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내원 발열 소아환자의 열관리를 위한 근거중심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Febrile Children in Emergency Room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8 no.4, 2012년, pp.214 - 221  

정민진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  신현아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  김윤희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  이지향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  이승자 (삼성서울병원 특수간호팀) ,  송미라 (삼성서울병원 간호업무개발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the care of febrile children in the emergency room and to evaluate the guidelines by applying them to practic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methodological design. referring to the Scottis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발열은 과도한 대사항진을 유발하고 수분소실을 증가시켜 탈수의 위험성을 높이며 불편감을 유발하게 된다(Avner, 2009). 따라서 소아 열관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열 자체의 감소가 아니라 발열로 인한 소아환자들의 불편감을 해소시켜 안위감을 증진시키는 데 있다. 한편 발열은 특성상 급성적으로 나타나나 발열의 원인이 되는 질병, 발열의 과정이나 기간 등을 완전히 예측할 수 없어 일부 소아환자에게는 심각한 건강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따라서 YOS 항목 중 한 항목에서 3점 이상인 경우 발열로 인한 불편감이 있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YOS 10점 이상인 경우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Bang과 Chaturvedi (2009)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YOS 10점을 기준으로 심각한 질병 위험성을 예측하는 기준으로 하였다. 도구개발 당시 민감도 77%, 특이도 88%, 측정자 간 일치율은 88-95%였으며(McCarthy et al.
  • 먼저 가이드라인을 임상에 시범적용 하기 위하여 구조적 측면을 보완하였다. 발열관련 환자상태에 따라 의사에게 즉시 알려 의사의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기준에 대하여 진료과와 협의하였다. 또한 발열과 관련된 건강상태 사정에 관한 의무기록 문구를 보완하였고, 열에 대한 보호자의 올바른 인식을 도모하기 위하여 교육자료를 제작하였다.
  • 본 연구는 발열로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환자의 열관리를 위한 근거중심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발열 소아환자의 근거중심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으로, 신속한 평가와 처치가 이루어져야 하는 응급실에서 발열로 인한 소아의 불편감을 사정하여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고 심각한 질병위험성을 예측하여 빠르게 대처하고자 하는데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에 내원한 발열 소아환자의 열관리를 위한 근거중심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선의 근거(best evidence)를 활용하여 가장 효과적이고 타당한 열관리 간호중재를 선별하여 응급실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소아환자 열관리 가이드라인을 개발함으로써 발열 소아환자의 열관리를 위한 간호실무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열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열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방법으로 해열제 투여, 미온수 스폰지 목욕, 옷 벗기기, 환기 등이 있는데, 이중 해열제 투여와 미온수 스폰지 목욕이 흔히 사용되는 중재이다. 그러나 해열제는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투여가 고려되어야 하며(NICE, 2007), 호주의 간호연구 기관인 JBI (2001)에서는 열관리를 위해 해열제를 통상적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발열이란 무엇인가? 발열이란 심부온도가 38℃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로서 내인성 발열물질에 의해 체온조절중추의 기준점(set point)이 상승된 것이 원인이며 체온조절 기전 자체에는 장애가 없는 경우로(Avner, 2009), 본 연구에서는 고막 체온이 38℃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AGREE)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최종 확정된 가이드라인의 질 평가는 Park (2006)이 시설노인의 비 약물적 변비관리에 대한 근거중심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연구에서 사용했던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AGREE) 도구를 사용하였다. AGREE 평가도구는 가이드라인의 범위와 목적, 이해당사자의 참여, 개발의 엄격성, 명확성과 표현, 적용성, 편집의 독립성 등 6개 영역, 23개 문항과 전반적인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해 동의정도를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4점 ‘매우 그렇다’의 Likert 4점 척도로 측정하고, 최종적으로 6개의 영역별로 구분하여 평가자들의 점수를 합산한 후 각 표준영역별 점수를 계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ves, J. G. B., de Almeida, N. D., & de Almeida, C. D. (2008). Tepid sponging plus dipyrone versus dipyrone alone for reducing body temperature in febrile children. Sao Paulo Medical Journal, 126(2), 107-111. 

