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교 프로그램이 초임 부부의 부모-태아 애착과 부모의 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Taegyo Program on Parent-Fetal Attachment and Parenthood in First Pregnancy Coupl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4, 2010년, pp.571 - 579  

양경미 (전남과학대학 간호과) ,  김순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taegyo program on parents-fetal attachment and parenthood in first pregnancy couples (mothers and spous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Study participants were 52 fir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신 8주부터 20주 이내의 초임 부부를 위한 태교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태교 프로그램이 초임 부부의 부모-태아 애착과 부모의 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8주부터 20주 이내에 있는 초임부부에게 성품태교, 음악태교, 태담태교, 체조태교로 구성된 태교프로그램(Taegyo program)을 교육과 시범훈련, 전화상담과 전자메일(e-mail) 보내기를 제공하고, 부모-태아 애착과 부모의 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 그동안 태교는 서양의학에 밀려 의료인들에게 주목받지 못했으나, 최근에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아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애착을 증진시키고, 부부가 부모로서 맡게 될 새로운 역할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임신 초기부터 부부를 위한 태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태교프로그램 중재기간은 전인 태교전문가 과정과 선행연구들(Kim, 1992; Kim, 2006; Kim & Cho, 2004; Kim, S.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태아 양방향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로가 되며 태아의 의사표현인 태동이 시작되는 8주부터 20주 이내에 있는 초임부부에게 태교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부모로서의 정체성을 인지하고, 아기와 깊은 유대를 형성함으로써 건강한 태아 발달을 유도하며 부모가 되는 전환과정을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태교는 언제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까? 임신초기가 태아의 각 신체기관이 형성되는 시기이고 중기는 기관의 발육이 왕성해지며, 말기는 성장이 완결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신초기, 중기, 말기가 모두 중요한 시기임으로 시기를 나누어 태교의 적절성을 언급할 수는 없다(Park, 2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태교에서는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가? 태교는 동양에서 먼저 시작하였으며, 임신 중에 태아에게 좋은 감화를 주기 위하여 임부가 마음을 바르게 하고 언행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가르침을 뜻한다. 전통태교에서는 모성의 마음가짐과 언행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태교가 다른 나라의 태교와 다른 점은‘임신 전 태교’와‘부성태교’를 강조한 것이다(Choi, 2002).
태교신기에서는 무엇을 특히 강조하는가? 또한 태교는 태아의 건강, 바른 심성과 지능 및 재능의 개발, 기형의 예방은 물론 태아와 의도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랑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 실천되어 왔다(Choi & Kim, 1995). 태교신기에서는“아비가 낳는 것과 아내가 기른 것과 스승이 가르치는 것, 이 세 가지가 합하여야 완전한 일개 인격자를 만들 수 있는데 세 사람이 다같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하여 모성태교 못지 않게 부성태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Choi, 2002).
태교 프로그램 실시 후 아버지 정체성이 별다른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본 연구에서 태교 프로그램 실시 후 아버지 정체성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정체성은 서서히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적용한 4주간의 중재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이었다고 생각되며, 아버지 정체성을 증진시키기에 아버지는 임부와는 달리 태아와 신체적인 연결이 없기 때문에 아버지로서의 정체성 형성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추정된다. 앞으로 태교 프로그램을 4주 이상 시행하여 임신한 부부가 부모의 정체성을 더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돕고, 부모-태아 애착 및 상호작용을 강화시켜 향후에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uki's donghwanara. (2010). Donghwanara. Retrieved August 10, 2010, from http://www.buki.co.kr/main.php 

  2. Cha., E. J. (1985). A study on the effects of presence at delivery on the paternal attachment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Choi, S. S. (2002). Taegyosingi. Seoul: Seongbosa. 

  4. Choi, Y. S., & Kim, H. O. (1995). A survey on the practice of taekyo among childbearing coupl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 153-173. 

  5. Cranley, M. S. (1981).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0, 281-284. 

  6. Donovan, J. (1995). The process of analysis during a grounded theory study of men during their partners' pregnanc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1, 708-715. 

  7. Hong, E. J., & Lee, J. Y. (2006). The effects of the 'taegyo' program using art therapy techniques on the anxiety,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identity of pregnant women.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3, 97-115. 

  8. Jessop, L. C. (1981). Promoting maternal attachment through prenatal intervention. Maternal-Child Nursing Journal, 6, 107-112. 

  9. Kim, H. O. (1997). An ethnographic study about taegyo practice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0. Kim, H. S. (1992). Patterning of parent-fetal attachment during the experience of guided imagery.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1, 118-144. 

  11. Kim, J. S., & Cho, K. J. (2004). The effect of mother-fetus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of talking and tactile stimulation on maternal-fetal attach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0, 153-164. 

  12. Kim, S. Y. (2005). The secret life of the unborn child (Thomas, Verny). Seoul: Samtoh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81). 

  13. Kim, Y. J. (2005). The effect of a maternal fe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on mother's fetal attac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Kim, Y. K. (2006). Fetus is genius. (Gisco Ssedik). Seoul: Samtoh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86). 

  15. Koh, H. J.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ain and identity in first-time mothers with regard to employment sta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oniak-Griffin, D., & Verzemnieks, I. (1991).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on adolescents' maternal role attainment.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14, 121-138. 

  17. Mun, H. S., & Choi, E. S. (2002).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delivered woman and her husband for the fet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 583-594. 

  18. Park, J. H. (2001). The effect of visual and verbal information by antenatal ultrasound on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elf-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Park, M. I. (2001). Taegyo is science. Seoul: Hanyang University Publishing. Shin, M. H. (2003). Lovevoice taegyolyagi. Seoul: Hanyang University Publishing. 

  20. Shinmaehee's beautiful seongpoomtaekyo. (2010). Seongpoomtaekyo. Retrieved August 10, 2010, from http://www.lovevoice.org/sub_01/01_04.html 

  21. Weaver, R. H., & Cranley, M. S. (1983). An exploration of p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 Nursing Research, 32, 68-72. 

  22. Yoo, H. J., & Kim, S. H. (2008). The effects of the prenatal program using meditation and art activities on the emotional rest of pregnant women. The Korean Journal of Meditationtherapy, 2, 249-2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