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아동 건강지식 정도, 건강습관 지도이행도 수준 및 건강교육 요구도 조사
Health Knowledge, Health-Guidance Execution and Health-Education Needs of Parents of Preschoole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3 no.2, 2009년, pp.207 - 218  

서현미 (서울대학교) ,  전미양 (극동정보대학) ,  최나영 (우석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an attempt to develop a parental health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hildren, survey questions were devised to measured the extent of parental health knowledge, health-guidance execution and needs. Method: Participants were 727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daycare ce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으로 아동 건강지식. 건강습관 지도 이행도 및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으며 이 연구결과를 근거로 논의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을 가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에 관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유아 교육기관에서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 건강지식 정도, 건강습관 지도이행도 수준 및 건강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자녀를 교육하고 있는 부모의 아동 건강지식 정도, 건강습관 지도이행도 수준 및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충청북도 J군내 12개의 유아교육기관에서 학령전기 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 건강지식. 건강습관 지도 이행도 및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으며 이 연구결과를 근거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충청북도 J군내 12개 유아교육 기관에서 자녀를 교육하고 있는 부모의 아동 건강지식 정도, 건강 습관 지도이행도 수준 및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아동 건강증진을 위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 727명을 대상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도, 건강습관 지도이행도 수준 및 교육 요구도를 자가보고 형식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는 SPSS Win (12.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 건강 지식 정도, 건강습관 지도이행도 수준 및 교육 요구도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J군내 12개의 유아교육 기관에서 학령전기 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부모의 아동건강 지식 정도, 건강습관 지도이행도 수준 및 교육 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학령전기 아동 부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K. J., Song, J. H., Yoo, I. Y., & Park, I. S. (2000). Family focused child health nursing. Seoul; Hyun-Moon Publishing Company. 

  2. Choi, K. B. (2003). The influence of parents' knowledge and behavior in oral health up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havior in or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Pusan. 

  3. Chun, S. Y. (2006). Effect of mother's oral health behavior and knowledge on dental caries in their pre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4. Cohn, D. A. (1990). Child-mother attachment of six-year-old and social competence at school. Child Dev, 61, 152-162. 

  5. Draper, T. W., Larsen, J. M., & Rowles, R.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arent training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Early Child Res Q, 12, 487-504. 

  6. Harris, D. M., Miller, J. E., & Davis, D. M. (2003). Racial differences in breast cancer screening knowledge and compliance. J Natl Med Assoc, 95(8), 693-701 

  7. Hockenberry, M. J., & Wilson, D. (2009). Wong's nursing care of infants and children (8th ed.) (Hong, K. J. et al, Trans.). Seoul: Soomun publishing Company.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8. Jensen, L. (2003). Self-administered cardiac medication program evaluation. Can J Cardiovasc Nurs, 13(2), 35-44. 

  9. Jeon, M. Y., Choi, I. S., & Rue, J. S. (2005). Woman and Children health promotion project report. Jincheon: Jincheon-Gun Public Health Center. 

  10. Jo, Y. J., Seo, Y. S., & Jung, S. K. (1997). Children's health education. Seoul: Hyung- Seoul Publishing Company. 

  11. Jung, M. J., & Ea, J. K. (2000). Needs Assessment of mothers and teachers for parent education. J Korean Early Child Edu, 20(3),23-46. 

  12. Jung, Y. H. (2005). The influence of mother's food habit, food ideology and perception of body image in preschool children's nutrient inta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Taegu. 

  13. Kim, K. S., Kim, H. S., Lee, M. S., Kim, S. J. and Moon, S. Y. (1999). Pediatric nursing. Seoul; Shin-kwang Publishing Company. 

  14. Kim, I. O. (1998). A study on the status of health education of kindergartens for preschooler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4(2), 255-264. 

  15. Kim, I. O., & Kim, M. Y. (2004). Nursing consideration of the infant care act and suggestion on its enforcement decree and regulation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10(3), 361-366. 

  16. Kim, H. A. (2000). The influence of the parents' food habits and health beliefs on child obe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Kim, H. S., Kang, K. S., & Lee, E. S. (1999). A study on childhood injury.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5(3), 349-357. 

  18. Kim, H. S., Lee, C. Y., Lee, T. W., & Ham, O. K. (2004).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rs of preschoolers. J Korean Acad Nurs, 34(1), 182-190. 

  19. Kim, S. M.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behavior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the obesity of the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Lee, M. S. (2004). The influence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s' happiness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ment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Seoul. 

  21. Lee, S. J., Jung, Y. I., Moon, D. H., & Kang, S. H. (2002). A study on health education behavior of parent for preventive health care of kindergarten children. J Korean Soc Health Edu and Prom, 19(1), 109-132. 

  22. Lee, K. H., Sung, Y. H., Yoon, S. H., & Lee, S. D. (1999). Parents education. Seoul: Hak-moon Publishing company. 

  23. Lee, U. G. (2004). A case study of the effect of improving visual accuracy of a child with aphakia by parents' visual intervention program.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Practice: Theory and Practice, 5(4), 103-120. 

  24. Moon, D. N. (2001). A study on dental state of health and dental health behaviors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Pusan. 

  25. Park, J. S. (2007). School children's intake pattern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ts recognition by parents in Daejeon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6. Rha, J. (1999). Infant's emotionality and parenting as antecedents of delay of gratification in Toddler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27. Yoon. H. H. (2004). The relation of parents' health knowledge, health behavior and health instruction behavior with children's health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8. Yoon, S. Y. (2003). Comparison of fathers' and mothers' participation and needs assessment on the parent education of their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Wardle, J., & Steptoe, A. (2003).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beliefs about health lifestyle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7(6), 440-3. 

  30. Woo, S. H. (2000). The relations of mother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s oral health with their children's attitudes towards or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