  2. Avner, J. R. (2009). Acute fever. Pediatrics in Review, 30(1), 5-13. 

  3. Bang, A., & Chaturvedi, P. (2009). Yale observation scale for prediction of bacteremia in febrile children. Indian Journal of Pediatrics, 76, 599-604. 

  4. Broom, M. (2007). Physiology of fever. Pediatric Nursing, 19(6), 40-45. 

  5. Chung, Y. S., & Kim, J. S. (2009). P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childhood fe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171-181. 

  6. Edwards, H., Walsh, A., Courtney, M., Monaghan, S., Wilson, J., & Young, J. (2007). Promoting evidence-based childhood fever management through a peer education programme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1966-1979. 

  7. El-Radhi, A. S. (2008). Why is the evidence not affecting the practice of fever management?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3, 918-920. 

  8. Jeong, Y. S., & Kim, J. S. (2010). Fever and fever management in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1), 30-40. 

  9. Jeong, Y. S., Oh, H. E., & Kim, J. S. (2010). Parents' percepti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management of childhood Fe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324-333. 

  10. Joanna Briggs Institute. (2001). Management of the child with fever. Retrieved May 20, 2010, from http://connect.jbiconnectplus.org/ViewSourceFile.aspx?04323. 

  11. Kahn, D. A., Sachs, G. S., Printz, D. J., Carpenter, D., Docherty, J. P., & Ross, R. (2000). Medication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2000: A summary of the expert consensus guidelines. Journal of Psychiatry Practice, 6, 197-211. 

  12. Kim, S. M. (2010). Development,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hemodialysis in the patients with risk of bl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50-155. 

  13. Kwok, B. G., & Jang, H. O. (2006). Clinical analysis of febrile infants and children presenting to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9, 839-844. 

  14. Lee, H. M., Kim, M. C., & Ko, Y. G. (2004). Effect of tepid massage and antipyretics in the management of fever at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5, 156-160. 

  15. McCarthy, P. L., Sharpe, M. R., Spiesel, S. Z., Dolan, T. F., Forsyth, B.W., De- Witt, T. G., et al. (1982). Observation scales to identify serious illness in febrile children. Pediatrics, 70, 802-809. 

  16.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07). Feverish illness in children: Assessment and initial management in children younger than 5 year of age. London: RCOG Press. Retrieved January 10, 2009, from http://www.nice.org.uk/nicemedia/pdf/CG47Guidance.lpdf. 

  17. Park, T. N. (2006).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onstipation in Korean elderly -Local adaptation of the NGCTM guideline for prevention of constipation in the old adult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315-325. 

  18. Paul, F., Jones, M. C., Hendry, C., & Adair, P. M. (2007). The quality of written information for parent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a febrile convul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2308-2322. 

  19. Sharber, J. (1997). The efficacy of tepid sponge bathing to reduce fever in young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5, 188-192. 

  20. Thomas, S., Vijaykumar, C., Naik, R., Moses, P. D., & Antonisamy, B. (2009).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tepid sponging and antipyretic drug versus only antipyretic drug in the management of fever among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dian Pediatrics, 46, 133-136. 

  21. Thomas, V., Riegel, B., Andrea, J., Murray, P., Gerhart, A., & Gocka, I. (1994). National survey of pediatric fever management practices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 505-510. 

  22. Walsh, A. M., Edwards, H. E., Courtney, M. D., Wilson, J. E., & Monaghan, S. J. (2005). Fever management: Pediatric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9, 453-464. 

  23. Walsh, A., Edwards, H., & Fraser, J. (2008). Parents' childhood fever management: Community survey and instrument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3, 376-388. 

  24. Watts, R., Robertson, J., & Thomas, G. (2003). Nursing management of fever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9(1), S1-S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