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따개비 분획물의 항균 및 항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Amphitrite albicostatu Fraction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10 = no.126, 2010년, pp.1505 - 1510  

신혜정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미옥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갑각류에 속하는 따개비를 각 용매 별로 분획하여 항균효과, 암세포 증식 억제 및 QR 유도 활성 효과를 알아보았다. 따개비의 각 분획물 AAMH, AAMB, AAMM 및 AAMA층을 식중독 원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E.coli (ATCC 21990) 및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와 단백질 부패 원인균인 Proteus mirabilis (ATCC 25933)의 4가지 균주에 처리하여 항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부탄올 분획층인 AAMB층에서 가장 높은 항균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epG2와 B16-F10 세포주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 본 결과 메탄올 분획층인 AAMM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간암 세포인 HepG2세포주를 이용한 QR 유도 활성 효과의 결과에서도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의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메탄올 분획층인 AAMM층에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을 1로 하여 비교한 결과 20, 40, 60, 80 및 100 ${\mu}g$/ml의 시료 농도 첨가 시 AAMM층에서 그 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각각 1.20, 1.54, 1.59, 1.82 및 2.04 배의 QR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따개비를 이용한 항균, 항암관련 기능성 식품에 대한 개발 가능성이 보이며, 이를 위한 부탄올 및 메탄올 분획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그리고 해양 동물 중의 하나인 갑각류에 속하는 따개비에 대한 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해양생물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요즈음 유사 종의 갑각류인 새우나 게에 비해 그 활용도가 극히 낮은 따개비에 대한 소비촉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Amphitrite albicostatu (AA) fractions. AA was extracted with methanol first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into four different types: hexane (AAMH)-, methanol (AAMM)-, buthanol (AAMB)- and aqueous (AAMA) partition lay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갑각류 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따개비에 대한 국내연구는 순수분류학적 연구와 생물학적 오염 지표 종의 개발, 유생발생에 관한 연구 등의 몇 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을 뿐 따개비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수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9,11,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갑각류인 따개비로부터 메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용매 분획물을 얻어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검토함으로써 따개비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따개비란? 해양생물은 육상생물과 다르게 내압, 내염 및 저온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물리적 방어능력이 부족한 해양생물들이 적자생존의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만들어내는 이차 대사산물은 육상생물과는 상이한 화학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천연자원에서 의약품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여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17]. 본 연구에 사용된 따개비(barnacle: amphitrite albicostatu)는 갑각강 완흉목에 속하는 절지동물로 굴등 이라고도 불리우며, 몸길이가 10-15 mm 정도인 작은 종과 30-40 mm의 대형 종에 이르기 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여 약 200여종에 이른다. 세계 전 연안에 널리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에서 매우 흔하며 조간대의 중조대부터 저조대에 분포한다.
따개비는 어디에 분포하나요? 본 연구에 사용된 따개비(barnacle: amphitrite albicostatu)는 갑각강 완흉목에 속하는 절지동물로 굴등 이라고도 불리우며, 몸길이가 10-15 mm 정도인 작은 종과 30-40 mm의 대형 종에 이르기 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여 약 200여종에 이른다. 세계 전 연안에 널리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에서 매우 흔하며 조간대의 중조대부터 저조대에 분포한다. 주로 바닷가 암초나 말뚝, 배 밑 등에 무리를 이루어 비교적 단단하게 붙어서 고착생활을 하며 노출된 암반에서 쉽게 관찰된다. 단단한 껍질로 둘러싸여 있어 연체동물로 착각하기 쉬우나 게, 새우와 같은 갑각류에 속한다.
현재까지 따개비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은? 특히, 따개비는 남해안 도서지방에서 전복과 비슷한 맛과 영양을 가졌다 하여 값비싼 전복을 대신하여 죽, 국, 칼국수, 비빔밥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갑각류 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따개비에 대한 국내연구는 순수분류학적 연구와 생물학적 오염 지표 종의 개발, 유생발생에 관한 연구 등의 몇 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을 뿐 따개비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수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9,11,2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갑각류인 따개비로부터 메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용매 분획물을 얻어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검토함으로써 따개비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armichael, J., W. G. De Graff, A. F. Gazder, J. D. Minna, and J. B. Mitchell.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2. Cho, M. H., E. K. Bae, S. D. Ha, and J. Y. Park. 2005.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Food Sci. Ins. 38, 36-45. 

