intervention, but encompasses a range of servic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phenomenon of respite care for family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from a nursing perspective. Method: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was applied to 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과정에서 개념은 간호의 관점을 가지고 설명을 하기에 적합한 주제 요소로 선정하게 되고, 질문은 정의적 의미로 구성되며 정의적 용어는 재확인되고, 정제되며, 개정된다(Kim, 2010). 본 논의에서는 이론적 단계 및 현장작업 단계를 통한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의 개념을 간호학적 관점에서 문헌 및 현장 자료의 특징을 종합하여 명료화함으로써, 급속히 노령화되는 한국사회에서 추후 점차 확산되고 정책화될 재가 치매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휴식 돌봄의 중재의 초점과 구성의 방안에서의 간호학적 실무의 주도적 적용에 대한 기여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혼종모형을 이용한 개념분석 방법을 통해 급증하는 한국의 노령화 상황에서 빠른 시일 내에 정착화 될 것으로 예측되는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 현상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통해 개념의 명료화를 시도한 연구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은 다 학제적 접근으로 수행되는 사회적 서비스이지만 간호사가 주요 전문직 종사자로 시행될 수 있는 간호학적 실무의 한 형태로 정착될 수 있는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간호사주도의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을 위해서 간호사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질 것을 제언한다.
  • 사실상 문헌에서는 이러한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을 간호사가 수행할 수 있으나 간호사만이 하는 서비스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접근을 통해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의 속성을 탐구하고, 재가 치매가족을 돌보는 역할을 수행하는 치매 센터를 현장으로 하여, 이론적 단계에서 확인된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 속성별로 현재 한국의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의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수행될 재가 치매가족의 휴식 돌봄 개념을 간호학적 관점에서 명료히 할 수 있었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가족의 휴식 돌봄’의 개념적 특성을 확인하고 개념적 구조를 확인함으로써 ‘치매 가족의 휴식 돌봄’에 대한 실무 및 연구 기반을 형성하기 위한 일차적인 접근으로 ‘재가 치매 가족의 휴식 돌봄’의 개념을 명료화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는 무엇으로 인해 인구고령화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가? 우리나라는 의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구고령화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지역사회의 부담은 증가되고 있으며, 그중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치매이다.
노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중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의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구고령화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만성질환으로 인한 지역사회의 부담은 증가되고 있으며, 그중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치매이다. 치매는 후천적으로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증후군이며, 만성적이고 진행성으로 나타나는 기억, 사고, 지남력, 이해력,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 및 판단 능력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고위 대뇌피질 기능의 장애가 있는 증후군(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이다.
치매노인 부양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특히 치매노인의 주 부양가족은 피로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수면시간, 치매노인에 대한 짜증, 수발에서 벗어나고 싶은 충동 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치매노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에서 보고되고 있듯이 가족들은 피로, 우울(Lee & Park, 2007), 부양 부담감(Kong, Cho, & Song, 2009) 등 치매노인 부양과 관련된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08년 7월부터 장기요양보험 제도를 통해 노화관련 질환으로 시설뿐만 아니라 재가에서 노인성질환으로 고통 받는 노인 및 가족들에게 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고 이러한 정책은 고령화가 가속 되는 만큼 추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지고 관련 서비스들이 개발되어 수행될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cton, G. J., & Kang, J. (2001). Interventions to reduce the burden of caregiving for an adult with dementia: A meta-analysi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4, 349-360. 

  2. Chang, S. O., & Lee, S. J. (1996). Concep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comfort-application of the hybrid model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5(2), 108-120. 

  3. Drentea, P., Clay, O. J., Roth, D. L., & Mittelman, M. S. (2006). Predictors of improvement in social support: five-year effects of a structured intervention for caregivers of spouses with Alzheimer's diseas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3, 957-967. 

  4. Droes, R. M., Breebaart, E., Meiland, F. J., Van Tilburg, W., & Mellenbergh, G. J. (2004). Effect of meeting centres support program on feelings of competence of family carers and delay of institutionalization of people with dementia. Aging and Mental Health, 8, 201-211. 

