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교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까?
Is It Possible to Prove the Effect of Prenatal Education, 'Taegyo'?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4 no.4, 2013년, pp.183 - 190  

김선주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연정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홍민하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문덕수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반건호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aegyo,' prenatal education, is steeped into Korean culture. Although there has been a traditional focus on providing education and care for the fetus in Korea, there is a lack of medical evidence for its effectiveness. Methods : The authors assessed the scientific basis for 'Taegyo'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에 따른 의학적 근거나 대규모 역학 및 실태조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통 태교의 문헌적 고찰과 태교에 대한 증거 중심적 접근자료를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전통 태교가 의학적인 산전관리에 부합되는 과학적 개념인지 확인하고자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조상의 지혜와 경험을 바탕으로 민간에서 전해져 온 태교가 어느 정도나 이론 및 학문적 근거를 갖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적과 구전을 통해 전해진 전통태교 내용과 다양한 산전관리 및 교육 관련 연구 문헌들을 통합하여 의학적 근거를 찾아보았다.
  •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가 보건실행계획수립(National Environment and Health Action Plans)의 초기 사업으로 산모 및 영유아의 환경노출에 의한 건강영향 연구29)를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한 바 있다. 임산부나 어린이가 환경오염원에 노출되었을 때 출산, 성장, 발달, 질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조사하는 대규모 장기간 연구이다. 오염원에 노출된 정도를 산전, 산후, 출생 후 5년 동안 추적 조사하고, 유아 발달 척도를 이용하여 성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가설 설정

  • 35) 임신 후반기의 스트레스는 수동 면역인 면역글로불린 G의 태아 전달에 영향을 미쳐서 태아와 신생아의 수동면역이 저하된다.36) 산모가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혈중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엔도르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카테콜아민의 변화를 일으켜 유전자 발현 조절이나 태반 대사의 변화를 통해 태아발달에 직, 간접 영향을 준다.
  • 38) 유전자 말단소립 이론은 스트레스와 질병 위험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유전자 말단소립의 길이가 짧아지면 세포 사멸에 이르기 때문에 말단소립은 세포 노화, 생리적 기능, 노화의 생물학적 지표가 된다.
  • 아버지가 약물 또는 특정 환경에 노출되면 태아에게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아진다.7) 정자가 형성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64일 정도이므로 수태 시점부터 2개월 이전에 유해물질에 노출된 경우 유전자 변이나 정자염색체 이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액에 함유되어 있는 약물이 직접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도 있다.
  • 향후 연구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지만 태아와 산모의 상황을 고려하면 쉽지않다. 다섯째, 동물 실험 결과를 그대로 인간에게 적용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리적 문제나 변인 통제들의 요소를 감안하면 인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나 실험을 통해 태교의 효과를 입증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동물 실험 결과를 태교의 간접적 근거로 참조하였다.
  • 자료선택 시 산전관리에 포함되는 주제를 저자들이 선택하여 자료 수집을 하여 내용 제시 및 근거로 사용하였으므로 태교 내용 전체를 대표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자들이 수집한 전통태교에 관한 지식은 저자들의 현대 감각으로 풀이한 해설집에서 습득한 것이다. 해설집 내용이 현대적으로 해석되기도 하였고 역자의 의견이 포함된 경우도 있으므로 원저자의 의도와 다르게 소개되었을 수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교는 어떤 과정인가? 태교(胎敎, Taegyo)는 태중 교육 또는 태내 교육의 약자로 부모가 임신 전부터 출생까지 태아 발달을 위해 행하는 교육과정이며,1) 수정과정과 태아 형성과 발달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2) 즉, 태아를 인격체로 인정하여 출산까지의 산모 그리고 아버지와 태아의 유기적 관계를 강조한다.
우리나라의 태교는 어떻게 전파되었는가? 우리나라의 태교는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불교 문화와 함께 전파되었으며4) 조선 시대에는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아 부모의 도덕적 윤리 및 안정적인 정서를 강조하였다.5) 태교 서적, 의학 서적, 여성 교육 교양도서 등의 문헌, 사찰의 탑비, 구전 등을 통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태교가 강조하는 것은? 태교(胎敎, Taegyo)는 태중 교육 또는 태내 교육의 약자로 부모가 임신 전부터 출생까지 태아 발달을 위해 행하는 교육과정이며,1) 수정과정과 태아 형성과 발달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2) 즉, 태아를 인격체로 인정하여 출산까지의 산모 그리고 아버지와 태아의 유기적 관계를 강조한다. 출산 후에는 아기의 나이를 한 살로 인정하는 것도 태교의 기본 정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Ryoo JS, KooK JY. The modern scientific meaning of traditional antenatal education. J Seogang Inf Coll 2000;19:87-103. 

  2. Yoo AJ. Traditional parenting approach of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1986. p.108-145. 

  3. Lee KH.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Seoul: Hyungseul;1994.p.71-81. 

  4. Seo SW. Taegyo. Seoul: Tobang;1986. p.99-126. 

  5. Gasan Jikwan. The selected 12 epitaphs from a collection of eminent monk's inscriptions. Seoul: The Publication Committee of Korean Traditional Ideology Series in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Publishier;2011 p.114-184. 