  3. Cho, S. G. 1997. Food chemoprevention and immunoactivity. J. Food Industry and Nutr. 2, 56-101. 

  4. Davidson, P. M. and M. E. Parish.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1, 148-155. 

  5. Doll, R. and R. Peto. 1981. Cause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NCI 66, 1191-1308. 

  6. Hong, E. Y., H. J. Kang, C. S. Kwan, Y. J. Na, M. J. Suh, and J. S. Kim. 1997. Modulation of cellular quinone reductase inducibility by roasting treatment and acid hydrolysis of perill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86-192. 

  7. Jung, B. M., S. S. Lim, Y. J. Park, and S. J. Bae. 2005.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8-12. 

  8. Jung, Y. H., B. M. Jung, M. O. Shin, and S. J. Bae.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gloiopeltis tenax.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95-401. 

  9. Lee, C. and C. H. Kim. 1990. Lavel development of balanus albicostatus Pilsbry (Cirripedia, Thoracica) reared in the laboratory. J. Environ. Studies 8, 41-55. 

  10. Lee, J. H. and S. R. Lee. 1994.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7-323. 

  11. Lee, J. W. and P. Chin. 2003. Development of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bioindicators of barnacle, megabalanus rosa for marine pollution assessment. J. Korean Fish Soc. 36, 276-282. 

  12. Michael, C. A., A. S. Dominic, M. Anne, L. H. Miriam, J. C. Maciej, L. F. Donald, J. A. Betty, G. M. Joseph, H. S. Robert, and R. B. Michael. 1988. Feasibility of drug screening with panels of human tumor cell lines using a microculture tetrazolium assay. Cancer Res. 48, 589-601. 

  13. Ong, T. M., W. Z. Whong, S. Stewatr, and H. E. Brockman. 1986. Chlorophyllin; a potent antimutagen against environmental and dietary complex mixture. Mutat. Res. 173, 111-115. 

  14. Park, B. J., H. S. Suk, G. S. Chung, and J. K. Sohn. 1987. Studies on protoplast culture and fusion in cruciferae. Korean J. Breed 19, 223-234. 

  15. Park, H. J. 1998.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nd its regulatory mechanism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by Scutellaria baicalensis, Ph. D.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6. Park, J. C. and J. W. Choi. 1996. Screening of marine natural products on inhibitory effect of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ation. Korean J. Pharmacol. 27, 117-122. 

  17. Park, S. Y., B. M. Jung, Y. H. Choi, and S. J. Bae. 2005.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cancer cell lines by gloiopeltis furcata fraction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71-775. 

  18. Park, Y. J., M. O. Shin, S. H. Lee, and S. J. Bae. 2005.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atrina pecitinata fractions on cancer cell lines. Korean J. Nutr. 38, 307-312. 

  19. Prochaska, H. J. 1994. Screening strategies for the detection of anticarcinogenic enzyme inducers. J. Nutr. Biochem. 5, 360-370. 

  20. Prochaska, H. J. and A. B. Santamaria. 1988. Direct measurement of NAD(P)H: Quinone reductase from cells cultured in microtiter wells: A screening assay for anticarcinogenic enzyme inducers. Anal. Biochem. 169, 328-336. 

  21. Prochaska, H. J., A. B. Santamaria, and P. Talalay. 1992. Rapid detection of inducers of enzyme that protect against carcinogen. Proc. Natl. Acad. Sci. USA 89, 2394-2399. 

  22. Reddy, L., B. Odhav, and K. D. Bhoola. 2003. Natural products for cancer prevention a global perspective.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99, 1-13. 

  23. Sharman, S., D. S. Jill, G. J. Kelloff, and E. S. Vernon. 1994. Screening of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s using biochemical markers of carcinogenesis. Cancer Res. 54, 5848-5855. 

  24. Shin, M. O., M. J. Ku, and S. J. Bae. 2007.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fin of thunnus thynnus extracts in various cancer cells. Korean J. Nutr. 40, 147-153. 

  25. Shon, J. H., D. Y. Kang, H. C. OH, B. M. Jung, M. H. Kim, M. O. Shin, and S. J. Bae. 2006. The effects on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of hijikia fusiformis fra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44-450. 

  26. Sung, C. G., M. S. Choi, H. H. Chun, I. Lee, H. P. Park, and C. H. Lee. 2008. Effect of heavy metals an larvae of barnacle, balanus albicostatus. J. Environ. Toxicol. 23, 337-342. 

  27. Steinkellner, H., S. Rabot, C. Freywald, E. Nobis, G. Scharf, M. Chabicovsky, S. Knasmuller, and F. Kassie. 2001. Effect of crucifrous vegetable and their constituents on drug metabolizing enzymes involved in the bioactivation of DNA-reactive dietary carcinogens. Mutat Res. 480, 285-2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