  5. Fauth, E. B., Zarit, S. H., Femia, E. E., Hofer, S. M., & Stephens, M. A. (2006).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caregivers' stress appraisals: Intra-individual stability and change over short-term observations. Aging and Mental Health, 10, 563-573. 

  6. Gottlieb, B. H., & Johnson, J. (2000). Respite programs for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A review with practice implications. Aging and Mental Health, 4, 119-129. 

  7. Jeon, Y. H., Brodaty, H., & Chesterson, J. (2005). Respite care for caregivers and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9, 297-306. 

  8. Jeon, Y. H., Brodaty, H., O'Neill, C., & Chesterson, J. (2006). 'Give me a break'-respite care for older carers of mentally ill person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 417-426. 

  9. Kim, H. S. (2010). The nature of theoretical thinking in nursing (3r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0. Kong, E. H., Cho, E. H., & Song, M. S. (2009). The burd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cultural and non-cultural predictor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9, 701-716. 

  11. Kosloski, K., Schaefer, J. P., Allwardt, D., Montgomery, R. J., & Karner, T. X. (2002). The role of cultural factors on clients' attitudes toward caregiving, perceptions of service delivery, and service utilization. Home Health Care Services Quarterly. 21(3-4), 65-88. 

  12. Lee, H. H.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demented seniles in day care center and demented senile-inpatients in nursing farcility by analysing several indexes such as the performance status of daily activities,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Lee, J. M. (2001). A study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t the medical welfare facility use of family supporter for the old with dementi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3, 145-172. 

  14. Lee, Y. W., & Park, K. H. (2007).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Dementia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nursing query, 16(2), 135-156. 

  15. Mason, A., Weatherly, H., Spilsbury, K., Arksey, H., Golder, S., Adamson, J., et al. (2007).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different models of community-based respite care for frail older people and their carer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11(15), 1-157. 

  16. Montgomery, R. J., Marquis, J., Schaefer, J. P., & Kosloski, K. (2002). Profiles of respite use. Home Health Care Services Quarterly. 21(3-4), 33-63. 

  17. Neri, M., Bonati, P. A., Pinelli, M., Borella, P., Tolve, I., & Nigro, N. (2007).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clinical markers of caregiver's stress in impaired elderly with dementia and age-related diseas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4(suppl 1), 289-294. 

  18. Neville, C. C., & Byrne, G. J. (2006). The impact of residential respite care on the behavior of older peopl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8, 163-170. 

  19. Park, C. J. (2006). A study on respite care model for family caregivers with the demented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2, 295-326. 

  20. Phinney, A. (2006). Family strategies for supporting involvement in meaningful activity by persons with dementia. Journal of Family Nursing, 12, 80-101. 

  21. Raivio, M., Eloniemi-Sulkava, U., Laakkonen, M. L., Saarenheimo, M., Pietila, M., Tilvis, R., et al. (2007). How do officially organized services meet the needs of elderly caregivers and their spouses with Alzheimer'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22, 360-368. 

  22. Reinhard, S. C., Bemis, A., & Huhtala, N. (2005). Defining respite care. New Jersey: Rutgers Center for State Health Policy. 

  23. Rodgers, B. L., & Knafl, K. A. (2000).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2nd ed.). Philadelphia, PA: W.B. Saunders. 

  24. Schwartz-Barcotte, D., & Kim, H. S. (Eds.). (1993).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B. L., Rodgers & K. A. Knafl ,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pp. 107-133). Philadelphia, PA: W.B. Saunders. 

  25. Searson, R., Hendry, A. M., Ramachandran, R., Burns, A., & Purandare, N. (2008). Activities enjoyed by patients with dementia together with their spouses and psychological morbidity in carers. Aging and Mental Health, 12, 276-282. 

  26. Shanley, C. (2006). Developing more flexible approaches to respite for people living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21, 234-241. 

  27. Song, M. R., Lee, Y. M., & Cheon, S. H. (2010). An analysis of meaning of respite for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482-492. 

  28. Strauss, A. I.,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9. Thompson, C. A., Spilsbury, K., Hall, J., Birks, Y., Barnes, C., & Adamson, J. (2007). Systematic review of information and support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BMC Geriatrics, 7, 18-29.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 Mental Health: Dementia. Retrieved November 19, 2010, from http://www.who.int/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