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시설의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bin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6 no.4, 2010년, pp.314 - 323  

최나영 (수원여자대학교 간호과) ,  전미양 (극동정보대학 간호과) ,  서현미 (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석정원 (삼육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김미선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정현철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a combin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Methods: Physical examinations were done for 993 preschoolers in 12 preschools. Their parents (n=727)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health statu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 방법론적 연구이다(Fig. 1).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선행연구로는 비만(Anderson, Economos, & Must, 2008; Corvalan, Uauy, Flores, Kleinbaum, & Martorell, 2008; Sonneville, Pelle, Taveras, Gillman, & Prosser, 2009), 영양(Kim & Lee, 2003; Lee, 2008), 구강(Kim, Kim, & Kim, 2004), 시력(Kim, 2005), 보건교육과 건강관리(Kim et al.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부모, 교사,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 및 건강검진으로 구성된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학령전기 아동 통합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건강지식이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부모(t=-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동, 부모, 교사가 함께 참여하는 통합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의 부모 및 보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에게 아동의 건강관리와 관련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아동에게도 건강에 대해 교육함과 동시에 건강검진의 기회를 제공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부모와 교사의 건강지식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학령전기 아동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의 부모 및 보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에게 아동의 건강관리와 관련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아동에게도 건강에 대해 교육함과 동시에 건강검진의 기회를 제공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부모와 교사의 건강지식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학령전기 아동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전기 시기의 아동은 무엇을 발달시키기 시작하는가? 학령전기는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인지적, 영적 및 사회적 성장 발달을 통하여 생활양식에 있어서 가장 큰 변화인 취학에 대해 준비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아동은 언어와 더 넓은 사회적 관계를 익히고, 역할을 배우고, 자기 통제와 독립성을 얻으며, 자아개념을 발달시키기 시작한다(Hong et al., 2009).
학령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학령전기는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인지적, 영적 및 사회적 성장 발달을 통하여 생활양식에 있어서 가장 큰 변화인 취학에 대해 준비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아동은 언어와 더 넓은 사회적 관계를 익히고, 역할을 배우고, 자기 통제와 독립성을 얻으며, 자아개념을 발달시키기 시작한다(Hong et al., 2009).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부모, 교사,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 및 건강검진으로 구성된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평가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부모, 교사,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 및 건강검진으로 구성된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통합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학령전기 아동 통합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건강지식이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부모(t=-2.989, p=.003), 교사(t=-6.391, p<.001)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on, S. E., Economos, C. D., & Must, A. (2008). Active play and screen time in US children aged 4 to 11 yr in relation to sociodemographic and weight status characteristic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analysis. BMC Public health, 8, 366. 

  2. Cho, K. J., Song, J. H., Yoo, I. Y., Park, I. S., Park, E. S., Kim, M. W., et al. (2005). Family focused child health nursing. Seoul: Hyun- Moon Publisher. 

  3. Corvalan, C., Uauy, R., Flores, R., Kleinbaum, D., & Martorell, R. (2008). Reductions in the energy content of meals served in the Chilean national nursery school council program did not consistently decrease obesity among beneficiaries. Journal of Nutrition, 138, 2237-2243. 

  4. Han, O. H. (2000, November). The Mechanism of Iron Absorption into the Intestine and Its Regulat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5. Hong, K. J., Lee, K. J., Ahn, C. S., Cho, K. M., Nam, E. S., Yu, K. H., et al. (2009).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Seoul: Soomoonsa. 

  6. Jeon, M. Y., Choi, I. S., & Rue, J. S. (2005). Womon?Childern health promotion project report. Jincheon-Gun Public Health Center. 

  7. Jo, K. A. (2006). The effect of nutrition and iron supplementation on iron status of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8. Kim, H. S., Kang, K. A., Kim, S. A., Kim, S. J., Kim, H. S., Kim, H. O., et al. (2006). Child Health Nursing. Seoul: Koonja Publisher. 

  9. Kim, H. S., Lee, C. Y., Lee, T. W., & Ham, O. K. (2004).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r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82-190. 

  10. Kim, I. O., & Kang, R. H. (2005). A survey on the health examination of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 308-315. 

  11. Kim, I. O., & Lee, J. H.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measurement of it's effec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9, 46-56. 

  12. Kim, J. S. (2003). A survey on teacher's health needs in child care center.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im, J. H., & Kim, Y. S. (2002). A study on the oral health care and factors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ygienic Sciences, 8, 117-128. 

  14. Kim, K., Ahn, S., Koo, B., & Kim, S. (2002). Preschool vision screening for 3 to 6-yr old children in Seoul.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43, 714-727. 

  15. Kim, N. H., Kim, H. D., & Kim, J. B. (2004). A study of consciousness of the young children's parents on the incremental dental care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2, 372-386. 

  16. Kim, S. J. (2005). Prevalence rate and factors of myopia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390-398. 

  17. Lee, G. Y. (2000). Health and fitness science. Seoul: Hakmunsa. 

  18. Lee, J. I. (2008). A Comparative Study of Eating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of Preschoolers in Child 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9. Looker, A. C., Dallman, P. R., Carroll, M. D., Gunter, E. W., & Johnson, C. L. (1997).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7, 973-976.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Comprehensive plan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2010(Health Plan 2010).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1. Moon, S. J., Ahn, H. S., & Lee, Y. M. (2003). Nutrition and health for child. Seoul: Soohaksa. 

  22. Oh, K. S., Sim, M. K., & Choi, E. K. (2009).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child health and safety for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5-14. 

  23. Poulsen, S., & Holm, A. K. (1980). The relation between dental caries in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 of the same individual.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40, 17-25. 

  24. Seo, H. M., Jeon, M. Y., & Choi, N. Y. (2009). A study on the health knowledge, health-guidance execution and health-education needs for the parents of preschool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3, 207-218. 

  25. Sonneville, K. R., La Pelle, N., Taveras, E. M., Gillman, M. W., & Prosser, L. A. (2009). Economic and other barriers to adopting recommendations to prevent childhood obesity: Results of a focus group study with parents. BMC Pediatrics, 9, 81. 

  26. Stewart, R. T., & Platt, B. S. (1968). Nervous system damage in experimental protein-calorie deficiency. Cambridge, MA: M. I. T. 

  27.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In-depth analyses of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health interview and health behavior survey part. Seoul: Korea Center of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8. Yang, I. S., Kim, E. K., Bae, Y. H., Lee, S. J., & Ahn, H. J. (1993).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ry Culture, 8, 125-137. 

  29. Yoon, H. O. (2002). Degree of knowledge, easiness of care and educational need to infant care of mother. Journal of Geumgu, 9, 34-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