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서 실시한 당뇨병 환자 방문간호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Home Visiting Care Program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Provided by Public Health Center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4 no.1, 2010년, pp.71 - 81  

박경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김정남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박명화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김혜련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신아미 (계명대학교 생체정보기술개발사업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ome visiting care program provided by public health center in control of blood sugar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who were cared for at home. Method: The subjects were 50 randomly selected diabetics registered at S-Gu Public Hea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를 위한 방문간호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보건소에 등록된 지역사회 저소득 취약계층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 환자를 위한 방문간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당뇨병 환자의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 당뇨관리 자기효능감, 자기 간호 이행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를 위한 방문간호 프로그램이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 당뇨관리 자기효능감, 자기 간호 이행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설계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설계이고, D 광역시에 소재한 S구 보건소에 등록된 재가 당뇨병 환자 50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5명씩 무작위 할당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실시한 당뇨병 환자 방문 간호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에서 실시한 당뇨병 환자 방문 간호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하지만 전국 보건소 방문간호사 1인당 평균 245가구를 담당하고 있어 모든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 사례관리 지침서에 따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 방문간호사뿐 아니라 당뇨 전문 간호사와 학생간호사로 구성된 혈당 관리 방문간호팀을 구성하고 당뇨병 환자를 위한 방문간호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을 때의 효과를 파악하고 지역사회 저소득 취약계층의 효율적인 혈당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에 등록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 전문 간호사가 1회의 교육을 실시하고 간호학생들이 지속적인 가정 방문과 전화 방문을 통해 대상자의 혈당 관리를 체크하고 지속적인 당뇨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방문 간호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또, 학생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당뇨 전문 간호사가 인터넷 당뇨병 사례관리 클럽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H. J., Han, K. A., Koo, B. K., Kim, H. J., Kim, H. J., Park, K. S., & Min, K. W. (2008). Analysis of meal habits from the viewpoint of regularity in Korea type 2 diabetic patients. Korean Diabetes J 32, 68-76. 

  2. Bae, J. H. (2002). Study for the diabetes training program to influence the effects about self nursing behavior in one's own house, self-efficacy and knowledge about diabetes patience. J Sports Sci Res 20, 39-53. 

  3. Choi, G. A., Jang, S. M., & Nam, H. W. (2008). 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rs in early diabetic patient. Korean Diabetes J 32, 280-289. 

  4. Choi, M. J. (1993).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calorie intake, blood glucose, and exercise in female diabetics. Korean J Nutr 26(2), 166-171. 

  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8). Report of task force team for basic statistical study of Korean diabetes mellitus: Diabetes in Korea 2007 (1st ed.). Seoul: Goldfishyery. 

  6. Kim, H. R. (1998). The effect of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selfefficacy, self-care, HbA1c in diabetic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7.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2007 Statistical results of death and cause. Retrieved September 10, 2008, from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b site:http://nso.go.kr 

  8. Kim, S. G., & Choi, D. S. (2008). The present state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51(9), 791-198. 

  9. Lee, S. J., Kim, S. I., Jee, P. S., Kim, S. Y., Park, E. S., Park, Y. J., Ryu, H. S., Chang, S. O., & Han, K. S. (2002). Construct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hronic illness. J Koran Acad Nurs, 32(1), 62-76. 

  10.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In-depth analyses of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ealth screening. Retrieved March 19, 2009, from http://knhances.cdc.go.kr 

  11. Oh, J. Y. (2008). Treatment guideline for diabetes. Korean J Med, 75(3), 249-256. 

  12. Park, O. J. (1984).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 in patinets with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3. Yang, S. O., Yeon, A. S., Yim, E. S., & Kwon, M. S. (2008). The effects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in Gangwon-do-Focused on hypertension and DM clients. J Korean Comm Nurs, 19(1), 88-100. 

  14. Yoo, J. S., Lee, S. J., Lee, H. C., Kim, S. H., Kang, E. S., & Park, E. J. (2004). The effect of short term comprehensive life 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glycemic metabolism, lipid metabolism and body composition in type 2 diabetes melllitus. J Korean Acad Nurs, 34(7), 1277-1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