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응급의료기관의 아동 간호중재 분석 -4차 개정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을 적용하여-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Nurs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in Regional Emergency Departments -Using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6 no.4, 2010년, pp.277 - 286  

김영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이내영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하재현 (부산대학교병원 응급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escriptive data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patients and nursing interventions i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REMC). Methods: A retrospective design was used to examine the medical records of 4,310 children. The clinical data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의료기관 내원 아동의 특성과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중재를 규명하기 위해서 1년간 P지역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한 아동의 일반적 특성, 내원 특성, 주호소, 진료 특성, 그리고 제공된 간호중재를 분석하였다.
  • 내원 아동의 특성 및 응급의료기관의 간호중재 분류는 응급실 경력 5년 이상 간호사 1인, 간호학 교수 2인, 응급의학과 전문의 1인의 자문과 검토를 받았다. 본 연구는 응급의료기관에서 내원 아동에게 어떤 간호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므로, 아동에게 제공된 간호행위를 모두 조사하였으나 중복 제공될 경우 중복 계산은 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응급의료기관을 내원한 아동의 특성과 아동에게 제공되는 간호중재를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아동의 특성과 이들에게 제공된 간호중재를 간호중재분류(NIC)를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응급의료기관의 아동 간호중재를 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의료기관에서 아동에 대해 성인과 같은 과정을 따라 임상적 판단을 하게 되지만, 어른과 달리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은 아동은 성인과 어떤 차이가 있기 때문인가? 응급의료기관에서는 아동에 대해 성인과 같은 과정을 따라 임상적 판단을 하게 되지만, 어른과 달리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Jeon, Kim, Bae, & Yoo, 2008). 아동은 연령에 따라 성장발달 상황이 다양하고(Root, 2007; Thomas, 2002) 응급질환이나 외상 발생 시에는 성인에 비해 의사소통이 더 어려우며 질병, 손상의 증상과 징후도 불분명하여 초기 사정이 어렵다(Hohenhaus, Travers, & Mecham, 2008). 성인에 비해 기도 및 혈관 확보가 어려워 간호중재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더 많다(Thomas, 2002). 또한 조기에 적절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나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아동의 이후 일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Hohenhaus et al., 2008).
응급의료기관 간호사는 아동에 대해 무엇을 주의 깊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하는가? , 2009). 응급의료기관 간호사는 아동에 대한 사정 기술이 뛰어나 연령과 발달단계에 따른 증상과 징후를 주의 깊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Hohenhaus et al., 2008; Root, 2007; Thomas, 2002).
아동 환자의 응급처치 중에 소란스러운 상황이 종종 일어나기도 하는 이유는? 의료진과의 관계 형성에서도 응급환자는 성인과 비교했을 때 힘든 점이 많다(Piskosz, 2007). 갑작스런 사고나 질병으로 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한 아동과 가족은 낯선 치료환경과 처치과정에 극도로 불안해지기 때문에 아동 환자의 응급처치 중에는 소란스러운 상황이 종종 일어나기도 한다(Jeon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American College of Emergency Physicians, Pediatric Committee,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 Pediatric committee (2009). Joint policy statement guidelines for care of childre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Pediatrics, 124, 1233-1243. 

  2. Choi, J. Y., Park, M. S., & Kim, H. S. (2002). A survey on nursing interventions of psychiatric nursing unit using the 3th NIC.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 125-136. 

  3. Goldman, R. D., Scolnik, D., Chauvin-Kimoff, L., Farion, K. J., Ali, S., Lynch, T., et al. (2009). Practice variations in the treatment of febrile infants among pediatric emergency physicians. Pediatrics, 124, 439-445. 

  4. Hohenhaus, S. M., Travers, D., & Mecham, N. (2008). Pediatric triage: A review of emergency education literatur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4, 308-313. 

  5. Jeon, H. J., Kim, S. S., Bae, H. A., & Yoo, I. Y. (2008). Utilization statu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 5-13. 

