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아애착에의 영향요인: 임부의 피로, 사회적지지, 태교실천
The Contribution of Maternal-Fetal Attachment: Taegyo, Maternal Fatigue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4, 2014년, pp.247 - 254  

유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김미옥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산전 임부를 대상으로 태아애착, 태교실천, 피로 및 사회적 지지 정도를 확인하고 태아애착에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대상자는 월평균 분만 100건 이상의 여성전문병원에 산전관리를 위해 외래를 방문한 임부 중 임신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건강한 임부 211명이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태아애착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태아 애착을 평가하기 위한 Maternal-Fetal Attachment Scale, 태교실천은 Mun과 Choi (2002)의 도구, 피로를 측정하기 위해 Milligan 등(1997)이 개발한 Fatigue Symptom Checklist 및 Curry 등(1994)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임부의 태아애착 정도는 $93.74{\pm}13.69$점(점수범위 25-125점)이었으며 산과력, 모유수유 경험 및 태교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임부, 모유수유 경험이 없는 경우, 태교 경험이 있는 경우 태아애착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임부의 태아애착은 태교실천(r=.71, p < .001), 피로(r=.15, p =.032), 사회적 지지(r=.38, p <.001)와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고 태교 실천 정도는 사회적 지지 정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40, p <.001). 임부의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태교실천(${\beta}=.67$), 피로(${\beta}=.21$), 사회적 지지(${\beta}=.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5.2%였다. 결론 임부의 태아애착 증진을 위해 태교실천 및 태교실천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하나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임부의 피로를 단순히 임신증상으로 인식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이를 태교실천을 통해 중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태교실천을 더욱 더 잘 실천함으로 태아애착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aternal-fetal attachment in a pregnant woman is important for her health and for her child's emotional stability.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maternal fatigue, social support, and Taegyo to maternal-fetal attachment based on a survey of pregnant women. Method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 태아애착과 임부의 피로, 태교실천과의 관련성을 함께 살펴본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전 임부를 대상으로 임부의 피로, 사회적 지지, 태교실천 정도가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함으로, 추후 태아애착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를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부의 태아애착, 태교실천, 피로 및 사회적 지지 정도를 측정하고 태아애착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descriptive correlation study)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임부에게 태교실천에 관해 영양섭취에 신경을 쓰는지, 태교에 대한 공부를 하는지, 선행을 베풀고 편안한 마음과 휴식을 갖기 위해 노력하는지, 좋은 음악을 듣고 좋은 생각을 하려고 하며, 아이를 위해 동화책을 읽어주거나 배를 쓰다듬는 행동을 하는지 등을 질문하였다. 이러한 태교실천방법은 아이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격려하고 태아의 행동에 관해 지식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Koniak Griffin, Lominska와 Brecht(1993)는 이러한 중재를 받은 경우에 태아 애착이 더 증가하였음을 보고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전 임부를 대상으로 태아애착, 태교실천, 피로 및 사회적 지지정도를 확인하고 태아애착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중 태아애착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진 것은 태교실천이었다. 이에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룬 태아애착관련 변수들이 지니는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 임신 시기는 신체적,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로 이러한 변화들은 여러 가지 요인과 함께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임신기간의 유지를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지금까지 태아애착과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임부의 피로와 태교실천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 추후 태아애착에 관한 연구 및 향후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다만 Cannella (2005)가 제안한 바와 같이 앞으로 임부의 임신기간 중 태아애착이 형성되는 가장 적절한 시기가 언제인지에 대해 심도 있게 조사해볼 필요가 있으며, 태아애착과 관련된 이론적 지식체를 확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주로 다룬 외적환경의 영향이외에 내적 환경의 영향을 함께 살펴보는 상관관계연구가 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부의 태아에 대한 애착의 특징은? 임부는 태아 성장, 발달에 중요한 초기 환경이며, 임부의 태아에 대한 애착은 출생즉시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태아에 대한 현실감과 역동적인 신체, 정신적 사건의 결과로 형성되고, 임신, 출산의 전 과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전한다(Ryu & Kim, 2008).
산전간호의 목적은? 산전간호는 임신 중 예방적인 건강행위 중 하나로 그 목적은 정상적인 임신과정을 감독하고 임부와 가족을 안심시키고 어버이의 역할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 중 태교는 임부의 분만자신감 등 자가관리 능력획득과 건강이득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태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태아의 성장발달을 촉진하며 임부태아 애착을 증진시키고 임부를 어머니로서 준비시키는 방법이므로(Chang, Kim, & Kim, 2001), 임부 자신의 태교 실천정도가 태아애착에 중요할 것이다.
임부의 피로가 임부에게 주는 부정적인 영향은? , 1998), 초임부, 계획임신 여부, 체중변화(Jeong & Kim, 2000)와 같은 신체적 요인과, 임신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생리적 변화 외에 임신에 대한 양가감정, 출산에 대한 불안, 두려움(Shin, Song, & Hwang, 2007), 우울과 스트레스, 결혼만족도(Hart & McMahom, 2006; Kim & Cho, 2012) 등 심리적, 상황적 요인이 그 원인이 된다. 이러한 피로는 임부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오심, 골반압박감, 빈뇨, 요통, 불면증, 기억력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극심한 피로는 제왕절개술시행, 저출생체중아, 조산, 난산 등을 초래할수 있다(Hall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gman, K., Sarkar, P., Glover, V., & O'Connor, T. G. (2010). Maternal prenatal cortisol and infant cognitive development: Moderation by infant-mother attachment. Biological Psychiatry, 67, 1026-1032. http://dx.doi.org/10.1016/j.biopsych.2010.01.002 