  6. Kwon YJ. Analysis of physician ethics convenants. Seoul: Yonsei Univ.;2004. 

  7. Cunningham FG, Leveno KJ, Bloom SL, Hauth JC, Rouse DJ, Spong CY. Williams obstetrics. 23rd ed. New York: The McGraw- Hill Companies;2010. p.189-214. 

  8. Heo J. Korean Medicine Dinguidaebogam. Book 2. Seoul: Geumsung Cultural Co.;1993 p.1365-1424. 

  9. Choi HS. Tae-gyo-shin-gi. Paju: Korean Academic Information;2008. p.29-69. 

  10. Yoo AJ. Traditional child parenting and symbol of Korea. J Korean Dress 2000;18:7-26. 

  11. Pinghogak Yi-ssi. Kyuhapchongseo. Paju: Pochinchai P rinting Co.;1975. p.329-343. 

  12. Lee KT. Seominhankuksa 4. Seoul: Samtoh Co.;1973. p.187-188. 

  13. Koo BK. The taemong and education with prenatal in Korean women. J Cult Stud 1999;8:215-235. 

  14. Bae SM. Th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prenatal dance. Seoul: KookMin Univ.;2007. 

  15. Kim JY. An effect of prenatal care program with a ballet on an expectant mother's health. Seoul: Sejong Univ.;2008. 

  16. Joh HS. A study on Yoga for the pregnant and the fetus: focused on practice of Yoga Sutra and Taegyoshingi. Iksan: Wonkwang Univ.;2006. 

  17. Ryu HJ. A study to develop and to test the effect of an expressive arts program for pregnant women. Seoul: Dongguk Univ.;2010. 

  18. Noh YO. Study for biblical Taegyo. Anyang: Anyang Univ.; 2004. 

  19. Lee JY. Taegyo behavior in pregnant women. Seoul: Yonsei Univ.;2000. 

  20. Lee HY. Recognition and likeness investigation of fetal education music for the pregnant women. Seoul: Sangmyung Univ.;1997. 

  21. Moon YH.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for prenatal care. Seoul: Sungkyunkwan Univ.;2006. 

  22. Linnet KM, Dalsgaard S, Obel C, Wisborg K, Henriksen TB, Rodriguez A, et al. Maternal lifestyle factors in pregnancy risk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associated behaviors: review of the current evidence. Am J Psychiatry 2003;160:1028-1040. 

  23. Suttie M, Foroud T, Wetherill L, Jacobson JL, Molteno CD, Meintjes EM, et al. Facial dysmorphism across the fetal alcohol spectrum. Pediatrics 2013;131:e779-e788. 

  24. Richardson GA, Larkby C, Goldschmidt L, Day NL. Adolescent initiation of drug use: effects of prenatal cocaine exposur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3;52:37-46. 

  25. Huang JS, Lee TA, Lu MC. Prenatal programming of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Matern Child Health J 2007;11:461-473. 

  26. Imdad A, Bhutta ZA. Maternal nutrition and birth outcomes: effect of balanced protein-energy supplementation. Paediatr Perinat Epidemiol 2012;26 Suppl 1:178-190. 

  27. Christensen J, Grønborg TK, Sørensen MJ, Schendel D, Parner ET, Pedersen LH, et al. Prenatal valproate exposure and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childhood autism. JAMA 2013;309:1696-1703. 

  28. Mainolfi MB, Salihu HM, Wilson RE, Mbah AK. Low-level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risk of adverse birth outcomes in Hillsborough County, Florida. J Occup Environ Med 2013;55:490-494. 

  29. Kim BM, Ha M, Park HS, Lee BE, Kim YJ, Hong YC, et al. The Mothers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MOCEH) study. Eur J Epidemiol 2009;24:573-583. 

  30. Kim Y, Ha EH, Park H, Ha M, Kim Y, Hong YC, et al. Prenatal lead and cadmium co-exposure and infant neurodevelopment at 6 months of age: the Mothers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MOCEH) study. Neurotoxicology 2013;35:15-22. 

  31. Kim Y, Ha EH, Kim EJ, Park H, Ha M, Kim JH, et al. Prenatal exposure to phthalates and infant development at 6 months: prospective Mothers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MOCEH)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2011;119:1495-1500. 

  32. Dadvand P, Parker J, Bell ML, Bonzini M, Brauer M, Darrow LA, et al. Maternal exposure to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term birth weight: a multi-country evaluation of effect and heterogeneity. Environ Health Perspect 2013;121:267-373. 

  33. Chia SE, Shi LM. Review of recent epidemiological studies on paternal occupations and birth defects. Occup Environ Med 2002;59:149-155. 

  34. Newton RW, Webster PA, Binu PS, Maskrey N, Phillips AB. Psychosocial stress in pregnancy and its relation to the onset of premature labour. Br Med J 1979;2:411-413. 