  6. Kim, B. J., Lee, E. N., Kang, K. H., Kim, S. S., Kim, S. A., & Sung, Y. H. (2006).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emergency room nurse. Clinical Nursing Research, 12, 81-95. 

  7. Kim, E. J. (1998). Work analysis for the rol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93-103. 

  8. Kim, H. J. (2006). Analysis of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in a general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9. Kim, K. J., Lee, H. Y., & Kim, K. B. (1995). A study on the job activities of the emergenc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 709-728. 

  10. Kim, M. H. (2007). The research of child injury etiology 2007. Retrieved June 10, 2010, from http://www.kca.go.kr/.Accessed 

  11. Kim, S. Y., Chin, Y. R., Oh, V. C., Park, E. J., Yun, S. N., & Lee, I. S. (2006).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erformed by public health nurses in health centers using the NI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217-226. 

  12. Kim, Y. H., Lee, H. J., & Cho, S. J. (1999). A study on the triage and statistical data by the 5 developmental stages of the children in emergency room, PNU.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5, 136-150. 

  13. Kool, R. B., Homberg, D. J., & Kamphuis, H. C. (2008). Towards integration of general practitioner posts and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s: A case study of two integrated emergency posts in the Netherland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6, 225-226. 

  14. Lee, J. H., Kim, S. T., Go, D. Y., Moon, T. I., Kim, O. J., Chol, S. W., et al. (2003). Assessment of the propriety of separating the pediatric emergency room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4, 366-370. 

  15. Lee, Y. H., Kim, J. W., Lee, Y. H., Kim, S. H., Park, Y. S., & Park, I. C. (2010). The composite crowding index for the medical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36, 59-68. 

  16. Lewis, L. M., & Asplin, B. R. (2010).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s are not "little" adult emergency department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7, 202-203. 

  17. Oh, W. O. (2001). A survey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pediatric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7, 461-473. 

  18. Oh, W. O., Suk, M. H., & Yoon, Y. M. (2001). A survey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neonatal nursing unit nurses using the NI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7, 161-178. 

  19. O'Malley, P. J., Brown, K., Krug, S. E., & Committee on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2008).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of childre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Pediatrics, 122, 511-21. 

  20. Park, J. H., & Lee, J. S. (2009). 2009 KBR conference. The Study of Impediments in the Adoption of Information Systems in Public Sector: Case of the 1339, Korea, 11, 1-16. 

  21. Piskosz, Z. (2007). On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s successful approach to family-centered car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3, 169-171. 

  22. Poirier, M. P., Collins, E. P., & McGuire, E. (2010). Fever phobia: A survey of caregivers of children seen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Clinical Pediatrics, 49, 530-534. 

  23. Root, N. (2007). Creating a safe environment for pediatric ED patient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3, 286-289. 

  24. Seo, C. W., Lee, J. S., Kwon, O. Y., Choi, H. S., Hong, H. P., Ko, Y. G., et al. (2009). Medical malpractice claims on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 715-721. 

  25. Song, H. D., Kim, K. H., Kim, A. J., Park, J. S., Shin, D. W., Roh, J. Y., et al. (2009). A preliminary study of an emergency department- based in-depth injury surveillance system of preschool children inj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 649-657. 

  26. Thomas, D. O. (2002). Special considerations for pediatric tri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37, 145-159. 

  27. Walker, D. M., Tolentino, V. R., & Teach, S. J. (2007). Trends and challenges in international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Current Opinion in Pediatrics, 19, 247-252. 

  28. Walsh, A., Edwards, H., & Fraser, J. (2007). Influences on parents' fever management: Belief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sourc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2331-2340. 

  29. Wood, C., Wettlaufer, J., Shaha, S. H., & Lillis, K. (2010). Nurse practitioner roles in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s: A national survey. Pediatric Emergency Care, 26, 406-407. 

  30. Yun, O. B., & Kang, H. S. (2009).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dmitted to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following an accid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7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