  2. Cannella, B. L. (2005). Maternal-fetal attachment: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1), 60-68. 

  3. Cassidy, J., & Shaver, P. R. (2001).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NY: Guilford Press. 

  4. Chang, S. B., Kim, K. Y., & Kim, E. S. (2001). Change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elf-efficacy for delivery after the Taekyo-perspective prenatal cla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 Health Nursing, 7(1), 7-17. 

  5. Choi, Y. S., & Kim, H. O. (1995). A survey on the practice taekyo among childbearing coup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 Health Nursing, 1(2), 153-173. 

  6. Cranley, M. S. (1981).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0(5), 281-284. 

  7. Curry, M. A., Campbell, R. A., & Christian, M. (1994).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of the prenatal psychosocial profi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 127-135. 

  8. Hall, W. A., Hauck, Y. L., Carty, E. M., Hutton, E. K., Fenwick, J., & Stoll, K. (2009). Childbirth fear, anxiety, fatigue, and sleep deprivation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8(5), 567-576.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09.01054.x 

  9. Han, K. S. (2005). Stress appraisal, coping behavior,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fatigue regulation behaviors of the patient with chronic fatigu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2), 170-177. 

  10. Hart, R., & McMahon, C. A. (2006). Mood stat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pregnancy.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9, 329-337. 

  11. Hwang, R. H. (2013).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fetal attachment and state anxiety of pregnant women in the preterm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42-152.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3.142 

  12. Im, Y. M., Kim, E. S., & Yoo, I. Y. (2012). Factors associated with maternalfetal attachment of expectant mothers whose fetus has a prenatal diagnosis of congenital heart disease. Journal of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8(3), 150-157.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3.150 

  13. Jeong, G. H., & Kim, S. J. (2000). Differences of women's perception of fatigue according to the period of pregna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3), 731-740. 

  14. Ji, E. S., & Han, H. R. (2010). The effects of Qi exercise on maternal/fetal interaction and maternal well-being during pregnancy. Association of Women's Health, Obstetric and Neonatal Nurses, 39, 310-318.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10.01135.x 

  15. Kang, C. Y., & Youn, J. Y. (2004). The pregnant woman-fetus interaction and attachment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Studies, 10, 131-147. 

  16. Kim, M. Y., & Jang, G. J. (2009). A comparative study on maternal-infant attachment and infant temperament according to the feeding meth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13(1), 107-115. 

  17. Kim, Y. H., & Cho, O. H. (2012).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Child Health, 16(1), 80-88. 

  18. Koniak-Griffin, D., Lominska, S., & Brecht, M. L. (1993). Social support during adolescent pregnancy: A comparison of three ethnic groups. Journal of Adolescence, 16, 153-158. 

  19. Lee, H. J., Kim, Y. H., & Jo, Y. R. (2005). Attachment-oriented caretak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in mothers of breast-feeding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2), 189-195. 

  20. Lindgren, K. (2001). Relationships among maternal-fetal attachment, prenatal depression, and health practices in pregnanc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4, 203-217. 

  21. Milligan, R. A., Parks, P. L., Kitzman, H., & Lenz, E. R. (1997). Measuring women's fatigue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5(1), 3-16. 

  22. Mun, H. S., & Choi, E. S. (2002).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delivered woman and her husband for the fet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 Health Nursing, 8(4), 583-594. 

  23. Park, Y. S., Lee, H. K., Lee, E. H., Um, Y. R., Kang, N. M., Lee, S. H., et al. (1998). A study on pregnant women's fatigu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 Health Nursing, 4(3), 429-440. 

  24. Pugh, L. C., & Milligan, R. A. (1993).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childbearing fatigue. Advanced Nursing Science, 15(4), 60-70. 

  25. Ryu, H. J., & Kim, S. H. (2008). The effects of the prenatal program using meditation and art activities on the emotional rest of pregnant women. The Korean Journal of Meditation Therapy, 2, 249-284. 

  26. Seimyr, L., Sjogren, B., Welles-Nystrom, B., & Nissen, E. (2009). Antenatal maternal depressive mood and parental-fetal attachment at the end of pregnancy.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12, 269-279. http://dx.doi.org/10.1007/s00737-009-0079-0 

  27. Shin, H. S., Song, Y. A., & Hwang, J. I. (2007). Effects of hand stimulation intervention on fatigue and blood cortisol level of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212-219. 

  28. Song, J. E. (2007). Predictors of postpartum fatigue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period in parturient women-divided by 3/4 weeks of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4), 299-309. 

  29. Sung, M. H., & Joo, K. S. (2011).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in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1), 31-38.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1.31 

  30. Wee, H., & Park, S. Y.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depression, prenatal stress,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gratitud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Child Health, 16(2), 274-2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