  35. Mulder EJ, Robles de Medina PG, Huizink AC, Van den Bergh BR, Buitelaar JK, Visser GH. Prenatal maternal stress: effects on pregnancy and the (unborn) child. Early Hum Dev 2002;70:3-14. 

  36. Merlot E, Couret D, Otten W. Prenatal stress, fetal imprinting and immunity. Brain Behav Immun 2008;22:42-51. 

  37. Schuurmans C, Kurrasch DM. Neurodevelopmental consequences of maternal distress: what do we really know? Clin Genet 2013;83:108-117. 

  38. Sahin E, Colla S, Liesa M, Moslehi J, Muller FL, Guo M, et al. Telomere dysfunction induces metabolic and mitochondrial compromise. Nature 2011;470:359-365. 

  39. Entringer S, Buss C, Wadhwa PD. Prenatal stress and developmental programming of human health and disease risk: concepts and integration of empirical findings. Curr Opin Endocrinol Diabetes Obes 2010;17:507-516. 

  40. Entringer S, Buss C, Wadhwa PD. Prenatal stress, telomere biology, and fetal programming of health and disease risk. Sci Signal 2012;5:pt12. 

  41. Entringer S, Epel ES, Lin J, Buss C, Shahbaba B, Blackburn EH, et al. Maternal psychosocial stress during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newborn leukocyte telomere length. Am J Obstet Gynecol 2013;208:134.e1-e7. 

  42. Entringer S, Epel ES, Kumsta R, Lin J, Hellhammer DH, Blackburn EH, et al. Stress exposure in intrauterine life is associated with shorter telomere length in young adulthood. Proc Natl Acad Sci U SA 2011;108:E513-E518. 

  43. Lereya ST, Wolke D. Prenatal family adversity and maternal mental health and vulnerability to peer victimisation at school.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13;54:644-652. 

  44. Shalev I, Moffitt TE, Sugden K, Williams B, Houts RM, Danese A, et al. Exposure to violence during childhood is associated with telomere erosion from 5 to 10 years of age: a longitudinal study. Mol Psychiatry 2013;18:576-581. 

  45. Park MI, Shin DY, Hoh JK, Hwang JH, Cha KJ, Park YS.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of fetal heart rate after maternal hearing of alpha-brain wave induced sound and natural sounds. Korean J Perinatol 2000;11:213-220. 

  46. Arya R, Chansoria M, Konanki R, Tiwari DK. Maternal Music Exposure during Pregnancy Influences Neonatal Behaviour: An Open- Labe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 J Pediatr 2012;2012:901812. 

  47. Chang MY, Chen CH, Huang KF.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sychological health of women during pregnancy. J Clin Nurs 2008;17: 2580-2587. 

  48. Kim H, Lee MH, Chang HK, Lee TH, Lee HH, Shin MC, et al. Influence of prenatal noise and music on the spatial memory and neurogenesis in the hippocampus of developing rats. Brain Dev 2006;28:109-114. 

  49. Chaudhury S, Wadhwa S. Prenatal auditory stimulation alters the levels of CREB mRNA, p-CREB and BDNF expression in chick hippocampus. Int J Dev Neurosci 2009;27:583-590. 

  50. Richards DS, Frentzen B, Gerhardt KJ, McCann ME, Abrams RM. Sound levels in the human uterus. Obstet Gynecol 1992;80:186-190. 

  51. Moon C, Lagercrantz H, Kuhl PK. Language experienced in utero affects vowel perception after birth: a two-country study. Acta Paediatr 2013;102:156-160. 

  52. Ockleford EM, Vince MA, Layton C, Reader MR. Responses of neonates to parents’ and others’ voices. Early Hum Dev 1988;18:27-36. 

  53. Fifer WP, Moon CM. The role of mother’ voice in the organization of brain function in the newborn. Acta Paediatr Suppl 1994;397:86-93. 

  54. Committee on Obstetric Practice. ACOG committee opinion. Exercise during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period. Number 267, January 2002.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Int J Gynaecol Obstet 2002;77:79-81. 

  55. Prather H, Spitznagle T, Hunt D. Benefits of exercise during pregnancy. PM R 2012;4:845-850; quiz 850. 

  56. Kim K, Chung E, Kim CJ, Lee S. Swimming exercise during pregnancy alleviates pregnancy-associated long-term memory impairment. Physiol Behav 2012;107:82-86. 

  57. Park JW, Kim MH, Eo SJ, Lee EH, Kang JS, Chang HK, et al. Maternal exercise during pregnancy affects mitochondrial enzymatic activity and biogenesis in offspring brain. Int J Neurosci 2013;123:253-264. 

  58. Fonagy P, Steele H, Steele M. Maternal representations of attachment during pregnancy predict the organization of infant-mother attachment at one year of age. Child Dev 1991;62:891-905. 

  59. Shah PE, Fonagy P, Strathearn L. Is attachment transmitted across generations? The plot thickens. Clin Child Psychol Psychiatry 2010;15:329-345. 

  60. Byrne MW, Goshin LS, Joestl SS.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for infants raised in a prison nursery. Attach Hum Dev 2010;12:375-3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